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耳痒(귀 소양증)
현삼패모탕
투관통기약
색이단
통신산
포황고
용뇌고
감수산
투이통
투철관법
수양법
불치증
제충입이
현삼패모탕
투관통기약
색이단
통신산
포황고
용뇌고
감수산
투이통
투철관법
수양법
불치증
제충입이
본문내용
一條 納葉中化水 滴耳中化爲水(本草).
산 지렁이 한 개를 파잎속에 넣으면 물로 변화하니 귀 속에 그리마에 점적하면 물로 변화한다.(본초)
○ 鼠婦 硏如泥紙上撚作條 納耳中自出 又蝸牛 滴水硏爛 滴汁 耳中亦出(綱目).
(펼, 벼르다, 배당하다, 노름하다 탄; 手-총22획; tan)
쥐며느리는 진흙처럼 갈아서 종이를 편 위에 비벼서 조를 만들고 귀 속에 넣으면 스스로 나오니 또한 달팽이를 물방울로 갈아 미란되게 하여 점적한 즙을 귀 속에서 또한 나온다.(의학강목)
○ 脂麻油作煎餠 枕臥須臾出(本草).
기름진 참기름을 달여 떡을 만들어서 베개 베고 자면 곧 나온다.(본초)
○ 小蒜汁滴入耳 卽出諸 皆同(本草).
달래즙을 귀 속에 점적해 넣음ㄴ 곧 여러 벌레가 나오니 모두 같다.(본초)
○ 蟻子入耳 穿山甲燒末 水調灌之卽出(本草).
개미가 귀에 들어가면 천산갑 태운 가루를 물에 제조하여 넣으면 곧 나온다.(본초)
○ 猪脂或牛脂 或肉灸 令香安耳孔 自出(本草).
돼지기름이나 혹은 소기름이나 혹은 살을 구우면 향기가 귀 구멍을 편안케 하니 벌레가 저절로 나온다.(본초).
○ 耳中有物 不可出 用弓弦或麻蠅 打令頭散 塗好膠 粘着其物 徐徐引出妙(本草).
귀 속에 물건이 있으면서 꺼낼 수 없으면 활줄이나 삼줄을 사용하여 때려 머리가 터지게 하면 좋은 아교를 바르면 그 물건에 점착하여 서서히 당겨 꺼내면 오묘하다.(본초).
○ 一切物 入耳不出 以竹管入耳 內用口氣 盡力吸出最妙(丹心).
일체의 벌레와 물건이 귀에 들어가서 나오지 않으면 대나무 대롱을 귀에 넣고 안에 입의 숨을 불면 힘을 다해서 흡입하여 꺼냄이 가장 오묘하다.(단계심법).
산 지렁이 한 개를 파잎속에 넣으면 물로 변화하니 귀 속에 그리마에 점적하면 물로 변화한다.(본초)
○ 鼠婦 硏如泥紙上撚作條 納耳中自出 又蝸牛 滴水硏爛 滴汁 耳中亦出(綱目).
(펼, 벼르다, 배당하다, 노름하다 탄; 手-총22획; tan)
쥐며느리는 진흙처럼 갈아서 종이를 편 위에 비벼서 조를 만들고 귀 속에 넣으면 스스로 나오니 또한 달팽이를 물방울로 갈아 미란되게 하여 점적한 즙을 귀 속에서 또한 나온다.(의학강목)
○ 脂麻油作煎餠 枕臥須臾出(本草).
기름진 참기름을 달여 떡을 만들어서 베개 베고 자면 곧 나온다.(본초)
○ 小蒜汁滴入耳 卽出諸 皆同(本草).
달래즙을 귀 속에 점적해 넣음ㄴ 곧 여러 벌레가 나오니 모두 같다.(본초)
○ 蟻子入耳 穿山甲燒末 水調灌之卽出(本草).
개미가 귀에 들어가면 천산갑 태운 가루를 물에 제조하여 넣으면 곧 나온다.(본초)
○ 猪脂或牛脂 或肉灸 令香安耳孔 自出(本草).
돼지기름이나 혹은 소기름이나 혹은 살을 구우면 향기가 귀 구멍을 편안케 하니 벌레가 저절로 나온다.(본초).
○ 耳中有物 不可出 用弓弦或麻蠅 打令頭散 塗好膠 粘着其物 徐徐引出妙(本草).
귀 속에 물건이 있으면서 꺼낼 수 없으면 활줄이나 삼줄을 사용하여 때려 머리가 터지게 하면 좋은 아교를 바르면 그 물건에 점착하여 서서히 당겨 꺼내면 오묘하다.(본초).
○ 一切物 入耳不出 以竹管入耳 內用口氣 盡力吸出最妙(丹心).
일체의 벌레와 물건이 귀에 들어가서 나오지 않으면 대나무 대롱을 귀에 넣고 안에 입의 숨을 불면 힘을 다해서 흡입하여 꺼냄이 가장 오묘하다.(단계심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