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이후 한국가족과 한국의 발전 속의 여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980년대 이후 한국가족과 한국의 발전 속의 여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근대가족의 일반적 특징과 역사적․사회적 위치
1) 근대가족의 특징
2) 근대가족의 역사적 위치
3) 근대가족의 사회적 위치

2. 한국가족의 이상과 현실: 핵가족의 이상과 대가족적 현실
1) 서구 근대가족과 한국의 근대가족
2) 서구/비서구, 전통/근대의 이분법에서 젠더분석으로

3. 발전국가의 근대화 프로젝트와 젠더
(1) 발전국가의 근대화 프로젝트
1) 발전국가란?
2) 발전국가와 가족
3) 헤게모니적 기획(hegemonic project): 근대화 프로젝트
(2) 근대화 프로젝트와 여성의 동원
1) 가부장적 국가-공장-가족의 딸, ‘여공’
2) ‘억척스런 어머니’의 자기희생
(3) 발전의 이념과 젠더
1) 발전의 척도: 전통과 근대의 이분법에 숨겨진 의존
2) 분리와 투사: 근대적 남성과 전통적 여성

본문내용

별분업과 직종분리를 정당화하고 여성을 생계책임자가 아닌 생계보조자로 규정하는 데 동원되었다.
(3) 발전의 이념과 젠더
1) 발전의 척도: 전통과 근대의 이분법에 숨겨진 의존
발전국가의 근대화 프로젝트가 경제개발과 고도성장으로 성공을 거두었다는 데 모두들 동의할 것이다.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세계의 격찬이 결국 1990년대 말 IMF 구제금융과 오늘날의 경제적 양극화로 귀결되었다고 하더라도 대부분의 한국인은 한국전쟁후의 극도의 빈곤상황과 오늘날의 여건 사이에 직선적 발전을 나타내는 상승선을 그리는 데 주저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발전과정에서 여성의 동원이 성차별적이고 여성의 시민적 지위를 확보하는 것과 거리가 멀었다고 하더라도. 2차 대전 후 탈식민화한 제3세계국가들의 지상명령은 서구식의 근대화와 자본주의화를 통해 선진국이 이룬 경제적 번영과 민주주의를 따라잡는 것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미래에 획득해야 할 ‘근대/발전’을 지금까지의 현실이라 할 수 있는 ‘전통/미발전’과 대조함으로써 발전의 기획을 수립했다. 발전프로젝트는 한편으로는 전통의 영역으로 인식된 ‘농촌’, ‘가족’, ‘여성’으로부터 분리를 추구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이 전통의 영역에 상당부분 의존했다. 전통에 대한 의존은 전통을 발명하려는 시도에서 잘 드러난다. 가령 호주제. 유교적 가부장제. 신분적 가치관.
2) 분리와 투사: 근대적 남성과 전통적 여성
발전이라는 발상자체가 남성적 기획이라는 지적도 있다. 근대화 이론에서 말하는 발전은 낡고 정체된 전통에서 벗어나 온갖 난관을 헤치고 목표를 성취하는 영웅적 남성성과 매우 유사하다는 것이다. 한국사회에서의 발전 여기에서 예로부터 전승되어 온 것, 변하지 않고 머물러 있는 것은 곧 가족, 친족, 부락공동체를 둘러싼 여성적인 것으로 규정된다.
세계를 전통과 근대, 남성성과 여성성으로 분리함으로써, 열등하거나 극복해야 할 것을 타자에게 투사하여 자신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투사의 결과로 열등화된 타자를 통해 자신의 우월성을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남성/여성의 이분법적 인식체계인 젠더는 한국의 발전과 근대화의 인식론적 토대가 되었다.
남성항
여성항
권력관계
국가
도시
경제
사회
농촌
비경제
공간적 거리
공적영역
사적영역
시간적 거리
근대
전통(또는 전근대)
역할
생산의 주체
(책임있는 가장)
재생산의 주체
(순종하는 딸, 희생하는 어머니)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8.14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12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