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지자기 분포 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지자기장이란 무엇인가?

2. 지구자기장의 생성 원인

3. 한국의 지자기장 관측 현황

4. 지자기장 관측자료

5. DST값 예측

본문내용

용 등을 위해서는 지자기관측시스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1992년부터 지자기관측시스템을 독자적으로 설계, 제작하였으며, 이를 K-AMOS(KIGAM Automatic Magnetic Ovservation System)라 이름하였고(정 승환 등, 1993), 1993년에는 이 시스템을 한국자원연구소 구내의 자기적 인공잡음이 가장 적은 장소에 설치하여 연속적인 지자기 관측을 수행하였다(임 무택 등, 1993). Fig. 4는 K-AMOS의 개요도이며, 전파연구소가 설치한 RF521B 시스템의 개요(Fig. 3)와 큰 차이는 없으나, 다만 다른 통신선을 통해 다른 컴퓨터로 자료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한 부분만이 빠져 있다. 그러나 한국자원연구소가 자체 개발한 위 K-AMOS로는, 설계, 제작, 운영자들이 예상하지 못했던 잡음의 발생 등으로 인하여, 이용 가능한 자료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없었는데, 그 원인은, 오랫동안 설계, 제작 등에 시간, 노력을 기울이인 선진국들의 기술과 그 과정에서 축적했을 경험을 짧은 기간 동안에 우리가 모두 소화할 수는 없었기 때문일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한국자원연구소는 지자기관측 분야에서 우수한 기술을 확립한 일본, 카나다, 미국, 영국 등의 지자기관측시스템들을 비교 검토하여, 최종적으로는 영국지질조사소가 설계, 제작한 FLARE+ 시스템을 도입하여 K-AMOS 시스템을 대체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래서, 1998년에 위 시스템 1 대를 도입하여, 대전에 있는 한국자원연구소 구내에 설치하였다(임무택 등, 1999). 그리고 1999년에 동 시스템을 한 대 더 도입하여, 2000년에 경주시 양남면 효동리에 한국자원연구소가 설치한 지진종합관측센터 구내에 설치하였다. 대전, 경주 관측소의 위치는, WGS84(World Geodetic System 84) 좌표계에서 차례로 (36.3789 N, 127.3603 E, 71.43 m), (35.7333 N, 129.3991 E, 175.41 m)이다. Fig. 5는 FLARE+ 시스템의 개요도이며, 기본적으로 앞에서 설명한 두 시스템의 개요와 큰 차이는 없고, GPS 동기시계, 플럭스게이트 자기장 측정 센서 안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가 부가적으로 장착되어 있는데, 전자는 측정시간을 전 세계의 표준시에 맞추기 위한 것이며, 후자는 플럭스게이트 자기장 측정 센서로부터 생산되는 자료의 온도 변화에 따른 변화량을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시스템들로부터 현재 1분 평균자료를 생산하여, 관측시스템 자체의 기록계에 기록하고 있으며, 5초 자료는 여러 단계의 통신망을 통하여, 한국자원연구소의 지자기자료센터의 컴퓨터에 통합, 기록되고 있고, 이를 한국자원연구소 지자기 관측망이라 할 수 있다.
4. 지자기장 관측자료
<대전 2006/04/09>
<대전 2006/04/08>
<경주 2006/04/08>
<경주 2006/04/09>
<홍성 2006/04/08>
<홍성 2006/04/09>
5. DST값 예측
현재시간 : 2006년 04월 09일 23시 21분

키워드

한국,   지자기,   분포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6.26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68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