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음주예절 문화
1) 한국의 음주예절
2) 중국의 음주예절
3) 비교
2. 전통혼인문화
1) 한국의 혼인문화
2) 중국의 혼인문화
3) 비교
3. 식사예절 문화
1) 한국의 식사예절
2) 중국의 식사예절
3) 비교
1) 한국의 음주예절
2) 중국의 음주예절
3) 비교
2. 전통혼인문화
1) 한국의 혼인문화
2) 중국의 혼인문화
3) 비교
3. 식사예절 문화
1) 한국의 식사예절
2) 중국의 식사예절
3) 비교
본문내용
원형 식탁이 있는데 근래에는 인원수의 증감에 영향이 적은 원형 식탁을 주로 쓴다.
중국 식사는 형식을 차리기 보다는 즐겁게 이야기 하며 먹는 것이 특징이므로 즐거운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요리를 먹는 중간중간에 계속 차를 마신다.
중국요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차이다. 동양권의 어느 나라보다 차 문화가 발달 된 곳인데, 그렇기 때문에 음식을 먹는 중간중간에도 계속 차를 마시며, 차를 마실 때에는 받침까지 함께 들고 마신다.
요리에 따라서는 손으로 집어 먹을 수도 있다.
중국요리를 먹을 때에는 요리의 대부분이 커다란 접시에 담겨나와 돌아가는 원형 테이블 에 놓이거나 일반 테이블 경우는 중앙쪽에 놓여 각자 개인 접시에 먹을 만큼 양을 덜어 먹도록 되어 있다. 이 때, 물론 젓가락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요리에 따라 개인접시를 받쳐가며 손으로 직접 먹어도 실례가 되지 않는다.
좌석의 배치
중국음식은 한 식탁에 둘러앉아서 큰 접시에 나온 음식을 여러 사람이 나누어 먹는 방식 이므로, 동석한 사람들이 식사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좌석은 주빈이 되는 손님이 가장 안쪽인 상좌(上座)에 앉도록 배치하고, 주인은 시중을 드는 사람이 드나드는 문쪽의 하좌(下座)에 앉는다.
주빈의 좌우에는 주빈 다음으로 중요한 손님을 앉게 하고, 주인의 좌우에는 가까운 친지 나 친구들을 앉게 한다. 음식이 나오면 주빈 앞에 놓아 먼저 먹도록 배려하고, 마실 술의 종류도 주빈에게 물어서 정하도록 한다.
스푼과 젓가락
중국 식탁에서 스푼은 탕을 먹을 때만 사용하고, 다른 음식을 먹을 때에는 젓가락을 사용 하며, 밥이나 국수는 젓가락을 사용한다. 또한 입에 넣는 것이므로 다른 사람에게 불쾌감 을 주지 않도록 조심하고 깨끗하게 사용하도록 한다.
두 세가지 요리를 하나의 접시에 덜어 담아 먹을 수 있으며, 개인 접시에 덜어담는 요리 의 분량은 요리가 남아도 실례가 되며, 처음부터 너무 많이 먹어서 다음 요리를 먹지 못 하는 것도 곤란하므로 조금 적다 싶을 정도로 담는 것이 좋다. 네이버 블로그, 「중국의 식사예절」, http://blog.naver.com/jkparkstar?Redirect=Log&logNo=100023710725
중국의 식사예절에서 사용하고 난 수저를 남에게 보이는 것은 실례이다. 따라서, 탕을 먹은 뒤 스푼을 뒤집어 놓는다.
중국 음식에는 중국차가 반드시 따라 나온다. 차를 다 마신 뒤 더 마시고 싶을 때에는 찻잔의 뚜껑을 반쯤 열리게 덮어놓으면 된다.
3) 비교
같은점
다른점
식사 중에 수저를 국그릇에 걸쳐놓는다.
수저는 항상 깨끗이 사용한다.
젓가락의 사용법이 같다.
덜어담아 먹는 접시가 있다.
중국은 숟가락을 탕을 먹을 때만 사용하 며, 우리나라는 밥을 떠먹을때나 국을 먹 을 때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식사 후 수저를 남에게 보이 는 것은 실례라 하여 스푼을 뒤집어 놓는 다.
중국에서는 식사시 자리가 정해져있다.
한국은 식사 때 조용히 먹는 편이나, 중 국에서는 즐겁게 이야기 하며 먹는다.
중국 식사는 형식을 차리기 보다는 즐겁게 이야기 하며 먹는 것이 특징이므로 즐거운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요리를 먹는 중간중간에 계속 차를 마신다.
중국요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차이다. 동양권의 어느 나라보다 차 문화가 발달 된 곳인데, 그렇기 때문에 음식을 먹는 중간중간에도 계속 차를 마시며, 차를 마실 때에는 받침까지 함께 들고 마신다.
