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참여의 확대가 가져온 갈등
(1) 참여정부의 사회적 성과
(2) 사회해체의 심화
(3) 과잉참여와 사회갈등의 심화
(4) 참여정부의 7가지 딜레마
4.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와 네트워크 거버넌스
(1) 관계론적 사고와 네트워크
(2) 복잡계 네트워크의 특성
(3) 실체주의와 관계주의
(4) 네트워크 거버넌스와 네트워크사회
(5)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명암
(6) 신뢰의 중요성
5. 연대와 통합을 위한 처방
(1) 관계주의의 내용: 연대와 신뢰의 상생 사회
(2) 연대와 통합의 의미
(3) 연대와 통합을 이루기 위한 전략
2. 참여의 확대가 가져온 갈등
(1) 참여정부의 사회적 성과
(2) 사회해체의 심화
(3) 과잉참여와 사회갈등의 심화
(4) 참여정부의 7가지 딜레마
4.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와 네트워크 거버넌스
(1) 관계론적 사고와 네트워크
(2) 복잡계 네트워크의 특성
(3) 실체주의와 관계주의
(4) 네트워크 거버넌스와 네트워크사회
(5)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명암
(6) 신뢰의 중요성
5. 연대와 통합을 위한 처방
(1) 관계주의의 내용: 연대와 신뢰의 상생 사회
(2) 연대와 통합의 의미
(3) 연대와 통합을 이루기 위한 전략
본문내용
대화하기 위해 강한 사적인 신뢰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려는 경향이 강화되는 악순환이 지속되기 때문이다.
전통적 권위, 카리스마적 권위 등이 모두 사라진 상황에서, 법률적이고 합리적인 절차에 대한 존중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궁극적으로 사회적 갈등을 해소할 평화적 방법이 없다는 점도 주의해야 한다.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보면, 과거 노사정위원회의 거듭된 실패의 배경에는 3자 모두 지키기 어려운 약속들을 양산한 과거 경험이 발목을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산업, 조세, 복지 등의 정책에서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리고 일단 국민적 합의에 의해 만들어진 법률과 헌법조항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수용하고 존중하는 일관성을 표시할 필요가 있다.
연대를 통한 상생사회는 사회적 통합이 사회의 진보와 개혁의 토대가 되는 사회를 의미한다. 분열된 국가는 앞으로 진전할 수 없다. 상생의 의미는 지역, 계층, 성, 세대, 더 나아가서 인간과 자연이 더불어 잘 사는 사회를 의미한다.
연대와 통합을 이루는 사회의 철학적 기초는 서로의 가치를 존중하고 공존하면서 다원적 문화를 수립하는 일이다. 네트워크사회에서 증대되는 경제적 양극화를 치유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통합이 필요하고, 지속가능한 사회적 투자를 위한 제도화가 필수적이다.
참고문헌
김정렬. 2000. “정부의 미래와 거버넌스: 신공공관리와 정책네트워크,” 『한국행정학보』 34(1): 21~39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 2004, 갈등관리시스템 구축방안
대통령직인수위원회, 2003. 참여정부의 국정운영방안과 국정과제
박용관, 1999.『네트워크론』, 커뮤니케이션북스.
배응환. 2003. “거버넌스의 실험: 네트워크조직의 이론과 실제” 『한국행정학보』 37(3): 67~93
서문기, 2004. “한국의 사회갈등 구조 연구,” 한국사회학 38(6): 195-218
이광모. 2003. “복잡적응시스템(CAS)으로서의 거버넌스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5(4): 97~115
이수형. 2004. “다층거버넌스로서의 유럽연합 체제,” 『세계지역연구논총』 22(1): 29~47
이용필, 1999. 『사회과학연구와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창순. 2001.『조직: 구조와 과정』. 박영사.
