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LED란 무엇인가?
(2)LED(luminescent diode)의 종류
(3)LED 구동 방법 (LED에 직렬저항을 연결하는 이유)
(4)LED(light emitting diode)의 구조와 각부분의 명칭
(2)LED(luminescent diode)의 종류
(3)LED 구동 방법 (LED에 직렬저항을 연결하는 이유)
(4)LED(light emitting diode)의 구조와 각부분의 명칭
본문내용
용법은 다이오드의 기본 특성을 무시한 것이기 때문에 권장하지 않으며, 전문가를 통한 충분한 신뢰성 테스트를 거친 후에나 생각해 볼 방법이다.
그 대신, LED는 직렬로 저항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정석이다.
예를 들면, 3V 20mA 정격의 LED를 5V 전원으로 구동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정격을 초과하는 전압이 2V가 되므로, 20mA의 전류에서 2V의 초과 전압을 감당하게끔 R=2V/20mA=100옴의 저항을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 저항은 기술적으로 표현하면 전압원을 전류원으로 바꾸어주는 transconductance의 역할을 하는것이다.
예를 들어, LED+직렬저항 양단의 전원전압이 변화한 경우, LED의 전압은 거의 일정하기 때문에 직렬저항 양단의 전압만 변화하게 되어 변화된 전압에 비례하는 만큼 전류가 변화하여LED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게된다.
*LED(light emitting diode)의 구조와 각부분의 명칭
1. Chip
2. Lead frame 애노드 공통형(common-anode type)
3. Gold wire 캐소드 공통형(common-cathode type)
4. Epoxy
5. Cathode
6. Anode
그 대신, LED는 직렬로 저항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정석이다.
예를 들면, 3V 20mA 정격의 LED를 5V 전원으로 구동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정격을 초과하는 전압이 2V가 되므로, 20mA의 전류에서 2V의 초과 전압을 감당하게끔 R=2V/20mA=100옴의 저항을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 저항은 기술적으로 표현하면 전압원을 전류원으로 바꾸어주는 transconductance의 역할을 하는것이다.
예를 들어, LED+직렬저항 양단의 전원전압이 변화한 경우, LED의 전압은 거의 일정하기 때문에 직렬저항 양단의 전압만 변화하게 되어 변화된 전압에 비례하는 만큼 전류가 변화하여LED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게된다.
*LED(light emitting diode)의 구조와 각부분의 명칭
1. Chip
2. Lead frame 애노드 공통형(common-anode type)
3. Gold wire 캐소드 공통형(common-cathode type)
4. Epoxy
5. Cathode
6. Anod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