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장 개선요소(인간공학적 설계)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작업장 개선요소(인간공학적 설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작업장 개선요소

1.부적절한자세
- 너무 낮은 작업점
- 너무 높은 작업점
- 너무 멀어 뻗친 자세
- 협소한 공간
- 정밀 작업의 목굽힘 자세
- 시야 확보를 위한 자세
- 수공구의 사용

2. 반복동작
- 고도의 반복동작
- 자동화 라인의 기계속도

3. 과도한 힘
- 손잡이가 없고 큰 대상물
~~~~~~~~~~~~~~~~~~~~~~~~~~~~~~~~~~~~~~~~~~~~~~

4. 인간공학적 개선(작업개선)

본문내용

기 때문에 미끄러짐이 있을 것 같다. 롤러 컨베이어보다는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으로 바꾸면 될 듯 하다.
개선요소 : 둘 다 금속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미끄러짐이 있어서 이동시킬 때 불편함이 있을 것 같다. 고무볼이 있다면 그것을 이용하면 될 듯 하다.
라. 부품 상자 및 도구 상자의 개선
개선요소 : 원형 테이블에 놓여있기 때문에 배치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자주 쓰이는 물건은 앞쪽에 그리고 모아서 배치를 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테이블을 선반형으로 바꿔주는 것도 괜찮을 듯 싶다.
개선요소 : 부품의 크기가 작은 것처럼 보이는데 부품 상자 또한 그 홈이 작은 것 같다. 부품 상자의 홈의 크기를 늘려 주거나 다음과 같은 정밀 작업은 기계로 대체해 주면 좋을 듯 싶다.
개선요소 : 부품상자가 빗면을 그리고 있기 때문에 부품들이 미끄러져 내려온다. 빗면에다 홈을 주거나 평면으로 해주어야 한다.
개선요소 : 도구들이 배치 테이블에 정렬되어 있는 것은 괜찮은 듯 한데 홈에 끼어있어서 꺼낼 때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작업시에는 홈이 없는편이 낳을 것 같다. 홈이 있는 것은 작업이 끝나고 보관할때만 필요할 듯 하다.
마. 편안한 자세의 제공
개선요소 : 의자의 높이를 낮추어 작업자의 발이 직접 땅바닥에 닿도록 해주거나 작업대의 높이를 낮추어 준다.
개선요소 : 작업을 할 때 쓰이는 기기가 너무 작업자 쪽으로 놓여 있고 작업자의 팔이 그로 인해서 기기를 컨트롤 할 수 있는 범위 밖에 있다. 작업자의 높이를 약간 높이거나 작업대의 높이를 낮추고 기기의 위치를 약간 뒤로 물리면 될거 같다.
개선요소 : 작업자가 물건을 놓을때나 옮길 때 무릎을 꿇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으므로 주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소를 위로 옮겨야 한다.
바. 적절한 조명
개선요소 : 조명이 너무 밝거나 어둡게 되면 피로도가 많이 쌓이게 되고 작업할시 불편함을 느끼므로 적당한 조도를 택해야 한다.
2. 자재 운반의 개선
가. 들기 작업의 개선
개선요소 : 물건을 들어올리는 작업을 할 때는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 해야한다. 다음과 같은 그림에서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서 기계의 밑 부분에 받침대를 설치 해주어야 한다.
개선요소 : 물체를 운반하는데 쓰이는 기기가 보다 안전과 용도를 고려해서 만들어 져야 할 것 같다. 예를 들어 부착형식의 운반기기 보다는 집게 형식이 낳을 듯 하다,
개선요소 : 그림과 같이 그리 무겁지 않은 물체는 굳이 기기를 이용하기보다는 사람이 직접 운반하는 게 낳을 것 같다.
개선요소 : 작업대의 높이를 좀더 높혀서 작업자가 무리없이 물건을 들수 있게끔 해주던가 컨베이어를 설치해서 자동으로 옮기게 한다.
