목차
7. 연단술과 연금술
7-1 : 도교의 연단술
1) 정신수련
2) 육체수련
(1) 복약
(2) 호흡수련
(3) 방중술
(4) 기타
7-2 : 서양의 연금술
7-1 : 도교의 연단술
1) 정신수련
2) 육체수련
(1) 복약
(2) 호흡수련
(3) 방중술
(4) 기타
7-2 : 서양의 연금술
본문내용
혼이나 성적인 결합은 연금술의 중심적인 이미지이다. 그들은 그들이 잉태할 현자의 돌의 부모이다. 한편 나무의 이미지는 현자의 돌에 이상적으로 들어맞는다. 왜냐하면 나무처럼 돌도 계속해서 새로운 열매를 맺기 때문이다.
서양의 연금술은 고대 그리스로부터 그 유래를 찾을 수 있지만, 많은 세월동안 잊혀져 있다가 아랍인들에 의해 역수입되었다. 유럽 연금술의 전성기는 11-13경인 중세시대였으며, 당시의 연금술은 그노시스의 신비주의적인 색채를 띠고 있었지만 합리적인 실험 역시 중시되었다. 그 후 르네상스 시대에 들어서자 연금술은 순수하게 정신주의적인 것에 몰두하게 된다. 16세기에서 17세기는 영적인 연금술의 전성기이다. 이러한 현상은 종교적 권위의 붕괴와 맥을 같이한다. 사실 연금술에 내재하는 그노시스적인 요소, 즉 인간이 신성을 획득할 수 있다는 이교도적 생각은 항상 교회를 불편하게 했던 것이 사실이다. 1317년 교황 존 22세에 의한 연금술 금지령은 교회와 연금술의 갈등을 드러내 보여주는 한 예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연금술이 명상과 묵시, 그리고 도덕적 정화를 요하는 정신적인 수양을 필요로 하는 것인 만큼 많은 경우 수도사들이나 신부들이 연금술사였던 것 또한 사실이다.
서양의 연금술은 원자론, 뉴턴의 물리학 등 새로운 과학혁명으로 인해 쇠퇴하기 시작한다. 보일이나 라부아지에의 원소에 대한 새로운 이론은 연금술에 존재하는 영적인 요소를 배제시키기에 이르렀다. 비밀이나 신비에 대한 혐오가 17세기에 전반적으로 확산되어 갔고, 연금술은 물질변화의 모든 측면과 관계된 물질을 연구하는 과학으로 발전한다. 17세기 이후 대륙탐험과 더불어, 망원경, 현미경, 공기펌프, 기압계 등의 발명은 서구인들로 하여금 새로운 세계에 대한 기대를 고조시켰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비밀스럽고 신비로운 연금술 역시 실용적인 화학으로 변화해감은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중국과 서구의 연금술은 많은 곳에서 차이를 보이고는 있지만 근본에서는 서로 일치한다. 그들은 모두 물질이 변화한다는 것을 믿었고, 현자의 돌이나 생명의 묘약의 존재를 믿었다. 완전성을 지닌 금이라는 금속을 추구함으로써 연금술은 영원한 생명을 추구한다는 생각이 한 지역에서 발생한 후 전 세계로 퍼져나갔는지, 아니면 여러 지역에서 각각 자발적으로 생겨났는지는 증명할 길이 없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수세기 동안 인간의 마음속에는 “인간이 찾아 헤매지만 결코 발견할 수 없었던 영원함과 완전함”에 대한 생각이 항상 큰 자리를 차지했다는 사실이다. 바로 그것이 융으로 하여금 연금술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일 것이다.
현대적 시각으로 볼 때 연금술은 비이성적이고 비과학적인 학문인지도 모른다. 18세기 이후 합리주의에 근거한 과학은 300년 가까이 세계를 지배해왔다. 그러나 과학의 눈부신 성공으로 인해 인간은 파멸하고 말 것이라는 두려움이 날마다 우리를 엄습해 오고, 사이버 문화가 지배하는 디지털 시대에 과연 연금술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그것은 낡아빠지고 시대착오적인 하나의 오류일 뿐인가?
