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사회와 그 적들 개흘레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열린사회와 그 적들 개흘레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본론
2.1. 초라한 존재인 아버지
2.2. 아버지 이해하기
2.3. 개흘레의 의미
2.4. 성기능 장애

3. 마치며

본문내용

권위라고는 찾아볼 길 없는 아버지의 초라한 모습은 나의 눈에 부정적으로 비친다. 특히 타인과 비교해볼 수 있는 공적 담론의 현장에서 아버지는 초라한 존재이다. 그러나 아버지는 28세의 전쟁포로로서 이북에 부모와 처자를 두고서 남쪽을 택한다. 아버지의 선택은 단순히 살아가기 위한 것이었다. 아버지는 전쟁 체험을 통해 사상이나 이념이라는 것도 헛것에 불과하단 것을 알아차린다. 아버지의 무능은 시대로 인한 것이었다. 아버지의 상처를 알게 되면서 나는 아버지의 이해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데올로기를 떠나 아버지를 이해하면서 나는 '아비는 개흘레꾼이었다'라는 명제로 숨김없이 이야기 할 수 있는 당당함을 갖게 된다. 또한 아버지의 삶을 통해 이데올로기의 억압을 폭로하고 있다.
참고문헌
김소진, 「열린사회와 적들」-개흘레꾼 ,2002 , 문학동네
서영채, 「이야기꾼으로서의 소설가」-문학동네, 1997, 가을
박혜주, 「부끄러운 아버지 극복의 두 양상 - 안정효의 「악부전」과 김소진의 「개흘레 꾼」-」, 『이화어문논집』17, 1999. 10, pp. 159-181.
이성재, 「김소진 소설 연구:'아버지를 통한 자아찾기'를 중심으로」, 숭실대 석사학위논문, 2003.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8.21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17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