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협동학습의 성격
Ⅲ. 협동학습의 전제조건
1. 긍정적인 상호의존성
1) 자원상호의존성
2) 정보상호의존성
3) 역할상호의존성
2. 대면적 상호작용
3. 개인적인 책임
4. 소모둠 활동기술
5. 모둠활동 점검
Ⅳ. 협동학습의 효과
Ⅴ. 협동학습의 모형
Ⅵ. 협동학습과 소집단
1. 소집단의 위치
2. 소집단의 편성 방법
3. 소집단 내에 협의와 발표 기회의 부여
Ⅶ. 협동학습과 실천적 추론
Ⅷ. 협동학습과 도덕적 사고
참고문헌
Ⅱ. 협동학습의 성격
Ⅲ. 협동학습의 전제조건
1. 긍정적인 상호의존성
1) 자원상호의존성
2) 정보상호의존성
3) 역할상호의존성
2. 대면적 상호작용
3. 개인적인 책임
4. 소모둠 활동기술
5. 모둠활동 점검
Ⅳ. 협동학습의 효과
Ⅴ. 협동학습의 모형
Ⅵ. 협동학습과 소집단
1. 소집단의 위치
2. 소집단의 편성 방법
3. 소집단 내에 협의와 발표 기회의 부여
Ⅶ. 협동학습과 실천적 추론
Ⅷ. 협동학습과 도덕적 사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게 한다. 또한, 생각을 나누고, 어떻게 다른 사람이 문제를 생각하고 반응하는지를 배우며, 목적을 이루기 위해 타인과 협동하는 법을 배울 기회를 제공한다. 더 나아가 민주시민의 자질인 지도력을 기르고, 창조적이고 비판적이며 논리적인 사고력을 키울 수 있다. 양정혜와 신상옥은 가정과 수업에서 협동학습을 적용하면 강의식보다 가정교과에 대한 흥미와 타인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킨다고 했다.
Ⅷ. 협동학습과 도덕적 사고
협동학습과 도덕적 사고력과의 관계를 직접 연구한 선행연구를 찾아볼 수는 없었지만, 문용린(1988)의 경쟁학습과 협동학습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종합한 논문에서 간접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
협동적 구조하에서 확산적 사고(divergent thinking)가 더 잘 나타남을 DeVries & Fdwards(1974)은 발견했다. 협동학습은 사회적 관점채택 능력(social pers- pective taking ability)과 관련된다고 한다. 사회적 관점채택능력이란 어떤 상황이 나 이외에 다른 사람에게는 어떻게 인지되고 해석되며, 그 상황에서 어떻게 반응할 것인지를 헤아려볼 줄 아는 능력을 가르치는 것으로 사회성 발달(social development)의 매우 중요한 기본 능력으로 간주되는 것이다. 이 사회적 관점채택 능력은 또한 자율적 도덕 판단력(Piaget, 1948; Kohlberg, 1969), 협동성향(Johnson, 1974)과 밀접하게 관련됨을 밝히고 있다.
