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중기의 무덤양식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구려 중기의 무덤양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본론
(1) 돌무지무덤 (積石塚)
(2) 흙무덤 (封墳)

3. 맺음말

본문내용

그림이 많이 그려지게 되었다.
3. 맺음말
고구려 중기의 돌무지무덤은 고구려 내부의 통일과 정치적 발전에 다라 점차 소멸되어 가면서 봉토식 널방의 등장과 함께 흑무덤으로 계승되지만 완전히 소멸되지는 않고 흙무덤과의 공존기를 겪게 된다. 그러나 천도이후 고구려 고분의 주류는 분명 돌무지무덤에서 흙무덤으로 넘어가게 된다.
이러한 변화의 요인으로 볼 수 있는 것은 통구와 평양의 저연환경의 차이와 무덤양식의 발전을 그 요인으로 들 수 있다. 석재의 산출이 용이한 통구에서는 점차 고분이 거대화대고 웅장해 졌으며, 그만큼 무덤을 만들기 힘들어지자 흙무덤이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산지보다는 평지가 많은 평양으로 수도를 옮기고 나서부터는 만들기 어려운 거대한 돌무지무덤은 자연적으로 소멸되어간 것으로 보인다.

키워드

고구려,   고분,   양식,   고분양식,   중기,   봉토분
  • 가격8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6.08.10
  • 저작시기200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10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