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한 사상이란 무엇인가?
2.한 철학은 무엇인가?
3. 한 사상의 존재론
4. 한 사상의 인식론
5. 한 사상의 가치론
6. 한 사상의 현대적 가치
2.한 철학은 무엇인가?
3. 한 사상의 존재론
4. 한 사상의 인식론
5. 한 사상의 가치론
6. 한 사상의 현대적 가치
본문내용
붙어가듯이 서서히 전 세계 철학계에 스며들고 있다. 그의 철학이 과정철학으로 알려져 있는 것과는 달리 화이트 헤드 자신은 유기체철학이라 부르고 있다. 이는 전통적인 의미의 ‘신(神)’이나 ‘실체’라는 개념을 전면 부정하고 이에 대치되는 역동적이며 상호관계에 있어서만 존립할 수 있는 ‘사실체(Actual entity)’를 유기체적 실체로 규정했다. 그는 이보다 더 궁극적인 실재는 없고 신에서부터 미미한 먼지에 이르기까지 사실체 아닌 것이 없다고 했다. 바로 이 사실체가 한사상의 한과 너무나 유사한 개념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한 사상은 기계론적 세계관에 입각한 서양사상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대안론적 사상이다. 사물을 개별적인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이 아닌 전체론적, 우주론적 관점에 입각해서 파악하기 때문에 현대사회문제의 궁극적인 해답을 찾을 수 있게 해 준다. 헤겔의 정반합(正反合)의 변증법이나 키에르케고르의 양자택일(Either, or)의 실존주의 사상도 모두가 절대정신에 귀속하자는 절대주의의 오류를 범했다. 서구문화의 비타협적 독선의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런 사고의 틀은 궁극적 전제나 결론을 실체로 상정하는 실체주의에서 헤어날 수 없게 한다. 절대주의적 사고나 의식의 양태와의 충돌이 중동을 비롯한 현대적 분쟁의 요인이기도 하다. 우리의 ‘한’ 사상은 헤겔도 키에르 케고르도 다 품어 조화시키는 포용력을 지녔다. 하나가 여럿이 되는 것은 절대자에 대한 귀속이 아니다. 모든 개체는 전체를 위한 고정된 상태가 아니다. 이런 개체의 집합은 하나로 돌아갈 수 없다. 그것은 해체요 분해이며 파괴일 뿐이다. 한민족의 공동체 정신은 분자 간에 상보적(相補的) 기능을 한다. 모든 개체가 비결정적인 완전한 자유를 실현시키자는 것이 우리의 ‘한’ 의 목표다. 서로 다른 하나 하나는 자유로이 수렴돼 더 큰 하나를 창조하거나 진화해 나가는 것이 한의 본성이다. 사물 놀이에서 나타난 한 사람 한 사람 놀이꾼의 신명남이 하나로 모여 그럴싸한 굿판을 창조한다. 한의 절묘한 놀이판이다. 교향악단은 지휘자가 있다. 그의 지휘봉에 따라 전체는 따라간다. 사물놀이엔 지휘자가 없다. 자유로운 놀이꾼이 있을 뿐이다.다양한 개체를 하나로 조화시키는 사유의 체계가 한 사상의 핵심이다. 이런 사상의 줄기는 단군사상에서 시원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천부경은 한의 경문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다. 일석삼극(一析三極)이다. 하나가 갈라져 세 개의 극이 된다. 둘은 대립과 적대적 관계가 아니다. 유와 무가 서로의 존재이유가 돼 서로를 바라보는 상유상대(相由相待)의 관계를 이룬다. 너와 내가 하나돼 우리가 되게 하는 것이 한의 역학이다. 조화와 균형이 ‘한’의 본성이다. 이런 사상적 바탕과 토양이 잡다한 이질문화를 우리 것으로 소화해 내게 했다. 투쟁과 대립의 관계가 아닌 상보의 이치로 파악하는 것이 한의 사상체계다. 현상과 원리가 둘인 듯 하면서도 하나다. 바다와 파도가 둘이 아닌 하나의 전체다. 조화와 포용의 철학이며, 전세계가 21세기로 나아가며 가져야 할 미래의 철학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민주주의의 개념과 현대적 의미'에 관한 보고서
교육철학의 의미,정의,기능,목적,현대적 흐름
일본 천황제의 현대적 의미
일본 천황제의 현대적 의미
『서유기』의 현대적 의미 찾기
패러디의 현대적 의미 - 포스트모더니즘과 패러디의 관계
현대적 의미의 분업
[플라톤][플라톤사상][이데아][교육계획][파이돈][고전적 모델][현대적 모델]플라톤의 생애, ...
예의 현대적 의미와 보편적 원칙
[도산 안창호][도산 안창호 행적][도산 안창호 사상][도산 안창호 4대 정신][도산 안창호 현...
시민사회의 다원적 의미) 역사적, 현대적 의미
[장보고][장보고 생애][장보고 활동영역][세력][해양시대][청해진 현대적 의미]장보고의 생애...
[지역사회복지론] 현대적 의미에서의 지역사회의 역량에 대하여 논하시오 : 지역사회
오월혁명의 현대적 의미와 쟁점 - 오월혁명의 항쟁성과 봉기성·이주성의 의미, 민주주의(518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