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기의 무늬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토기의 무늬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토기의 무늬 연구

<목 차>
Ⅰ. 서 론

Ⅱ. 토기에 그려진 무늬 연구
-원삼국시대
<토기대부조합식우각형파수부도>

Ⅲ. 삼국시대
1. 토기앙파수부원저단경호
2. 토기조형장식배부양이호
3. 도기토의장식고배
4. 토기 기대
5. 원저 장경호

Ⅳ. 통일신라
1. 토기합
2. 토기병
3. 토기인화문광구병
4. 토기인화문합

Ⅴ. 결 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직접 만들어서 붙이는 것 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선각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데, 그 선들의 굵기나 느낌은 각각 다르다. 왜냐하면 하나의 도구를 가지고 선각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굵기와 날카로움을 가진 도구를 가지고 선각했기 때문이다. 이는 선각을 하는데 사용되는 도구가 여러 개 있었다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그림을 그릴 때 사용하는 붓의 종류가 여러 개라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다양한 표현을 하기 위해서 그림을 그릴 때에 크고 작은 크기의 붓을 사용하는데, 이는 토기에 선각을 할 때에 다양한 크기의 도구로 한 것과 같은 의미이다. 즉 선각을 하는 사람이 단순히 노동으로써 그려 넣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생각하는 아름다움을 추구하면서 선각했다는 것이다.
둘째, 토기에 나타나는 무늬의 다양함과 구성의 독특하기 때문이다. 위에서 연구한 토기들에게 나타나고 있는 무늬들은 선, 원, 삼각형, 사각형, 꽃무늬 등 여러 개이다. 이 무늬들을 표현할 때에 같은 선이라도 다른 방향으로 긋거나 아니면 그 방향을 달리하여 그 안에서 또 다른 미를 추구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또 이런 다양한 무늬를 가지고 제작자가 나름대로 신경을 써서 구성을 하고 있어서 각 토기들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같은 것이 보이지 않는다. 토기를 만드는 사람이 그냥 귀찮다면 아무런 무늬를 아무렇게나 배치해 버려도 될 터인데, 그렇지 않고, 하나하나 신경을 써서 구성을 하여 조화로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그 제작자가 미의식을 가지고 자신의 개성과 미적 감각을 표출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셋째, 다른 토기이지만 서로 유사한 무늬를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비슷한 시기에 사용된 토기에 있는 무늬 모양이 유사하다는 것을 보아, 그 시대 사람들이 특별히 선호하던 무늬가 있었던 것을 알 수가 있다. 그 예로는 <원저장경호>와 <토기기대3>에 동일하게 나타나는 꽈배기 모양과 <토기인화문합>과 <토기인화문골호>에서 동시에 볼 수 있는 꽃무늬가 있다. 이로 보아 그 당시에 살고 있던 사람들 간에 공통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미의식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공통된 미의식이 형성되어있기 위해서는 그 사람들 각각의 미의식이 있었다가 전제가 된다.
하지만 다른 토기에서는 비슷한 것도 찾아보기 어려운 독특한 무늬들도 나타났는데 토기기대에서 보이는 문자를 연상시키는 무늬는 다른 토기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이었다. 아마도 그 시대에 보편적으로 쓰이는 것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 잘린 면을 마치 일부로 남겨 그것이 더욱 장식적인 효과를 주도록 하는 것도 다른 토기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것이었다. 이는 아마도 그 토기를 만든 제작자만의 무늬가 아닐까. 그 제작자가 자신만의 미의식을 나타낸 것일 것이다. 이처럼 선조들은 토기를 만들 때 그냥 실용성만을 위해서 만드는 것이 아니라 미의식을 가지고 외형적인 아름다움까지 생각하였다.
<참고자료>
빗살 무늬 토기의 추억 김훈 문학동네 2004
토기사랑 한평생 최영도 학고재 2005
테마가 있는 한국문화 이정수 외 2명 선인 2004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6.23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64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