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VB-T 기술 및 사업 현황 보고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DVB-T 기술 및 사업 현황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DVB-T 기술 개요 4
1. DVB-T 표준 5
2. COFDM 전송 시스템 특성 5

II. DVB-T 기술 및 사업 동향 7
1. 미국의 DVB-T vs. ATSC 방식 재검토 문제 7
2. 캐나다의 ATSC 방식 결정 이유 8
3. 영국의 DVB-T 방식 주요 현황 8
4. 독일의 DVB-T 방식 주요 현황 9
5. 호주의 DVB-T 방식 주요 현황 19
6. 싱가폴의 DVB-T 방식 주요 현황 20

III. ATSC vs. DVB-T 23
1) 미국 방식 (ATSC 디지털 TV 표준) 23
2) 유럽 방식 (DVB-T) 24

IV. 세계 디지털 TV 시장 전망 25
1. 세계 디지털TV 시장 전망 25
2. 세계 디지털TV 셋톱 박스 시장 전망 25
3. 세계 DTV 시장 성장현황 25
4. U.S digital TV Market 전망 25
5. 일본의 디지털TV 보급 예상 목표 26
[Attachment A: Video&AudioCodinginBroadcastingApplications_MPEG2TS.pdf] 27

[Attachment B: ATSC 창시자는 한국인 백우현 박사] 27

[Attachment C: Other DVB Line Up] 28
1) DVB-S: Satellite Digital Video Broadcasting 28
2) DVB-C: Cable Digital Video Broadcasting 28
3) DVB-CA: Conditional Access 28
4) DVB-SI (service information system) 29
5) DVB-Text: Teletext transmission transport system 29
6) DVB-CI: Conditional access common Interface 29
7) DVB-MDS 29
8) Mobile DVB-T 30
9) DVB MPH 30
10) DVB Multimedia Data Broadcasting Network 31

본문내용

DVB 관련 역사에서의 초석은 1980년 말 유럽에서 이루어졌다. EU의 RACE와 Eureka 프로그램의 두 프로젝트는 고화질의 디지털 영상 압축을 위한 하이브리드- DCT코딩의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1990년 이전까지는 디지털 TV 방송은 비실용적이고 너무 고가의 시스템인 것으로 여겨져 왔으며 1991년에 와서야 방송 사업자들과 방송 장비 제조업자들은 디지털 TV의 연구 개발을 위한 전 유럽을 포함하는 기구 설립을 논의하였고 그 결과 유럽 디지털 방송의 미래를 준비할 기구 European Launching Group(ELG)이 설립되었다. ELG는 유럽의 모든 미디어 관련 단체들 - 공영 방송과 민영 방송, 방송 장비 제조업체, 정부 조직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기구의 첫 산물로는 미래의 디지털 방송 분야를 다룰 포괄적인 제도의 제정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이다. MoU의 기본 취지는 지금까지 시도되지 않았던 영역에 대한 도전이자 이 사업 분야 참여 기업들의 미래에 있을 수 있는 이해 관계를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DVB MOU는 디지털 방송을 위한 하나의 표준을 연구 개발하기 위한 근간을 마련하였으며 이는 지상파만이 아닌 위성 방송과 케이블 방송 그리고 MDS(multi distribution system)까지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의 것이다. MoU는 1993년 9월에 모든 ELG참여자들에 의해 조인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DVB의 탄생이다. 그 후 DVB에 의해 유럽에서의 디지털 TV에 대한 연구 개발은 그 전성기를 맞게 된다. 이때를 즈음하여 디지털 TV 연구 그룹은 디지털 지상파 방송에 대한 가능성과 전망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고 동시에 다양한 분야의 뉴미디어에 대한 연구 조사도 병행되었다 유럽에서 위성 방송과 케이블 방송 환경이 기술적이나 제도적 관점으로 보았을 때 훨씬 복잡하지 않았던 이유로 1993년 당시에는 DVB 프로젝트의 우선 순위가 지상파 보다는 위성방송이나 케이블 방송에 주어졌었고 이 때문에 DVB 프로젝트의 위성 시스템인 DVB-S와 케이블 시스템인 DVB-C가 95년과 96년에 시험을 거쳐 구체화 될 수 있었다.
디지털 지상파 시스템인 DVB-T는 유럽 단위의 일련의 프로그램(HD-DIVINE, SPECTRE, dTTb 등)에 대한 몇 년의 연구개발을 통하여 지금 현재는 거의 마무리 단계에 올라 있다. DVB 시스템에서의 음성과 영상의 코드화, 신호화는 MPEG-1, 2의 시스템의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모든 방식의 전송 방식에 호환이 가능하다.
  • 가격2,0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06.08.27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3622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