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교수 학습 지도계획
2.수업의 주안점
2.수업의 주안점
본문내용
사실에서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책임감과 자신감을 학생들 스스로 갖게 될 것이다.
2. 교사의 역할
교사는 수업 시간동안 적극적으로 학생을 관찰하고 개입해야 한다. 협동학습은 전통적인 수업과는 달리 교사가 별로 할 일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교사는 협동학습을 준비(학습의 구조화와 도구 준비)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했기에 수업 시간에는 한가한 것이다. 이 때 한가하다는 것은 설명을 많이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대신 교사는 수업 시 학생들의 활동을 면밀히 관찰하면서 한 개인 혹은 한 모둠을 점검하며 도와주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교사는 교탁 앞에만 서 있는 것이 아니라 교실을 계속 둘러 봐야 하는 것이다.
다음은 협동학습에서 보이는 교사의 역할이다.
가. 교사는 협동학습의 원리와 방법을 학생들에게 이해시키고, 무엇보다도 협동학습에 필요한 사회적 기능을 충분히 훈련시켜야 한다.
나. 교사는 수업시간에 여유를 가지고 학생들의 활동을 살펴보면서 소집단이나 개인 학생들에게 개별적 지도를 하여야 한다. - 이렇게 해야 하는 이유는 협동학습은 학생 스스로가 하는 학습이기 때문이다.
다. 교사는 학생들의 활동을 끊임없이 모니터 해야 한다. - 협동학습은 학생들을 통한 수많은 수업상황이 나타나므로 교사는 학생들의 활동을 계속 모니터 하면서 그들이 협동학습을 잘 진행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라. 교사는 학생들의 활동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필요가 있다. 학습의 주체는 학생이지만 아직 미숙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교사가 단순히 방관자가 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문제가 있는 소집단이나 학생들이 발생 하면 적극적으로 그들이 정상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개입하여야 한다. 물론 그 개입은 학생들을 앞에 서 이끄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도와주는 최소한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 교사는 과제을 수행하는 중, 단위활동이 끝난 뒤나 과제를 완성한 뒤에 반드시 학생 스스로 자신들의 활동 을 평가하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바. 항상 교사는 자신의 수업과정이 협동학습의 4가지 기본 원리에 잘 부합하고 있는지를 반성해보아야 한다.
- 긍정적인 상호의존이 잘 이루어지는가? 서로 돕고, 격려하고 기뻐하는가?
- 개인적 책임을 잘 실천하는가? 자신의 임무를 점검하는가?
- 동등한 참여가 이루어지는가? 참여의 기회가 얼마나 동등한가?
- 동시다발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몇 %의 학생이 활동 중인가?
2. 교사의 역할
교사는 수업 시간동안 적극적으로 학생을 관찰하고 개입해야 한다. 협동학습은 전통적인 수업과는 달리 교사가 별로 할 일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교사는 협동학습을 준비(학습의 구조화와 도구 준비)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했기에 수업 시간에는 한가한 것이다. 이 때 한가하다는 것은 설명을 많이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대신 교사는 수업 시 학생들의 활동을 면밀히 관찰하면서 한 개인 혹은 한 모둠을 점검하며 도와주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교사는 교탁 앞에만 서 있는 것이 아니라 교실을 계속 둘러 봐야 하는 것이다.
다음은 협동학습에서 보이는 교사의 역할이다.
가. 교사는 협동학습의 원리와 방법을 학생들에게 이해시키고, 무엇보다도 협동학습에 필요한 사회적 기능을 충분히 훈련시켜야 한다.
나. 교사는 수업시간에 여유를 가지고 학생들의 활동을 살펴보면서 소집단이나 개인 학생들에게 개별적 지도를 하여야 한다. - 이렇게 해야 하는 이유는 협동학습은 학생 스스로가 하는 학습이기 때문이다.
다. 교사는 학생들의 활동을 끊임없이 모니터 해야 한다. - 협동학습은 학생들을 통한 수많은 수업상황이 나타나므로 교사는 학생들의 활동을 계속 모니터 하면서 그들이 협동학습을 잘 진행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라. 교사는 학생들의 활동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필요가 있다. 학습의 주체는 학생이지만 아직 미숙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교사가 단순히 방관자가 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문제가 있는 소집단이나 학생들이 발생 하면 적극적으로 그들이 정상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개입하여야 한다. 물론 그 개입은 학생들을 앞에 서 이끄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도와주는 최소한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 교사는 과제을 수행하는 중, 단위활동이 끝난 뒤나 과제를 완성한 뒤에 반드시 학생 스스로 자신들의 활동 을 평가하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바. 항상 교사는 자신의 수업과정이 협동학습의 4가지 기본 원리에 잘 부합하고 있는지를 반성해보아야 한다.
- 긍정적인 상호의존이 잘 이루어지는가? 서로 돕고, 격려하고 기뻐하는가?
- 개인적 책임을 잘 실천하는가? 자신의 임무를 점검하는가?
- 동등한 참여가 이루어지는가? 참여의 기회가 얼마나 동등한가?
- 동시다발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몇 %의 학생이 활동 중인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