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 비평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 비평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되어야 하는가를 항상 고심하는 작가이며, 그 고심의 치열함이 소설의 지적 특성으로 드러난다. 《병신과 머저리》에는 이러한 고심의 구도가 전형적으로 드러나 있다. 의사인 형과 화가인 동생, 이 둘이 합해지면 지식인 예술가가 되며, 이 둘의 고민은 삶을 적극적으로 창조해나가지 못하는 자신들의 피동성에 있다. 형이 관모와 김일병의 문제를 능동적으로 처리하지 못한 것, 동생이 소극적 사랑으로 실연에 이르는 것은 이들의 개성이 수용적 특성에 기울어져 있음을 말한다. 그리고 이들은 세계가 자신들을 훼손하고 있다고 느끼며, 그것을 극복하려는 데서 형과 나-혹은 이청준 소설의 모든 인물들-의 고심과 저항은 치열해지는 것이다. 《병신과 머저리》에 드러난 것처럼 이청준은 자아를 훼손한 최대의 문화사적 횡포를 625전쟁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문맥에는 드러나 있지 않지만 419혁명의 발발과 좌절 또한 이 작품의 제작에 깊은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병신과 머저리'란 제목은 1960년대적 상황에 대한 자조적 작가의식이 빚어낸 것이지만, 그러한 자조와 자학을 넘어서고자 하는 치열한 모색에서 이청준 소설의 만만치 않음과 힘을 발견하게 된다. 제12회 동인문학상 수상작이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6.20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58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