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열녀 향랑(?)
2. 인간 향랑
3. 그러면 왜 향랑을 ‘열녀’로 만들었는가?
4. 발표를 마치며
2. 인간 향랑
3. 그러면 왜 향랑을 ‘열녀’로 만들었는가?
4. 발표를 마치며
본문내용
생되고 죽은 후에도 다른 여성들의 희생을 유도하기 위해 또 한 번 희생되고 만 것이다.
4. 발표를 마치며
<향랑전>을 읽고 자료를 찾아보면서 나름대로 여러 가지 많은 생각을 했다. 처음에는 단순히 열녀에 대해서 쓴 이야기라고만 생각했지만 거듭해서 읽음에 따라 열녀라는 개념보다는 ‘향랑’이라는 한 여성의 가련한 삶에 더 마음이 갔다. 21세기를 살고 있는 내가 18세기의 향랑을 완벽히 이해할 수는 없었지만 자신이 뛰어넘을 수 없어 보이는 세계의 벽에 부딪칠 때 느끼는 좌절은 예나 지금이 비슷할 것이라는 생각으로 향랑의 마음을 어느 정도 느껴볼 수 있었다. 향랑이 몇백 년의 시간이 흘렀지만 여성의 삶이라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기본적인 구조에 있어서는 크게 달라지지 않은 것 같다. 나 자신이 이 계속해서 유지되는 구조 속에 안착할 것인가, 벗어나기 위한 시도를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데에 향랑이 어떤 식으로든 길잡이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참 고 문 헌
서신혜 편역(2004), ≪열녀 향랑을 말하다≫, 보고사.
한국고전여성문학회(2002), ≪조선시대의 열녀담론≫, 월인
≪브리태니커 세계 대백과사전 15≫ 1996년판.
www.seelotus.com
4. 발표를 마치며
<향랑전>을 읽고 자료를 찾아보면서 나름대로 여러 가지 많은 생각을 했다. 처음에는 단순히 열녀에 대해서 쓴 이야기라고만 생각했지만 거듭해서 읽음에 따라 열녀라는 개념보다는 ‘향랑’이라는 한 여성의 가련한 삶에 더 마음이 갔다. 21세기를 살고 있는 내가 18세기의 향랑을 완벽히 이해할 수는 없었지만 자신이 뛰어넘을 수 없어 보이는 세계의 벽에 부딪칠 때 느끼는 좌절은 예나 지금이 비슷할 것이라는 생각으로 향랑의 마음을 어느 정도 느껴볼 수 있었다. 향랑이 몇백 년의 시간이 흘렀지만 여성의 삶이라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기본적인 구조에 있어서는 크게 달라지지 않은 것 같다. 나 자신이 이 계속해서 유지되는 구조 속에 안착할 것인가, 벗어나기 위한 시도를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데에 향랑이 어떤 식으로든 길잡이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참 고 문 헌
서신혜 편역(2004), ≪열녀 향랑을 말하다≫, 보고사.
한국고전여성문학회(2002), ≪조선시대의 열녀담론≫, 월인
≪브리태니커 세계 대백과사전 15≫ 1996년판.
www.seelotu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