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1.2. 연구의 범위와 수행 방법
1.3. 월경성 환경오염
2. 국제환경문제의 정의 및 특성
2.1. 환경문제의 현황
2.2. 국제환경문제의 성격 및 특성
2.3. 월경오염물질의 배출현황과 특성
2.4. 환경문제와 세력균형의 상관관계
3. 사례연구
3.1.유럽지역
3.1.1. 국가 차원에서의 노력
3.1.2. 제도 차원에서의 노력 - 월경성 장거리 대기오염에 관한 협약(CLRTAP)
3.1.3. 힘의 논리 및 적실성
3.2. 미주 사례
3.2.1. 미국과 멕시코 간 국경지역 환경문제 대립 및 문제해결
3.2.1.1. 배경
3.2.1.2 해결방안 및 적실성
3.2.1.3 힘의 논리 및 적실성
3.2.2. 미국과 캐나다 간 환경 분쟁 사례연구
3.2.2.1. 배경
3.2.2.2. 해결방안 및 적실성
3.2.2.3 힘의 논리 및 적실성
3.2.3. 소결론
4. 동북아 월경성 대기오염 문제
4.1. 황사의 특징 및 피해
4.1.1. 황사의 정의
4.1.2. 황사의 기원
4.1.3. 황사 발생의 인위적 요인
4.1.4 황사의 영향
4.1.4.1. 긍정적 영향 : 지구 온난화와 산성화 방지
4.1.4.2. 부정적 영향
4.2. 동북아 월경성 대기오염에 대한 기존 대책
4.3. 황사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협력 - 양자적/다자적 방식
4.3.1. 정부 간 양자 협력
4.3.2. 정부 간 다자 협력
4.3.3. 국제기구, 민간조직의 환경협력
4.3.4. 동북아환경협력의 다자/양자적 방식에 따른 유효성 평가
4.3.4.1. 동북아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물질 공동연구
4.3.4.2. 한, 중 황사공동 관측망 구축사업
4.4. Balance of Power를 기준으로 한 고찰
4.5. 소결론
4.5.1. 문제의 해결을 위해 우리나라에게 필요한 근본적 사항
4.5.2. 환경오염물질 확산억제를 위한 동북아 협력체제 구축방향
5. 결론
참고문헌
1.1. 연구의 목적
1.2. 연구의 범위와 수행 방법
1.3. 월경성 환경오염
2. 국제환경문제의 정의 및 특성
2.1. 환경문제의 현황
2.2. 국제환경문제의 성격 및 특성
2.3. 월경오염물질의 배출현황과 특성
2.4. 환경문제와 세력균형의 상관관계
3. 사례연구
3.1.유럽지역
3.1.1. 국가 차원에서의 노력
3.1.2. 제도 차원에서의 노력 - 월경성 장거리 대기오염에 관한 협약(CLRTAP)
3.1.3. 힘의 논리 및 적실성
3.2. 미주 사례
3.2.1. 미국과 멕시코 간 국경지역 환경문제 대립 및 문제해결
3.2.1.1. 배경
3.2.1.2 해결방안 및 적실성
3.2.1.3 힘의 논리 및 적실성
3.2.2. 미국과 캐나다 간 환경 분쟁 사례연구
3.2.2.1. 배경
3.2.2.2. 해결방안 및 적실성
3.2.2.3 힘의 논리 및 적실성
3.2.3. 소결론
4. 동북아 월경성 대기오염 문제
4.1. 황사의 특징 및 피해
4.1.1. 황사의 정의
4.1.2. 황사의 기원
4.1.3. 황사 발생의 인위적 요인
4.1.4 황사의 영향
4.1.4.1. 긍정적 영향 : 지구 온난화와 산성화 방지
4.1.4.2. 부정적 영향
4.2. 동북아 월경성 대기오염에 대한 기존 대책
4.3. 황사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협력 - 양자적/다자적 방식
4.3.1. 정부 간 양자 협력
4.3.2. 정부 간 다자 협력
4.3.3. 국제기구, 민간조직의 환경협력
4.3.4. 동북아환경협력의 다자/양자적 방식에 따른 유효성 평가
4.3.4.1. 동북아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물질 공동연구
4.3.4.2. 한, 중 황사공동 관측망 구축사업
4.4. Balance of Power를 기준으로 한 고찰
4.5. 소결론
4.5.1. 문제의 해결을 위해 우리나라에게 필요한 근본적 사항
4.5.2. 환경오염물질 확산억제를 위한 동북아 협력체제 구축방향
5.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환경문제와 지역환경협력의 모색, 서울: 집문당, 1999.
