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Dewey : 학교 교육을 통한 사회 개혁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J. Dewey : 학교 교육을 통한 사회 개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교육을 통한 사회개혁 가능성의 논리적 근거

Ⅲ. 교육을 통한 사회개혁 가능성에 대한 듀이의 견해

Ⅳ. 결론

본문내용

이다.
교육을 통한 사회개혁과 관련한 듀이의 견해에 대한 이러한 해석은 결국 사회개혁이라는 중요한 시대적 과제를 안고 있는 우리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해 준다.
그것은 교육이 교육 외적인 사회구조에 의해 수동적으로 결정된다는 의식과 태도를 경계하게 해 준다는 점이다. 듀이가 경제 대공황을 경험하고 나서 교육이 자본주의 사회의 경제 또는 정치구조의 영향력을 벗어 날 수 없다는 사실을 새롭게 인식하고 나서 교육을 통한 사회개혁 전략의 효율성을 의심하고, 교육 외적인 사회구조 자체에 대한 직접적인 개혁을 추구했다는 주장은 결국 듀이가 교육에 대한 사회결정론을 취하게 되었다는 주장과 같은 의미이다. 이러한 관점을 취하게 될 경우, 우리는 듀이 사상으로부터 사회개혁 과정에서 교육이 수행할 수 있는 적극적인 역할을 간과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그리하여 교육 또는 학교는 정치나 경제 영역에서 결정되고 추진되는 제반 정책을 수행하는 기술적 도구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연구자가 분석한 바로는 초기나 중기 그리고 후기 등 어느 시기의 듀이 사상에도 이러한 사회결정론을 취한 적이 없다. 즉, 듀이는 시종일관 사회와 교육이 지속적인 상호작용 과정 속에서 서로를 끊임없이 변화시킨다고 믿었다. 바로 거기에서 교육을 통한 사회개혁의 가능성을 찾았던 것이다. 듀이에게 있어 학교는 사회적 민주주의가 보편적인 생활양식이 될 수 있도록 이끌 특별한 의무를 갖고 있다. 그리고 학교가 그러한 의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그 자체를 민주적인 공동생활의 장으로 만들어야 한다. 왜냐하면, 학교라는 민주적인 공동생활은 사회적 지성을 함양하고 지성을 구비한 공중(the public)을 형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지역 사회뿐만 아니라 더 넓은 사회를 민주적 공동체로 변화시키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듀이의 견해는 사회개혁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현 시점에서 교육이 사회개혁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대비하고 준비해야 할 것인지를 시사해 준다. 그것은 우리의 학교를 자유로운 의사소통과 풍부하고 평등한 참여가 보장되며 지성적인 합의를 이끌어 내는 이상적인 민주 공동체로 개혁해야 한다는 것이라 하겠다.
- 참 고 문 헌 -
곽철규(1990), “John Dewey의 사회철학: J. Dewey의 사회개혁론”, 호서문화연구 제9집, 충북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 pp. 123~148.
김태길(1978), 존 듀이의 사회철학, 태양문화사.
송선희(1993), “Dewey의 사회개조론과 교육”,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______(1996), “J. Dewey: 사회개혁 사상의 발전과정에서 드러난 특징”, 교육학연구 제14호, 계명대학교 교육연구소, pp. 33~41.
이주한(1998) “듀이의 교육철학에서 사회개혁과 교사”, 학생생활연구 제22집, 춘천교육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pp. 265~282
______(1998), “듀이의 사회개혁과 민주적 교육사상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______(1999), “듀이의 자본주의 경제 비판과 그 교육적 대안”, 교육연구 제 16집, 춘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pp. 263~293.
______(2000), “듀이 철학에서 사회적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교육적 방안”, 「교육철학」제23집, 교육철학회, pp.73-100.
______(2003), “듀이 교육론에서 교육개혁의 방법적 원리”, 「교육철학」제25집, 교육철학회, pp.117-133.
Callan, E.(1981), "Education for Democracy: Dewey's Illiberal Philosophy of Education", Educational Theory, Vol.3, No.2, Spring, pp.167~176.
Campbell, J.(1979), "Pragmatism and Reform: Social Reconstruction in the Thought of John Dewey and George Herbert Mead", Doctoral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Stony Brook.
Damico, A. J.(1981), "Dewey and Marx: On Partisanship and the Reconstruction of Society",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75, No.3, September, pp.654~666.
Dewey, J.(1898), "My Pedagogic Creed", J. A. Boydston(ed), Early Works of John Dewey, Vol. 5, Carbondale and Edwardsvil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Feinberg, W.(1993), "Dewey and Democracy: At the Dwan of the Twenty-First Century", Educational Theory, Vol.43, No.2, Spring, pp.195~198.
Lee, S.(1993), "School and Social Reform : John Dewey's Changing View", Doctoral Dissertation, Stanford University.
New York Times Magazine(10 July, 1932), "A Philosopher Sees the Time Ripe for Radical Change in Our Fundamental Ideas on Both Education and Politics", Later Works 6.
Phillips, J. O. C.(1983), "John Dewey and social control reconsidered", History of Education, Vol.12, No.1, pp.25~37.
Westbrook, R. B.(1992), John Dewey and American Democracy, second printing, Cornell University Press.

키워드

듀이,   학교,   교육,   사회,   개혁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6.07.15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89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