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특수교육에 대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특수교육에 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특수교육이란 무엇인가
2. 특수교육이 필요한 대상
3. 특수교육의 방법
4. 특수교육의 개선방안

Ⅲ. 결 론

* 참고문헌 *

본문내용

0). 유아특수교육의 최상의 실제. 한국특수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DRV C Karan & Stephen Greenspan(1995), Community Rehabiliyation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utterworth-Heinemann. NewYork.
Oliver, Michael(1996), Understanding Disability, MacMillan Press., London.
Wolfensberger, W.(1972), The Principle of Normalization.
참고자료
. 김광웅외 10인 共著, 장애영유아통합교육, 서울 : 범한 , 2001
. 여광응외 1인 共著, 장애유아의 조기교육, 서울 : 특수교육, 1994
. 김수진, 유아통합교육사례(일반 유 초 중등교사 9기),
국립특수교육원, 2001
. 이소현, 장애유아아동의 조기특수교육(특수교육 연수교재),
국립특수교육원, 1998
. 이미선, 유아특수교육유치부학급의 지원(특수교육 연수교재) 국립특수교육원, 2001
. 도널드 베일리, 마크 월러리 (이소현 옮김), 장애 영유아를 위한 교육
이화여자대학교, 1998
. 교육마당21(2003년 4월호),' 다양한 통합교육 운영 유형 및 실천 방향,' 교육인적자원부, 2003
참고자료
서울맹학교(1993), 개교 80주년, 동교
김영(1993), 장애아조기중재 서비스전달체계 모형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영환 외 6인(1990), 특수학교 시설.설비 기준령 제정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김옥기, 200년대 조기특수교육의 방향, 제8회 한국특수교육학회 심포지엄, 조기특수교육의 현안과 대책, 1-16
나정, 장명림, 이은주(1993), 공립유치원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동아일보(1992. 7. 20일자)
박경숙, 윤점룡, 이나미(1988), 특수학교의 시설.설비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서울선희학교(1993), 선희 80년의 발자취, 동교
윤점룡(1994), 특수유아교육의 시설.설비, 특수유아교육방법, 강남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327-341.
정정진(1995). 조기특수교육기관 운영의 활성화 방안, 특수교육논총 제12집, 1-35
정정진(1994), 특수유아교육의 개요, 특수유아교육방법, 강남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5-24.
한국카톨릭장애자복지협의회요람(1986), 동 협의회
한국의 교육지표(1992), 한국교육개발원
한국특수교육협회(1994), 30년사, 동 협회
홍준표(1991), 언어발달지체아동을 위한 조기치료교육 프로그램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4권, 제1호, 17-53.
Bailey, D.B. & Wolery, M(1989). Teaching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handicaps,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Berrueter-Clement, J., Schweinhart, L., Barnett, W., Eepstein, S., & Weikart, D.(1984), Changed lives: The effects of the Perry Preschool Program on youths through age 19(Monograph No.8). Ypsilanti, MI: High/Scope Educational Research Foundation.
Briker, D.D.(1989), Early intervention for at-risk and handicapped infants, toddlers, and preschool children, Palo Alto, CA: Vort
Fowler, W.(1975), How adult-child ratios influence infant derelopment, Interchange, 6, 17-31
Gulalnick, M.J.(1981), The efficacy of integrating handicapped children in early education settings: Research implications,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1), 57-71.
Lerner, J.O., Mardell-Czudnowski, C.O., & Goldenberg D.(1987), Special Education for the childhood years,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Inc.
Molloy, J.S.(1974), Trainable children: Curriculum and procedures, New York: The John Day Co.
Rogers-Warren, A., & Wedel, J.W.(1980), The ecology preschool classrooms for the handicapped. New Directions for Exceptional Children, 1, 1-24.
Smith, B.(Ed.), (1988), Mapping the future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PL 99-457, Iowa City: University of Iowa Press.
Zeitlin, S., & Williamson, G.G.(1994), Coping in young children: Early intervention practices to enhance adoptive behavior and resilience,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Inc.
참고자료
여광응, 조용태(1994). 장애유아의 조기교육.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이미선, 김경진(2000). 장애영 유아 가족지원 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이미선, 강병호, 김주영, 조광순(2001). 장애 영 유아 조기발견 및 진단 평가 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정신지체인 전국 부모연합회. http://members.namo.co.kr/~Monjapa/main.htm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07.02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76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