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론)
청자의 관계 : 대면, 비대면(전화, 인터넷)
- 형식 자유롭게 : 친교, 인사
형식적 화법 : 회의, 토론
- 목적에 따른 형식 친교(일상적으로 접하는 것), 설명(강의, 강연, 프리젠테이션), 설 득(행동을 바꾸게 하는)
* 경청(listen carefully)
20. Global
* 부딪쳤을 때 꼭 정중히 사과
* 동성끼리 손잡고, 어깨동무 No
* 두 여성 사이에 남성이 끼어 걷지 않는다.
* 여자는 오른쪽에 두라.
구용 : 군자(君子)가 그 몸가짐을 단정히 함에 있어 취해야 할 9가지 자세
① 경거(輕擧)하지 않는다[足容重].
② 단정하여 망동(妄動)하지 않는다[手容恭].
③ 정면을 바로 보고 곁눈질을 하지 않는다[目容端].
④ 필요하지 않을 때는 입을 다문다[口容止].
⑤ 목소리를 가다듬고 기침 재채기 등 잡소리를 내지 않는다[聲容靜].
⑥ 고개를 똑바로 하여 한편으로 기울지 않도록 한다[頭容直].
⑦ 호흡을 조절하여 엄숙한 태도를 견지한다[氣容肅].
⑧ 중립불의(中立不倚)하여 점잖은 태도를 갖는다[立容德].
⑨ 안색을 정제하고 태만한 기색을 나타내지 않는다[色容莊].
일본의 Business에서는 절대 부정어를 쓰지 않는다.
청자의 관계 : 대면, 비대면(전화, 인터넷)
- 형식 자유롭게 : 친교, 인사
형식적 화법 : 회의, 토론
- 목적에 따른 형식 친교(일상적으로 접하는 것), 설명(강의, 강연, 프리젠테이션), 설 득(행동을 바꾸게 하는)
* 경청(listen carefully)
20. Global
* 부딪쳤을 때 꼭 정중히 사과
* 동성끼리 손잡고, 어깨동무 No
* 두 여성 사이에 남성이 끼어 걷지 않는다.
* 여자는 오른쪽에 두라.
구용 : 군자(君子)가 그 몸가짐을 단정히 함에 있어 취해야 할 9가지 자세
① 경거(輕擧)하지 않는다[足容重].
② 단정하여 망동(妄動)하지 않는다[手容恭].
③ 정면을 바로 보고 곁눈질을 하지 않는다[目容端].
④ 필요하지 않을 때는 입을 다문다[口容止].
⑤ 목소리를 가다듬고 기침 재채기 등 잡소리를 내지 않는다[聲容靜].
⑥ 고개를 똑바로 하여 한편으로 기울지 않도록 한다[頭容直].
⑦ 호흡을 조절하여 엄숙한 태도를 견지한다[氣容肅].
⑧ 중립불의(中立不倚)하여 점잖은 태도를 갖는다[立容德].
⑨ 안색을 정제하고 태만한 기색을 나타내지 않는다[色容莊].
일본의 Business에서는 절대 부정어를 쓰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