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고분벽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구려 고분벽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들어가며

2.고구려 고분벽화의 시대에 따른 변화
가.생활 풍속계 고분벽화
나.장식무늬계 고분벽화
다.사신계 고분벽화

3. 맺으며

본문내용

초기에는 주인공의 초상을 위주로 한 생활 풍속에 관한 벽화가 주를 이루고 중기에는 불교의 유입에 따라 불교적 장식무늬 계 벽화가 주가 되며 후기에는 불교와 선계적 정신세계가 결합되며 고구려만의 개성적인 선 불 혼합적 문화를 담은 사신계 벽화가 주가 될 뿐이다.
4세기 이래 고구려가 겪는 변화는 전 사회적 차원의 것이었다. 한반도의 방파제 역할을 하며 낙랑을 정벌하고 점차 동북아의 패자로 성장하면서 고구려에는 새로운 문화요소가 급속도로 흘러들어왔으며 그런 외래문화를 고구려가 얼마나 탄력 있게 수용하여 우리 민족의 것으로 녹여 내었는지를 증명 해 주는 것이 바로 고구려의 고분벽화인 것이다. 그러나 이제 배움을 시작하는 내 눈에도 고구려의 고분벽화에 대한 연구는 말처럼 쉬운일이 아닌 듯 하다. 보고서에 참고로 삼은 근원 김용준의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를 보며 고구려 고분벽화를 당장 접할 수 없는 상황 속에서 실제로 남한 학자들과 이북, 그리고 중국과 일본 학자들 사이에 고분의 연대에 대하여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고구려의 고분벽화는 아직 더욱 많은 것이 밝혀져야 할 고구려 역사 연구의 열쇠와도 같은 존재라는 생각을 해 본다. 그리고 보고서를 작성하며 느낀 고구려 벽화에 대한 일련의 감상과 새로이 얻은 지식을 그저 한편의 보고서로 만듦에 그치지 않고 끊임없이 공부하여 다시금 불고 있는 고구려 부흥운동의 바람에 힘을 더할 것을 다짐하며 보고서를 마친다.
고구려 고분벽화의
시대에 따른 변화와 특징
전통 미술의 이해
방 병 선 교수님
2004. 3. 9
2000230127
국어국문학과
우 경 희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3.26
  • 저작시기2004.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50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