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드보이와 신화의 연관성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올드보이와 신화의 연관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오이디푸스 신화의 복선

물, 거울, 깨진 유리창의 이미지

본문내용

비친 수아와 우진의 눈, 그리고 오대수의 눈이 순간적으로 겹쳐진다. 깨진 유리창을 통해 엿보던 오대수의 시선은 다름 아닌 관객의 시선이기도 하다. (엿보기)
희열의 공간이던 환상공간은 침입자의 시선에 의해 금기의 영역이 된다. “깨진 유리창”은 금지와 법을 의미하는 상징적 아버지의 출현을 예고한다. 금기가 부재하는 상상계(법과 금지 이전의 세계)에거 서로가 동일시되어 쾌락을 맛보던 오누이는 “말”이 너무 많은 (언어의 출현) 오대수의 입으로 인해 원초적 욕망의 세계, 나르시즘적 세계의 행복을 빼앗기고 법과 금지가 존재하는 사회로 노출됨으로써 자아정체성을 잃고 만다. 오대수의 시선은 원초적 희열을 음란한 금기의 영역으로 몰아놓는 폭력적 시선이다. 즉 오대수는 법과 금지를 상징하는 상징적 아버지이다.
  • 가격8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6.06.13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48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