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인 스토밍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브레인 스토밍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본 론
◈브레인스토밍 개념 및 원리
◈브레인스토밍 목적 및 적용
◈브레인스토밍 방법
◈브레인스토밍 사례
◈브레인스토밍의 문제점

결 론

본문내용

해 송전선이 끊어지곤 하는 일이 있다. 도시 지도자는 "브레인스토밍"으로 해법을 찾기로 결심했다.
"전선을 흔들어서 눈을 제거합시다. 하지만 어떻게 그것을 할까요?"
"전봇대를 흔듭시다. 이게 그 방법이오..."
"전봇대가 땅에 얼어붙어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곰이 전봇대에 기어 올라가도록 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그것을 하죠?"
"모든 전봇대의 꼭대기에 꿀단지를 놓는 겁니다. 그리고 곰들이 꿀단지에 있는 달콤한 꿀을 가지러 전봇대의 꼭대기에 올라가도록 하는 거죠."
"하지만 어떻게 전봇대 꼭대기에 단지를 놓을 수 있죠?"
"헬리콥터를 갖고 있다면 전봇대의 꼭대기에 꿀단지를 쉽게 내려놓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떻게 헬리콥터를 구하죠?"
"국립경비대[National Guard]이 한 대를 갖고 있어요! 그들은 꿀단지를 쉽게 전봇대 꼭대기에 내려놓을 수 있다구요"
문제는 해결되었다. 도시지도자는 동면하는 곰을 깨울 필요도 없이 방위군의 헬리콥터가 전봇대로 날아오도록 했다. 헬리콥터의 날개에서 불어 내리는 바람은 송전선의 눈을 날려 버렸다.
[사례2]
문제: 일을 할 때 부서간 협력이 잘 되도록 하는 방법은?
브레인스토밍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아이디어들이 나왔다:
1. 목적의식을 조성한다.
2. 훌륭한 관리자를 고용한다.
3. 요술방망이를 휘두른다.
4. 훌륭한 요정을 고용한다.
5. 사교적 소풍을 장려한다 - 예를 들면, 크리스마스 파티
6. 부서간의 전략적 결속을 추진한다.
7.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을 토의한다.
8. 공동의 문제를 논의한다.
9. 관리기관의 컨설턴트를 초빙한다.
10. 브레인스토밍 회의를 해서 아이디어를 낸다.
11. 모든 부서를 없애버리고 컴퓨터 한 대로 대체한다.
12. 컴퓨터를 없애버린다.
13. 인간관계를 향상을 장려하고, 기계적 사고를 배격한다.
14. 부서간 업무 분담
15. 부서간 업무 풍성화 또는 부서간 업무 확대
참고: 어떻게 아이디어가 다른 아이디어로부터 발전되는지 주목할 것:
2-->3-->4-->9, 1-->7-->8
◈브레인스토밍의 문제점
BS의 장점은 쉽게 실행할 수 있고, 거의 모든 경우에 적용하여 다양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는 것이고, 단점은 타인에게 의지하여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는 참가자가 나올 수 있고, 리더에 따라서 성과가 좌우되며, 여러 사람 앞에서 발언을 잘하지 못하는 사람의 능력을 살리기 어렵다는 점 등이다.
BS는 집단발상법으로서 회의에 적용할 수 있어 일상업무 중에도 활용되고 있으나, 의사결정이나 의견조정을 위한 회의에는 적용할 수 없다.
문제점
브레인 스토밍이 성공적이라는 연구가 많지만 연구에 치중하는 심리학자들에게는 브레인스토밍의 효과를 위해 제시된 사례들이 결코 강력하지가 않다.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얻어진 아이디어가 브레인스토밍을 통하지 않은 집단의 아이디어의 가치보다 더 높아야만 브레인스토밍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다고 한다(Weisberg,1986). 왜 그럴까? 여기에는 세가지의 이유가 있는 것 같다.
① 창의성에서는 확산적 사고가 결정적이라는 브레인스토밍의 전제가 잘못이다. 창의적 사고를 확산적 사고와 동일한 것으로 보는 것은 문제가 있다. 창의적 사고는 인간 사고의 제반 영역이 동시에 작용하는 복합적인 사고이지 단일한 성격을 갖는 사고가 아니다.
② 확산적 사고를 증진시키는 방법의 중심 전제는 창의적 해결책은 새로운 관점에서만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창의적인 문제 해결은 새로운 것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그 문제가 요구하는 조건도 고려해야 한다.
③ 브레인스토밍에서는 아이디어의 양에 치중하고 있기 때문에 질적으로 좋은 아이디어가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결 론
브레인스토밍은 '두뇌 폭풍'이라는 말뜻 그대로 특정한 주제 또는 문제에 대해 두뇌에서 폭풍이 휘몰아치듯이 생각나는 아이디어를 내놓는 것이다. 집단적 사고의 전형적인 형태이다. 이 방법이 전제하고 있는 기본 가정은 사고에서의 양은 질을 결정한다는 것이며, 양적으로 축적된 아이디어를 유목별로 정리하고 발전시켜 최종적인 산출물을 얻는다.
오스본(Osborn)은 브레인 스토밍의 전제로 모든 사람은 창의적인 재능을 가지고 있다고 했다. 그는 사고하는 마음을 두개의 요소로 구분했는데, 판단하는 마음(judicial mind)과 창의적인 마음(creative mind)이 그것이다. 판단하는 마음은 분석, 비교, 선택하는 것이고, 창의적인 마음은 아이디어를 시각화하고 예언하며 산출하는 것이다.
태어날 때는 모든 사람이 창의적인 재능을 가지고 있으나, 성장하면서 점차로 판단적이 된다. 판단은 때로는 창의성을 방해한다. 오스본에 따르면 개인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더 판단적이 되어가는데, 이는 대부분의 일상 상황이 창의성 보다는 판단에 관여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아이디어를 창출하기에 좋은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는 브레인스토밍 방법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몇가지 문제점이 있다. 브레인스토밍을 실행할 때는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다. 많이 사용되는 기법이기는 하나 만능은 아니기 때문이다. 우선 브레인스토밍은 광범위하거나 복잡한 문제일 경우에는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단순하고 명료한 문제에만 사용해야 한다. 또한 문제의 성격상 시행착오를 거쳐야 하는 상황일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한번에 해답을 얻을 수 있는 문제가 적합하다. 마지막으로 브레인스토밍은 리더의 자질이 성패를 좌우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참가자들에게 의존하는 방법이기는 하나 리더의 능력에 따라 그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창의적 사고와 확산적 사고는 동일한 것이 아님을 알고 창의적 사고를 단일한 성격을 갖는 사고로 유추해낼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새로운 관점에서만의 문제해결이 아니라 문제가 가지고 있는 요건과 조건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브레인스토밍은 아이디어 양의 중요성에 치중하는데 아이디어의 질에 대한 중요성도 논의 되어야 한다. 아이디어가 많은 것도 좋지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질적인 아이디어가 도출되어야 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6.27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69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