나. 운반작업의 개선
개선요소 : 손잡이가 없는 것 같다. 손잡이를 만들면 보다 쉽게 운반을 할수 있을 것 같다.
개선요소 : 이것도 마찬가지로 손잡이가 없는 것 같고, 운반 도구 보다 운반물이 더크다. 운반물에 적당한 운반도구를 이용해야 할듯하다.
개선요소 : 운반기기가 자체에 높낮이를 조절 할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너무 높게 물체를 위치시키고 이동하고 있다. 불편함이 느껴진다. 위치를 조절하면 해결될 것 같다.
개선요소 : 운반물보다 운반도구가 더 커서 운반하는 힘보다는 운반도구를 끄는 힘이 더 들 듯 하다.
개선요소 : 물건 한 개를 옮기는데 컨베이어를 이용함 으로써 전력의 손실이있다. 물건을 옮길때는 한꺼번에 옮기던가 적당한 시간을 조절해서 운반되게 해야 한다.
개선요소 : 컨베이어가 끝나는 부분과 작업자의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으며 작업대와 컨베이어 사이의 간격도 멀리 떨어져 있다. 이 간격을 줄여 주어야 한다.
개선요소 : 한 개의 물건을 옮기기 위해서 하나의 자동화 기기가 움직여야 하므로 전력의 손실이 있다. 한 개의 기기에서 층층이 쌓아서 옮길 수 있게 기기를 바꿔주면 이를 해결할 수 있다.
개선요소 : 운반도구 밑에 바퀴 같은 것을 설치 해 주면 운반하는데 힘이 덜 들듯 하고 운반물이 작업자의 시야 밖에있다.
다. 자재 취급 상자의 개선
개선요소 : 작업자의 작업하는 위치와 반대쪽에 위치해 있는 모습인거 같은데 작업자가 작업하기 편하게 작업자와 같은 방향으로 자재 취급 상자를 위치 시키는게 좋을 듯 싶다.
개선요소 : 자재 취급 상자가 너무 크다.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곳은 작업자가 몸을 무리하게 이용하여 닿아야 하는 위치에 있다. 보다 효율적으로 자재 취급 상자를 다단으로 쌓는 방법이나 다른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개선요소 : 자재의 수량이 많기 때문에 층층이 쌓은 모습이다. 자재를 꺼낼 때 불편하다. 공간이 가용 하다면 자재를 손이 닿는 부분까지만 쌓아야 한다.
개선요소 : 자재의 수량이 많기 때문에 층층이 쌓은 모습이다. 자재를 꺼낼 때 불편하다. 공간이 가용 하다면 자재를 손이 닿는 부분까지만 쌓아야 한다.
라. 수공구의 개선
개선요소 : 다음의 그림들은 평소에 사용하는 도구들 인데, 몸에 익숙한 탓인지 그리 불편함은 없어 보인다. 단지 인체에 좀더 맞추어 나왔음 한다.
개선요소 : 앞부분에 비해 뒷부분이 너무 넓다. 힘이 더 든다. 뒷부분의 폭을 좁혀야 한다.
개선요소 : 다음과 같은 전동식 작업도구는 진동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적어도 손잡이 부분에는 충격을 흡수 할수 있는 스티로폼이나 플라스틱 보호대를 설치 한다면 충격을 어느정도 줄일수 있을 것이다.
개선요소 : 작업하는 부분에 비해서 주변에 달려있는 요소들이 많으므로 불편을 느낄수 있다. 주변의 요소를 최소로 줄일 필요성이 있다.
개선요소 : 다음의 그림 또한 충격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다음의 도구는 크기가 크므로 지지대 같은 것이 필요할 듯 하다.
개선요소 : 작업도구의 크기가 크므로 지지대 같은 보조 기구가 필요하며 손잡이가 너무 이격되어 있는데 균형을 잡을때는 좋겠지만 오랜 작업이 있을시에는 팔에 무리가 올수도 있다. 그러므로 적당한 위치를 선정해야 한다.
개선요소 : 작업도구의 크기가 크므로 지지대 같은 보조 기구가 필요하며 선의 정리 또한 필요할 것 같다.
개선요소 : 손잡이 밑부분에 연결되어있는 선들이 작업을 할 때는 불필요 요소이기 때문에 이 선들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6.08.05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07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