Websters 사전 제9판에 정의된 협동(collaboration)의 개념은 “다른 사람과 함께 일하는 것 혹은 특히 지적인 노력에 있어서 공동으로 공부하는 것”이다. 협동학습은 “지식이란 식견이 있는 동료들과 사회 구성원들 사이의 합의이다(Bruffee, 1993).”고 가정한다. 협동적인 비판적 사고(collaborative critical thinking)란 정보를 개념화하고, 분석하고, 그리고 평가하는 지적인 노력으로서 함께 공부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Freire(1989)는 “비판적 사고를 요구하는 대화만이 비판적 사고를 신장시킬 수 있고, 대화가 없다면 거기에는 의사소통도 없으며, 의사소통이 없다면 진정한 교육은 있을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보면, 소집단 협동학습은 확산적 사고, 비판적 사고, 자율적 도덕 판단, 사회성 발달 등과 관련됨을 추론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김선희, 협동학습을 통한 소설 교수-학습 방법 연구, 자하어문논집 16집, 2001
◎ 박수민, 협동학습과 전통 학습의 아동의 인지 양식에 따라 학업 성취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 이동원, 인간교육과 협동학습, 서울 : 성원사, 1995
◎ 오기열, 인터넷을 통한 협동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8
◎ 존슨 데이비드, 학생들과 함께 하는 협동학습, 백의, 2001
◎ 허순범, 과제 분담 협동학습을 통한 소설 교수 학습 방법 연구, 한국 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Ⅷ. 협동학습과 도덕적 사고
협동학습과 도덕적 사고력과의 관계를 직접 연구한 선행연구를 찾아볼 수는 없었지만, 문용린(1988)의 경쟁학습과 협동학습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종합한 논문에서 간접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
협동적 구조하에서 확산적 사고(divergent thinking)가 더 잘 나타남을 DeVries & Fdwards(1974)은 발견했다. 협동학습은 사회적 관점채택 능력(social pers- pective taking ability)과 관련된다고 한다. 사회적 관점채택능력이란 어떤 상황이 나 이외에 다른 사람에게는 어떻게 인지되고 해석되며, 그 상황에서 어떻게 반응할 것인지를 헤아려볼 줄 아는 능력을 가르치는 것으로 사회성 발달(social development)의 매우 중요한 기본 능력으로 간주되는 것이다. 이 사회적 관점채택 능력은 또한 자율적 도덕 판단력(Piaget, 1948; Kohlberg, 1969), 협동성향(Johnson, 1974)과 밀접하게 관련됨을 밝히고 있다.
Websters 사전 제9판에 정의된 협동(collaboration)의 개념은 “다른 사람과 함께 일하는 것 혹은 특히 지적인 노력에 있어서 공동으로 공부하는 것”이다. 협동학습은 “지식이란 식견이 있는 동료들과 사회 구성원들 사이의 합의이다(Bruffee, 1993).”고 가정한다. 협동적인 비판적 사고(collaborative critical thinking)란 정보를 개념화하고, 분석하고, 그리고 평가하는 지적인 노력으로서 함께 공부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Freire(1989)는 “비판적 사고를 요구하는 대화만이 비판적 사고를 신장시킬 수 있고, 대화가 없다면 거기에는 의사소통도 없으며, 의사소통이 없다면 진정한 교육은 있을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보면, 소집단 협동학습은 확산적 사고, 비판적 사고, 자율적 도덕 판단, 사회성 발달 등과 관련됨을 추론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김선희, 협동학습을 통한 소설 교수-학습 방법 연구, 자하어문논집 16집, 2001
◎ 박수민, 협동학습과 전통 학습의 아동의 인지 양식에 따라 학업 성취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 이동원, 인간교육과 협동학습, 서울 : 성원사, 1995
◎ 오기열, 인터넷을 통한 협동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8
◎ 존슨 데이비드, 학생들과 함께 하는 협동학습, 백의, 2001
◎ 허순범, 과제 분담 협동학습을 통한 소설 교수 학습 방법 연구, 한국 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추천자료
협동학습
수업의 설계와 탐구수업, 협동학습의 모형
협동학습
인터넷 활용수업의 특징과 인터넷을 통한 협동학습에 관한 고찰
협 동 학 습 - 교육사회학
협동학습에 대한 모든것PPT
발견학습,협동학습정리
학업성취(학업성취도)와 교사질문, 학업성취(학업성취도)와 협동학습, 선수학습, 학업성취(학...
세계사 교재화 연구(박물관 견학을 활용한 프로젝트 협동학습)
[협동놀이][협동게임][협동][놀이][게임][협동놀이 특징][협동학습][정신지체아교육]협동놀이...
[과학적 태도][과학적 태도 의미][과학적 태도 STAD학습효과][과학적 태도 실태]과학적 태도...
[아동수학지도] 비고츠키(Vygotsky) 이론이 유아 수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지 교사의 ...
협동학습에 대한 레포트
협동학습이 아동에게 주는 이점은 무엇인지 적고 본인은 협동학습이 어떻다고 생각하는지 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