이지훈, 「황사의 피해와 대응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003.
조순구, 「국제관계와 한국」, 서울 : 법문사, 2002.
추장민· 강광규 ·박경애 외, 「동북아 환경협력체계 효율화 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5.
환경부, 「주요 국제환경협약 및 국가간 환경분쟁 사례집」, 환경부, 1996.
현인택, 김성한, 이근 공저, 「동아시아 환경안보」, 서울: 오름, 2005.
학술논문
김문휘, “동북아지역의 이동성 대기오염에 관한 환경협력”, 인제대학교 대학원 경제학석사학위논문, 2003.
김상겸, “우리나라 환경외교의 개선방안”, 한국경제연구원, 2005.
김용준, “산성비의 피해 규모에 관한 연구”, 환경포럼 2권(1호), 1995.
김태응, 정원문, 조남운, 임봉수, “동북아시아 지역의 국가적 월경환경오염 분석과 대처방안에 대한 연구”, 대전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제 10권 제 1호, 1999.
문태훈, “동북아 환경오염확산 방지를 위한 협력체제 구축방향”, 「한양도시포럼 심포지움논문집(1998.11.13)」, 한양대학교출판부, 1998.
민병승, “동북아지역의 환경문제와 국제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기술개발원, 1996.
추장민, “환경정책의 평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6.
한택환, 정영록, 이호생 외, “한중환경협력에 관한 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93-1, 1993.
인터넷
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실 황사 홈페이지
http://yellow.metri.re.kr/
박순응, “황사발원지 현지답사”, 2002. (http://yellow.metri.re.k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http://www.kei.re.kr/04_nts/04_notice_read.asp?no=578&page=3&valid=4
중앙일보(인터넷) 2006년 4월 22일자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2271718),
기타
두산세계대백과사전 (항목 : 사하라먼지)
(2) 영문
단행본
Britton, James and Herman Dale. Canadian Coalition on Acid Rain. University of Waterloo Press. 1995.
Perkins, Jimmy L. et al. "The Lower Rio Grande Valley Community Health Assessment." The Health Center at Houston. University of Texas, 2001.
Pope Ⅲ et al, "Lung cancer, Cardiopulmonary, Mortality, and Long-term exposure to Fine Particulate Air Pollution."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7, 2002
학술논문
Bohm, Robert A et.al. "Environmental Taxes, China's Bold Initiatives". Environment. Vol.40. No.7. 1998.
Park, Byung-Do, "A Study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International Environment Law", International Environment Law Studies, 2005.
Zorc, Eileen. "The Border 2012 U.S.-Mexico Environmental Program: Will a Bottom-Up Approach Work?" Georgetow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Review, 2004.
인터넷
Canada. Environment Canada. United States / Canada Air Quality Agreement: Progress Report. (March 1992) 4 June 2006.
http://www.ec.gc.ca/pdb/can_us/qual/1992/english/section01_e.html
Commission for Environmental Cooperation. 1998. Taking Stock, North American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1995. Canada.
http://www.cec.org.
Environment Agency, Japan. "Chairman's Summary of the Fourth Expert Meeting on Acid Deposition Monitoring Network in East Asia", 1998.
http://www.eic.or.jp
Japan Environment Quarterly(JEQ), "Climate Change: Japan's Post-Kyoto Initiative", 1998.
http://www.eic.or.jp/eanet/e/jeq/v003-01.html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Mexico Border 2012 Program Framework. 4 June 2006.
http://www.epa.gov/usmexicoborder/intro.htm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Government of Canada on Air Quality. 4 June 2006.
http://www.epa.gov/airmarkets/usca/agreement.html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Mexico Border 2012 Program Framework. 4 June 2006.
http://www.epa.gov/usmexicoborder/intro.htm
이지훈, 「황사의 피해와 대응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003.
조순구, 「국제관계와 한국」, 서울 : 법문사, 2002.
추장민· 강광규 ·박경애 외, 「동북아 환경협력체계 효율화 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5.
환경부, 「주요 국제환경협약 및 국가간 환경분쟁 사례집」, 환경부, 1996.
현인택, 김성한, 이근 공저, 「동아시아 환경안보」, 서울: 오름, 2005.
학술논문
김문휘, “동북아지역의 이동성 대기오염에 관한 환경협력”, 인제대학교 대학원 경제학석사학위논문, 2003.
김상겸, “우리나라 환경외교의 개선방안”, 한국경제연구원, 2005.
김용준, “산성비의 피해 규모에 관한 연구”, 환경포럼 2권(1호), 1995.