요리에 따라서는 손으로 집어 먹을 수도 있다.
중국요리를 먹을 때에는 요리의 대부분이 커다란 접시에 담겨나와 돌아가는 원형 테이블 에 놓이거나 일반 테이블 경우는 중앙쪽에 놓여 각자 개인 접시에 먹을 만큼 양을 덜어 먹도록 되어 있다. 이 때, 물론 젓가락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요리에 따라 개인접시를 받쳐가며 손으로 직접 먹어도 실례가 되지 않는다.
좌석의 배치
중국음식은 한 식탁에 둘러앉아서 큰 접시에 나온 음식을 여러 사람이 나누어 먹는 방식 이므로, 동석한 사람들이 식사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좌석은 주빈이 되는 손님이 가장 안쪽인 상좌(上座)에 앉도록 배치하고, 주인은 시중을 드는 사람이 드나드는 문쪽의 하좌(下座)에 앉는다.
주빈의 좌우에는 주빈 다음으로 중요한 손님을 앉게 하고, 주인의 좌우에는 가까운 친지 나 친구들을 앉게 한다. 음식이 나오면 주빈 앞에 놓아 먼저 먹도록 배려하고, 마실 술의 종류도 주빈에게 물어서 정하도록 한다.
스푼과 젓가락
중국 식탁에서 스푼은 탕을 먹을 때만 사용하고, 다른 음식을 먹을 때에는 젓가락을 사용 하며, 밥이나 국수는 젓가락을 사용한다. 또한 입에 넣는 것이므로 다른 사람에게 불쾌감 을 주지 않도록 조심하고 깨끗하게 사용하도록 한다.
두 세가지 요리를 하나의 접시에 덜어 담아 먹을 수 있으며, 개인 접시에 덜어담는 요리 의 분량은 요리가 남아도 실례가 되며, 처음부터 너무 많이 먹어서 다음 요리를 먹지 못 하는 것도 곤란하므로 조금 적다 싶을 정도로 담는 것이 좋다. 네이버 블로그, 「중국의 식사예절」, http://blog.naver.com/jkparkstar?Redirect=Log&logNo=100023710725
중국의 식사예절에서 사용하고 난 수저를 남에게 보이는 것은 실례이다. 따라서, 탕을 먹은 뒤 스푼을 뒤집어 놓는다.
중국 음식에는 중국차가 반드시 따라 나온다. 차를 다 마신 뒤 더 마시고 싶을 때에는 찻잔의 뚜껑을 반쯤 열리게 덮어놓으면 된다.
3) 비교
같은점
다른점
식사 중에 수저를 국그릇에 걸쳐놓는다.
수저는 항상 깨끗이 사용한다.
젓가락의 사용법이 같다.
덜어담아 먹는 접시가 있다.
중국은 숟가락을 탕을 먹을 때만 사용하 며, 우리나라는 밥을 떠먹을때나 국을 먹 을 때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식사 후 수저를 남에게 보이 는 것은 실례라 하여 스푼을 뒤집어 놓는 다.
중국에서는 식사시 자리가 정해져있다.
한국은 식사 때 조용히 먹는 편이나, 중 국에서는 즐겁게 이야기 하며 먹는다.
추천자료
[ 일본사회 문화 ] 일본 사회의 술과 예절 - 일본 술 예절 -
동서양의 예절문화의 차이점과 공통점
한국 예절문화의 중요성
이집트의 문화와 예절
[다도][차][예절][다례][다예][차문화][다도의 기여][다도와 예절][다도의 활용][차 마시는 ...
[영국][영국문화][영국의 문화][영국의 예절][영국 생활수준][영국 종교][영국 교육][영국 복...
[프랑스문화] 프랑스의 의복문화, 음식문화, 주거문화, 예절, 축제, 벼룩시장
유럽문화와사회 - 유럽인의 예절문화에 대하여
일본문화에 대하여,일본문화음식,일본 문화예절,일본의 자랑거리,느낀점
[푸드코디] Chapter 2. 푸드 코디네이트론 - 중국의 식사문화 테이블 데커레이션 아이템.ppt
[일본문화] 일본의 주거문화 (일본 주택의 특징, 주거형태, 주거예절, 가옥의 구조 등)
[기업 개발][공동기술개발][예절교육프로그램개발][공동기술개발]기업 공동연구개발, 기업 직...
[A+] 프랑스에 대한 조사보고서 (문화,음식,주류,음료,식사,축제,숙박,교통,주요관광지).ppt
베트남 음식문화 {배트남 음식문화의 배경과 특징, 베트남 음식예절, 베트남 음식, 배트남 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