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풍자소설 - 이춘풍전 연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박 만덕과 최 참판을 통한 당대 현실 비판
2) 춘풍
3) 추월
4) 춘풍의 처 : 김 씨.

Ⅲ. 결론

본문내용

금주의 사상에 젖어 인간보다 돈을 우선시 하는 추월의 모습은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고 느낄 수 있다.
작가는 ‘이춘풍전’의 중요한 세 명의 인물을 통하여 조선후기의 혼란함 속에서 섞여 살아가는 다양한 삶의 모습을 제시하고 있다. 춘풍과 추월은 각각 봉건유교사회와 근대사회라는 삶을 양극화하여 보여주며, 춘풍의 처는 그 과도기의 혼란 속에서 적당히 중립을 지키며 살고 있다. 중립을 지키며 사는 춘풍 처의 삶이 가장 나은 삶이라는 섣부른 판단을 내릴 수 도 있지만 그렇게 못 박아 말할 수 없는 이유는 그 삶 속에서도 우리가 충분히 비판할 수 있는 여지가 있기 때문이고, 춘풍과 추월의 삶 속에서도 우리가 수긍할 만한 가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춘풍전’은 배비장전 부류에 속하는 풍자소설류로 치부되다가 세태소설로, 또는 가정소설로 최근에는 여성영웅소설의 일환으로까지 해석되고 있다. 이 작품이 이렇게 다양하고 자유로운 해석을 가질 수 있는 바탕에는 ‘이춘풍전’의 등장인물이 지니는 다양한 면모가 있다. 이것은 소설의 일관성을 깨뜨린다기보다는 오히려 당시의 시대의 다양성을 반영한 열린 구조이고 후대 사람들에게 많은 해석의 가능성을 숙제로 남겨주는 구조일 것이다.
참고문헌
리헌환, 리춘풍전, 한국문화사, 1999.
안창수, 「이춘풍전」 연구, 한민족어문학, 한민족어문학회, 1983.
이성권, 가정소설로 본 〈 이춘풍전 〉, 우리어문연구, 우리어문학회, 1999.
진은진, 고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자아 정체성 인식 과정 연구 -《이춘풍전》과 《춘향전》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2.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8.22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19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