서양의 연금술은 고대 그리스로부터 그 유래를 찾을 수 있지만, 많은 세월동안 잊혀져 있다가 아랍인들에 의해 역수입되었다. 유럽 연금술의 전성기는 11-13경인 중세시대였으며, 당시의 연금술은 그노시스의 신비주의적인 색채를 띠고 있었지만 합리적인 실험 역시 중시되었다. 그 후 르네상스 시대에 들어서자 연금술은 순수하게 정신주의적인 것에 몰두하게 된다. 16세기에서 17세기는 영적인 연금술의 전성기이다. 이러한 현상은 종교적 권위의 붕괴와 맥을 같이한다. 사실 연금술에 내재하는 그노시스적인 요소, 즉 인간이 신성을 획득할 수 있다는 이교도적 생각은 항상 교회를 불편하게 했던 것이 사실이다. 1317년 교황 존 22세에 의한 연금술 금지령은 교회와 연금술의 갈등을 드러내 보여주는 한 예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연금술이 명상과 묵시, 그리고 도덕적 정화를 요하는 정신적인 수양을 필요로 하는 것인 만큼 많은 경우 수도사들이나 신부들이 연금술사였던 것 또한 사실이다.
서양의 연금술은 원자론, 뉴턴의 물리학 등 새로운 과학혁명으로 인해 쇠퇴하기 시작한다. 보일이나 라부아지에의 원소에 대한 새로운 이론은 연금술에 존재하는 영적인 요소를 배제시키기에 이르렀다. 비밀이나 신비에 대한 혐오가 17세기에 전반적으로 확산되어 갔고, 연금술은 물질변화의 모든 측면과 관계된 물질을 연구하는 과학으로 발전한다. 17세기 이후 대륙탐험과 더불어, 망원경, 현미경, 공기펌프, 기압계 등의 발명은 서구인들로 하여금 새로운 세계에 대한 기대를 고조시켰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비밀스럽고 신비로운 연금술 역시 실용적인 화학으로 변화해감은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중국과 서구의 연금술은 많은 곳에서 차이를 보이고는 있지만 근본에서는 서로 일치한다. 그들은 모두 물질이 변화한다는 것을 믿었고, 현자의 돌이나 생명의 묘약의 존재를 믿었다. 완전성을 지닌 금이라는 금속을 추구함으로써 연금술은 영원한 생명을 추구한다는 생각이 한 지역에서 발생한 후 전 세계로 퍼져나갔는지, 아니면 여러 지역에서 각각 자발적으로 생겨났는지는 증명할 길이 없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수세기 동안 인간의 마음속에는 “인간이 찾아 헤매지만 결코 발견할 수 없었던 영원함과 완전함”에 대한 생각이 항상 큰 자리를 차지했다는 사실이다. 바로 그것이 융으로 하여금 연금술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일 것이다.
현대적 시각으로 볼 때 연금술은 비이성적이고 비과학적인 학문인지도 모른다. 18세기 이후 합리주의에 근거한 과학은 300년 가까이 세계를 지배해왔다. 그러나 과학의 눈부신 성공으로 인해 인간은 파멸하고 말 것이라는 두려움이 날마다 우리를 엄습해 오고, 사이버 문화가 지배하는 디지털 시대에 과연 연금술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그것은 낡아빠지고 시대착오적인 하나의 오류일 뿐인가?
추천자료
음악의 소재,요소,형식,종류,기원,역할,서양음악,동양음악,한국?
동양 문화권과 서양 문화권의 교류
동양의 유교사상과 서양의 기독교사상 비교
동서문화비교 - 동양문화, 서양문화 비교
[자연관][동서고금]동서고금의 다양한 자연관 분석(동양의 자연관, 장자의 자연관, 도가의 자...
전통중국사회와 발전형태 이론의 이해(- 동양을 바라보는 서양 학자들의 경제적.사회적 이론...
아동을 바라보는 관점이 시대에 따라 많이 변해왔다.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서양...
아동을 바라보는 관점이 시대에 따라 많이 변해왔다.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서양...
아동을 바라보는 관점/ 시대에 따라 서양 동양 그리고 우리나라의 변천과정
아동을 바라보는 관점이 시대에 따라 많이 변해왔다.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서양...
동양의 성문화와 서양의 성문화를 비교해 보고, 현대를 살아가는 한 사람으로서 본인이 생각...
미술작품 속에 숨겨진 과학적 원리와 이해 - 구석기 시대 동굴 벽화, 레오나르도 다빈치, 뉴...
동양 의학 (명상, 타이치, 침술요법, 동양 약과 서양 약의 차이점, 음과 양, 요가, 허브약은 ...
[전통윤리와 윤리의 변동] 사회변동과 인간관계, 전통윤리와 인간관계(동양윤리와 서양윤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