김태응, 정원문, 조남운, 임봉수, “동북아시아 지역의 국가적 월경환경오염 분석과 대처방안에 대한 연구”, 대전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제 10권 제 1호, 1999.
문태훈, “동북아 환경오염확산 방지를 위한 협력체제 구축방향”, 「한양도시포럼 심포지움논문집(1998.11.13)」, 한양대학교출판부, 1998.
민병승, “동북아지역의 환경문제와 국제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기술개발원, 1996.
추장민, “환경정책의 평가”,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6.
한택환, 정영록, 이호생 외, “한중환경협력에 관한 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93-1, 1993.
인터넷
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실 황사 홈페이지
http://yellow.metri.re.kr/
박순응, “황사발원지 현지답사”, 2002. (http://yellow.metri.re.k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http://www.kei.re.kr/04_nts/04_notice_read.asp?no=578&page=3&valid=4
중앙일보(인터넷) 2006년 4월 22일자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2271718),
기타
두산세계대백과사전 (항목 : 사하라먼지)
(2) 영문
단행본
Britton, James and Herman Dale. Canadian Coalition on Acid Rain. University of Waterloo Press. 1995.
Perkins, Jimmy L. et al. "The Lower Rio Grande Valley Community Health Assessment." The Health Center at Houston. University of Texas, 2001.
Pope Ⅲ et al, "Lung cancer, Cardiopulmonary, Mortality, and Long-term exposure to Fine Particulate Air Pollution."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7, 2002
학술논문
Bohm, Robert A et.al. "Environmental Taxes, China's Bold Initiatives". Environment. Vol.40. No.7. 1998.
Park, Byung-Do, "A Study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International Environment Law", International Environment Law Studies, 2005.
Zorc, Eileen. "The Border 2012 U.S.-Mexico Environmental Program: Will a Bottom-Up Approach Work?" Georgetow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Review, 2004.
인터넷
Canada. Environment Canada. United States / Canada Air Quality Agreement: Progress Report. (March 1992) 4 June 2006.
http://www.ec.gc.ca/pdb/can_us/qual/1992/english/section01_e.html
Commission for Environmental Cooperation. 1998. Taking Stock, North American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1995. Canada.
http://www.cec.org.
Environment Agency, Japan. "Chairman's Summary of the Fourth Expert Meeting on Acid Deposition Monitoring Network in East Asia", 1998.
http://www.eic.or.jp
Japan Environment Quarterly(JEQ), "Climate Change: Japan's Post-Kyoto Initiative", 1998.
http://www.eic.or.jp/eanet/e/jeq/v003-01.html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Mexico Border 2012 Program Framework. 4 June 2006.
http://www.epa.gov/usmexicoborder/intro.htm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Government of Canada on Air Quality. 4 June 2006.
http://www.epa.gov/airmarkets/usca/agreement.html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Mexico Border 2012 Program Framework. 4 June 2006.
http://www.epa.gov/usmexicoborder/intro.htm
추천자료
환경보전과 관리를 위한 정부의 규제체제(방식과 법제도의 체제)에 대해 논하시고, 각
기업과국제환경 동북아현황
[북한 미사일 위협성][동북아 전략환경 변화]북한 미사일의 위협성과 동북아 전략환경 변화 ...
동북아 국제체제하에서 국가이익
[행정][행정 분류][행정환경 변화][행정 능률화][선진국 행정체제][행정 미래][행정 역할]행...
[중앙교육행정체제][교육과학기술부][교육행정][교육정책]중앙교육행정체제의 시대적 환경변...
지구 생태계와 관련된 환경문제들,지구온난화와원인,오존층 파괴와원인,사라지는 열대림,야생...
[남북협력][남북한협력][남북한공동협력][남북공동협력][북한]남북한의 공동 보훈협력, 남북...
제3세계의 환경 (문제제기, 제3세계 환경실태 고발, 환경파괴 원인 및 배경, 국제사회의 노력...
[금융][금융감독체제]금융과 금융감독체제, 금융감독규제, 금융과 금융법, 국제금융시장, 금...
비정부기구(시민단체, NGO)와 정부 협력중요성, 비정부기구(시민단체, NGO)와 정부 협조모형,...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4B) 유아교육기관의 실내외 환경 구성 원리를 설명하시오. (유아교육기...
[정책환경] 정치체제와 정책환경과의 관계, 정책환경이 정책에 미치는 영향(정책환경의 요구,...
동북아안보론-미국의 ‘아시아 균형정책’과 중국의 ‘신대국론’의 충돌 가능성과 한국의 대응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