정하웅. 2004. “복잡계 네트워크의 구조와 응용” 『전자공학회지』 31(4): 438~444
홍길표, 2001. “경제활동의 지배구조와 네트워크조직,” 『경영저널』 2(1): 77~101
Axelrod Robert and Michael D. Cohen, Harnessing Complexity: Organizational Implications of a Scientific Frontier, Basic Books, 2000
Barabasi, Albert-Laszlo. 2000. Linked (강병남 김기훈 역 『링크』, 동아시아 2002)
Buchanan, Mark. 2002. Nexus (강수정 옮김. 『넥서스: 여섯 개의 고리로 읽는 세상』, 세종연구원 2003)
Castells, Manuel. 2000a.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김묵한, 박행웅, 오은주 역. 『네트워크사회의 도래』. 한울아카데미. 2003)
______. 2000b. The Power of Identity. Basil Blackwell.
______ 2002c. End of Millennium. (박행웅, 이종삼 옮김. 『밀레니엄의 종언』. 한울 아카데미. 2003)
Cross, Rob and Andrew Parker, The Hidden Power of Social Networks: Understanding How Work Really Gets Done in Organizations,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4
Hollingsworth, J. Rogers. and Robert Boyer eds. 1997. Contemporary Capitalism: The Embeddedness of Institution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Huberman, Bernardo A., The Laws of the Web: Patterns in the Ecology of Information., The MIT Press, 2001
Johnson, Steven. 2001. Emergence (김한영 옮김, 『이머전스』, 김영사. 2004)
Klijn, Erik-Hans 2002. “Governing Networks in the Hollow State: Contracting out, process management or a combination of the two?” Public Management Review 4(2):149-165
Knoke, David. 2001. Changing Organizations: Business Networks in the New Political Economy. Boulder, Co: Westview Press.
Krugman, Paul. 1996. The Self-Organizing Economy, Blackwell (박정태 옮김, 『자기 조직의 경제』, 부키 2002)
Marion, Russ. The Edge of Organization: Chaos and Complexity Theories of Formal Social Systems, Sage Publications, 1999
obs: The Next Social Revolution, Brockman (이운경 옮김, 『참여군중』, 황금가지)
Rosen, Emanuel. 2002. The Anatomy of Buzz: How to Create Word-of-Mouth Marketing, A Currency Book,
Scott, Richard. 2003. Organizations: Rational, Natural, and Open Systems,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전통적 권위, 카리스마적 권위 등이 모두 사라진 상황에서, 법률적이고 합리적인 절차에 대한 존중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궁극적으로 사회적 갈등을 해소할 평화적 방법이 없다는 점도 주의해야 한다.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보면, 과거 노사정위원회의 거듭된 실패의 배경에는 3자 모두 지키기 어려운 약속들을 양산한 과거 경험이 발목을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산업, 조세, 복지 등의 정책에서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리고 일단 국민적 합의에 의해 만들어진 법률과 헌법조항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수용하고 존중하는 일관성을 표시할 필요가 있다.
연대를 통한 상생사회는 사회적 통합이 사회의 진보와 개혁의 토대가 되는 사회를 의미한다. 분열된 국가는 앞으로 진전할 수 없다. 상생의 의미는 지역, 계층, 성, 세대, 더 나아가서 인간과 자연이 더불어 잘 사는 사회를 의미한다.
연대와 통합을 이루는 사회의 철학적 기초는 서로의 가치를 존중하고 공존하면서 다원적 문화를 수립하는 일이다. 네트워크사회에서 증대되는 경제적 양극화를 치유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통합이 필요하고, 지속가능한 사회적 투자를 위한 제도화가 필수적이다.
참고문헌
김정렬. 2000. “정부의 미래와 거버넌스: 신공공관리와 정책네트워크,” 『한국행정학보』 34(1): 21~39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 2004, 갈등관리시스템 구축방안
대통령직인수위원회, 2003. 참여정부의 국정운영방안과 국정과제
박용관, 1999.『네트워크론』, 커뮤니케이션북스.
