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 1) 생명철학과 참된 자아 실현의 교육론
- 2) 유기체적 대동사회 구현의 친민 정치론
- 3) 인심과 만물일체의 생명윤리
- 4) 인간과 자연, 그 하나됨의 생명철학
3.결론
2.본론
- 1) 생명철학과 참된 자아 실현의 교육론
- 2) 유기체적 대동사회 구현의 친민 정치론
- 3) 인심과 만물일체의 생명윤리
- 4) 인간과 자연, 그 하나됨의 생명철학
3.결론
본문내용
것을 윤리와 환경 윤리에 적용하여 양지 실현의 본래적 의미를 되새겨 보아야 할 것이다.
양명학의 생명관에 대하여 필자는 전적으로 동의하는 바이다. 이것은 근래에 등장한 시스템 이론과도 상통하는 것으로, 생명이라는 것이 물론 개개인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생태계를 하나의 살아 숨쉬는 유기체로 본다면 개체의 문제가 아닌 전 생명의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함부로 파괴하거나 손상시키는 것은 옳지 않다.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 걸음은 인간도 자연의 일부라는 점을 인식하고, 자연을 손상시키면 절대 인간도 온전하게 생명을 유지할 수 없음을 알아야 한다. 더불어 인간과 자연이 하나되기 위해 인간은 모든 생명을 양육하는 역할에 충실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과학기술개발은 환경문제를 개선해소하여, 생명력을 유지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현대는 과학이 고도로 발전한 시대이다. 그러나 과학이 발전하는 속도만큼 윤리학이 따라가지 못하여 문제들이 생기고 있다. 이러한 윤리적 문제들은 기존에 사상들을 환경에 맞추어 재구성하고, 발전시키는 것에서 해결책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에 양명학은 그 특유의 생명 중심적인 관점과 유연성으로 여러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할 것이다.
3. 결론
본고를 작성하면서, 나는 양명과 대화를 하는 느낌을 받았다. 어떠한 상황에서 양명은 자신의 사상을 전개하고, 나는 그것에 대해 계속해서 질문과 반론을 제기하고, 양명은 다시 그것에 대한 대답을 주었다.
이렇듯 서로 소통할 수 있었던 것은 앞에서 양명학의 교육론과 정치론, 생명윤리와 자연관까지 현대적인 의미를 되새겨본 바로 양명학은 다른 학문에 비해서 특유의 개방성과 유연성, 융통성을 가졌기 때문인 것 같다. 이것은 공리공론과 절대원리에 집착했던 주자의 성리학에 반기를 들며 나타난 사상이기 때문이리라. 또한 평등과 실천, 현대사회에서도 중요시되는 이런 이념들을 양명은 앞선 시대에서 논할 만큼 진보주의적인 성격 때문에 현대적으로 적용시켜 보았을 때 적당하고,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들의 사상의 바탕에 자리잡고 있는 것은 오직 ‘나’만 생각하는 이기주의인 것 같다. 그리고 이러한 이기주의가 많은 사회적인 문제들을 낳는다. 타인을 생각할 여유도 없고, 자연과 생태계를 생각할 여유는 더더욱 없다. 단지 나의 안위만 생각하고, 나의 생명만 보존하기 위해 급급해 한다. 따라서 양명학을 탐구하고, 그의 정신을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양명은 처음부터 끝까지 계속해서 천지만물과 더불어 온전히 살아야 함을 역설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신만 생각하는 개체욕망은 언제나 제거되어야 하는 것이다. 물론 개체욕망, 타인과의 경쟁이 불러오는 긍정적인 면과 경제적인 효과들도 존재할 것이다. 하지만 그것에 집착하면 결국 양지를 실현할 수 없고, 인간은 그 고유의 밝은 빛을 잃게 될 것이다.
모든 생명을 위하는 삶은 너무 이상적이라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그것을 지침으로 삼아 다가서기 위해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갈 때, 보다 온전하고 생명력 넘치는 세상이 만들어져 갈 것이다.
양명학의 생명관에 대하여 필자는 전적으로 동의하는 바이다. 이것은 근래에 등장한 시스템 이론과도 상통하는 것으로, 생명이라는 것이 물론 개개인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생태계를 하나의 살아 숨쉬는 유기체로 본다면 개체의 문제가 아닌 전 생명의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함부로 파괴하거나 손상시키는 것은 옳지 않다.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 걸음은 인간도 자연의 일부라는 점을 인식하고, 자연을 손상시키면 절대 인간도 온전하게 생명을 유지할 수 없음을 알아야 한다. 더불어 인간과 자연이 하나되기 위해 인간은 모든 생명을 양육하는 역할에 충실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과학기술개발은 환경문제를 개선해소하여, 생명력을 유지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현대는 과학이 고도로 발전한 시대이다. 그러나 과학이 발전하는 속도만큼 윤리학이 따라가지 못하여 문제들이 생기고 있다. 이러한 윤리적 문제들은 기존에 사상들을 환경에 맞추어 재구성하고, 발전시키는 것에서 해결책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에 양명학은 그 특유의 생명 중심적인 관점과 유연성으로 여러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할 것이다.
3. 결론
본고를 작성하면서, 나는 양명과 대화를 하는 느낌을 받았다. 어떠한 상황에서 양명은 자신의 사상을 전개하고, 나는 그것에 대해 계속해서 질문과 반론을 제기하고, 양명은 다시 그것에 대한 대답을 주었다.
이렇듯 서로 소통할 수 있었던 것은 앞에서 양명학의 교육론과 정치론, 생명윤리와 자연관까지 현대적인 의미를 되새겨본 바로 양명학은 다른 학문에 비해서 특유의 개방성과 유연성, 융통성을 가졌기 때문인 것 같다. 이것은 공리공론과 절대원리에 집착했던 주자의 성리학에 반기를 들며 나타난 사상이기 때문이리라. 또한 평등과 실천, 현대사회에서도 중요시되는 이런 이념들을 양명은 앞선 시대에서 논할 만큼 진보주의적인 성격 때문에 현대적으로 적용시켜 보았을 때 적당하고,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들의 사상의 바탕에 자리잡고 있는 것은 오직 ‘나’만 생각하는 이기주의인 것 같다. 그리고 이러한 이기주의가 많은 사회적인 문제들을 낳는다. 타인을 생각할 여유도 없고, 자연과 생태계를 생각할 여유는 더더욱 없다. 단지 나의 안위만 생각하고, 나의 생명만 보존하기 위해 급급해 한다. 따라서 양명학을 탐구하고, 그의 정신을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양명은 처음부터 끝까지 계속해서 천지만물과 더불어 온전히 살아야 함을 역설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신만 생각하는 개체욕망은 언제나 제거되어야 하는 것이다. 물론 개체욕망, 타인과의 경쟁이 불러오는 긍정적인 면과 경제적인 효과들도 존재할 것이다. 하지만 그것에 집착하면 결국 양지를 실현할 수 없고, 인간은 그 고유의 밝은 빛을 잃게 될 것이다.
모든 생명을 위하는 삶은 너무 이상적이라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그것을 지침으로 삼아 다가서기 위해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갈 때, 보다 온전하고 생명력 넘치는 세상이 만들어져 갈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