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본문내용
1. 장애인
1) 장애인의 정의
(1) 협의의 개념 :
신체 또는 정신의 기능 저하, 이상, 상실 또는 신체 일부의 훼손 등을 지칭하는 의학적 수준.
(2) 광의의 개념 : 손상, 결함(impairment),
능력장애(disability)
사회적 불리(handicap)
(3) 우리나라 장애인 복지법 제2조
“장애인이라 함은 신체적 • 정신적 장애로인하여 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를 말한다.
2) 장애의 분류(1997년 WHO)
기존의 분류에 대해 장애의 새로운 개념과 분류기준 등에 대하여 제시
* ICIDH-2(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 Disabilities and Handicaps)
(1) 손상항목 : 873개 항목
지체의 일부, 전부가 결손 되었거나 지체나 기관 혹은 신체구조에 결함이 있는 상태.
생리학적, 심리학적, 해부학적으로 일시적 또는 영구적 손실이나 비정상적인 상태.
1) 장애인의 정의
(1) 협의의 개념 :
신체 또는 정신의 기능 저하, 이상, 상실 또는 신체 일부의 훼손 등을 지칭하는 의학적 수준.
(2) 광의의 개념 : 손상, 결함(impairment),
능력장애(disability)
사회적 불리(handicap)
(3) 우리나라 장애인 복지법 제2조
“장애인이라 함은 신체적 • 정신적 장애로인하여 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를 말한다.
2) 장애의 분류(1997년 WHO)
기존의 분류에 대해 장애의 새로운 개념과 분류기준 등에 대하여 제시
* ICIDH-2(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 Disabilities and Handicaps)
(1) 손상항목 : 873개 항목
지체의 일부, 전부가 결손 되었거나 지체나 기관 혹은 신체구조에 결함이 있는 상태.
생리학적, 심리학적, 해부학적으로 일시적 또는 영구적 손실이나 비정상적인 상태.
추천자료
노인복지법과 장애인 복지 법관련
장애인 복지 법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의 주된 내용과 사회복지법적인 의의
(사회복지) 장애인차별금지법 주요내용정리 및 정책 제안 보고서
장애인 복지법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의 주된 내용과 사회복지법적인의의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의 주된 내용과 사회복지법적인 의의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의 주된 내용과 사회복지법적인의의
장애인의 인권 문제를 사회복지법적 차원에서 조사하여 재출하시오
사회복지법의 목적으로서 사회적 통합, 장애인에 대한 성폭력범죄의 법리적 문제와 입법론적 ...
[장애인 복지론] 장애인 독립 위해 법제도를 실생활에 맞게 변경 적용.
[사회복지정책론] 장애인차별금지법의 현황과 문제점 및 대안
[영화감상문] 법적인 시간으로 바라본 제시 넬슨감독의 영화 '아이엠 셈'(I am Sam) - 아동복...
[사회복지법제연구]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에 관한 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