배응환. 2003. “거버넌스의 실험: 네트워크조직의 이론과 실제” 『한국행정학보』 37(3): 67~93
서문기, 2004. “한국의 사회갈등 구조 연구,” 한국사회학 38(6): 195-218
이광모. 2003. “복잡적응시스템(CAS)으로서의 거버넌스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5(4): 97~115
이수형. 2004. “다층거버넌스로서의 유럽연합 체제,” 『세계지역연구논총』 22(1): 29~47
이용필, 1999. 『사회과학연구와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창순. 2001.『조직: 구조와 과정』. 박영사.
정하웅. 2004. “복잡계 네트워크의 구조와 응용” 『전자공학회지』 31(4): 438~444
홍길표, 2001. “경제활동의 지배구조와 네트워크조직,” 『경영저널』 2(1): 77~101
Axelrod Robert and Michael D. Cohen, Harnessing Complexity: Organizational Implications of a Scientific Frontier, Basic Books, 2000
Barabasi, Albert-Laszlo. 2000. Linked (강병남 김기훈 역 『링크』, 동아시아 2002)
Buchanan, Mark. 2002. Nexus (강수정 옮김. 『넥서스: 여섯 개의 고리로 읽는 세상』, 세종연구원 2003)
Castells, Manuel. 2000a.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김묵한, 박행웅, 오은주 역. 『네트워크사회의 도래』. 한울아카데미. 2003)
______. 2000b. The Power of Identity. Basil Blackwell.
______ 2002c. End of Millennium. (박행웅, 이종삼 옮김. 『밀레니엄의 종언』. 한울 아카데미. 2003)
Cross, Rob and Andrew Parker, The Hidden Power of Social Networks: Understanding How Work Really Gets Done in Organizations,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4
Hollingsworth, J. Rogers. and Robert Boyer eds. 1997. Contemporary Capitalism: The Embeddedness of Institution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Huberman, Bernardo A., The Laws of the Web: Patterns in the Ecology of Information., The MIT Press, 2001
Johnson, Steven. 2001. Emergence (김한영 옮김, 『이머전스』, 김영사. 2004)
Klijn, Erik-Hans 2002. “Governing Networks in the Hollow State: Contracting out, process management or a combination of the two?” Public Management Review 4(2):149-165
Knoke, David. 2001. Changing Organizations: Business Networks in the New Political Economy. Boulder, Co: Westview Press.
Krugman, Paul. 1996. The Self-Organizing Economy, Blackwell (박정태 옮김, 『자기 조직의 경제』, 부키 2002)
Marion, Russ. The Edge of Organization: Chaos and Complexity Theories of Formal Social Systems, Sage Publications, 1999
obs: The Next Social Revolution, Brockman (이운경 옮김, 『참여군중』, 황금가지)
Rosen, Emanuel. 2002. The Anatomy of Buzz: How to Create Word-of-Mouth Marketing, A Currency Book,
Scott, Richard. 2003. Organizations: Rational, Natural, and Open Systems,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추천자료
지역문화정책의 분석평가 연구
민․관 파트너십에 관한 연구- NGO와 정부의 협력관계를 중점으로
관료제의 개념, 원리, 유형
정부와 국제NGO 관계
행정학 고전적, 현대적 패러다임
지역사회복지 논문 요약
참여예산제도
[정보화세계화] 정보화가 물리적 비물리적 세계화의 진행과정에 어떤 식으로 기여 하였는지에...
[국가상징, 국가상징 개념, 국가상징과 국가예전, 국가상징과 국가보훈정책, 국가상징과 국경...
지방자치제에 따른 지역사회복지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공무원시험 행정학개론 합격전략서
[2015세계의정치와경제] 정보화와 세계화로 인해 나의 삶은 어떤 변화를 겪었는지에 대해 서...
MICE산업 ( Meeting, Incentive travel, Convention, Exhibition ) - MICE산업 개념 및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