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CB Grid 모델의 전략에 따른 광고 표현유형의 특징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1) 문제제기
2) 연구목적
3) 연구문제의 설정

Ⅱ. 이론적 배경
1) FCB모델의 이론적 고찰
2) 광고 유형에 관한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 전략적 제안점과 차별성을 제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통해 모델을 검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상의 제안점을 바탕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자면 그 동안 제품분류 기준으로 삼았던 FCB Grid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나라의 같은 제품을 선정하여 분석해볼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다각적 연구를 통해서만이 우리나라의 광고가 표현상에 어떠한 특징과 차이가 있는지를 정확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FCB Grid 모델과의 차이점의 근본적인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략적인 차이점만으로는 우리나라 광고가 가지고 있는 자체적인 특성과 차별성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문화적 특성과 광고표현 특성 등에 대한 국제적인 비교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FCB Grid 모델은 이미 개발된 지 오래된 모델이기 때문에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소비자의 마인드와 시장 상황과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시대별로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연구함으로써 앞으로의 변화를 예측해 보는 것도 의미 있는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Ⅵ.참고문헌
고재경 (1995). 제품속성에 따른 광고의 정보적 메시지 연구 : 우리 나라 광고잡지를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염제 (1992). 광고소구와 그 전략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15, 31-51.
김완석 (1991). 광고호소 유형별 효과와 소비자 특성. 광고연구, 12,251-284.
문영숙 (1995). 잡지광고의 정보내용 분석연구. 광고연구, 27, 341-361.
방석범 (1993). 우리나라 TV광고의 메시지 소구방식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21, 123-141.
서범석 (1998). 광고기획론. 서울:나남출판사.
신강균 (1997). 광고전략 개발을 위한 래더링의 가치단계분석.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신강균, 이동훈 (1997). 제품관여도와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소비자 가치단계의 차이분석. 광고연구, 36, 209-236.
오두범 (1995). 광고전략의 주요 쟁점에 관한 평가 분석. 광고연구, 31, 313-339.
이동진 (1998). 중국 잡지광고의 정보성과 정보내용에 관한 시차적 분석. 광고연구, 제39호, 73-94.
이명천 (1990). FCB 그리드 모델의 타당성과 활용을 위한 전제. 광고연구, 8, 113-138.
이명천 (1991). 다차원 척도(MDS)분석에 의한 FCB 그리드 모델의 적용가능성 평가 연구. 광고연구, 11, 247-270.
전영우 (1997). 우리나라 잡지광고가 전달하는 정보량과 정보유형의 변화추이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37, .57-74.
조봉진, 정경애 (1998). 소비자 특성과 선호하는 광고소구유형의 관계. 광고연구, 38, 57-76.
조재현 (1995). TV광고의 정보단서와 크리에이티브 전략 : 한국, 미국 및 캐나다의 사례비교.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Alan Resnik. & Bruce L. Stern (1977, January). An analysis of Information Content in Television Advertising. Journal of Marketing, 41, 50-53.
Berher, D. (1981, October). A Restrospective : FCB Recall Study. Advertising Age. 26.
Bruce L. Stern, Dean M. Krugman and Alan Resnik (1986). Magazine Advertising: An Analysis of Its Information Center.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1(2), 221-223.
Charles, S. Madden,. Marjorie, J. Caballero. & Shinya Matsukubo. (1986, March). Analysis of Information Content in U.S. and Japanese Magazine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15, 38-45.
Dowling Grahamn R. (1980). Information Content in U.S. and Australian Television Advertising, Journal of Marketing, 44(3), 34-37.
Jun, Young-Woo (1994). Cross-Cultural Advertis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United States and Korea. A Dessertation of University of Southern Mississippi.
Laczniak, G. R. (1979). Information Content in Print Advertising. Journalism Quarterly, 56(2), 325-345.
Ratchford. (1987). New Insights about the FCB GRID.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4-38.
Taylor, David. B. (1983). The Information Contents of Women's Magazine Advertising in The UK.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17(5), 28-32
Vaughn, R. (1980). How Advertising Works: A planning Model.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0(5), 27-33.
Vaughn, R. (1980). How Advertising Works : A Planning Model.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0(5), 27-33.
개 요
Ⅰ. 서 론
1) 문제제기
2) 연구목적
3) 연구문제의 설정
Ⅱ. 이론적 배경
1) FCB모델의 이론적 고찰
2) 광고 유형에 관한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Ⅵ. 참고문헌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6.06.29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73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