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경영혁신의 의의 및 목적
2. 경영혁신기법의 정의
3. 경영혁신 기법의 핵심요인(key factor)별 범주화
참고자료
2. 경영혁신기법의 정의
3. 경영혁신 기법의 핵심요인(key factor)별 범주화
참고자료
본문내용
통제시스템을 설계하여야 한다. 여섯째, 전략 실천의 결과를 평가하여 미래 의사결정에 피드백한다. 선택된 전략이 일단 실천되면 그 결과가 기업목표의 달성에 어느 정도 기여했는지를 평가한다. 그리고 그 평가결과를 다시 다음 단계의 전략 수립과 실천에 반영한다. 그리하여 기존의 기업목표와 전략이 적절한지, 아니면 변화시켜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위와 같은 전략경영의 구성요소들은 합리적인 전략의 수립과 실천을 통하여 목표달성에 유리한 방향으로 외부환경과 상호작용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라. 전략경영의 세 수준 (Three Levels)
전략경영은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기업 내부의 수준에 따라 몇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사업들을 동시에 수행하는 다중사업(multibusiness) 기업의 경우 일반적으로 다음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사적 사업부 기능별 수준에서 각각 전략경영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1) 전사적 수준 (Corporate Level)
전사적 수준에서의 전략경영은 전략본부의 책임을 맡고 있는 최고 경영층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것은 주로 기업의 전체목표를 정의하고, 무슨 사업에 참여하며 어떻게 사업2부들 간에 자원을 2배분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따라서 전사적 수준의 전략경영은 새로운 사업영역의 선택, 기존 사업의 포기, 성장의 우선순위 결정, 장기적 자본조달 방안, 배당 정책 등과 관련돈 문제들을 다룬다. 이와 같은 문제들은 기업전체적 관점과 장기적 시야를 필요로 하며, 잠재적 수익성이 높은 반면 위험부담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전사적 수준의 의사결정은 보통 최고경영자가 전략스탭의 도움을 받아 결정하거나 이사회의 결의를 통해 결정한다.
(2) 사업부 수준 (Business Level)
여러 사업들을 동시에 영위하는 기업의 경우 여러 개의 독자적인 사업부들이 존재한다. 각 사업부는 각기 독자적인 사업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생산, 마케팅, 재무, 인사 등 독자적인 경영기능들을 소유하고 있다. 사업부 수준의 전략경영이란 이러한 개별 사업부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전사적 전략경영이 기업 전체의 관점에서 사업의 균형을 이루는 데 주안점을 두는 것에 반해, 사업부 수준의 전략경영은 특정 사업에 국한된 전략적 의사결정들을 주내용으로 한다. 즉 이것은 전사적 수준에서 결정된 전략적 방향과 목표에 입각하여 개별사업의 영위에 필요한 구체적 전략들을 결정한다. 따라서 사업부 수준의 전략경영은 미리 정해진 사업영역 안에서 어떻게 경쟁자들과 효과적으로 경쟁해 나갈 것인가의 문제를 주로 다룬다. 사업부 수준에서의 전략적 의사결정은 시장 세분화, 유통채널, 원가구조, 공장입지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구체적이고 경쟁우위의 확보와 관련된 것이 대부분이다.
(3) 기능별 수준 (Functional Level)
기능별 전략경영은 궁극적으로 각 경영기능별 경영자들이 담당한다.
이것은 생산, 마케팅, 재무, 인사, 연구개발 등 각 경영기능에서의 단기적 목표와 전략방안들을 강구함을 주내용으로 한다. 기능별 수준에서의 의사결정은 사업부 수준에서 결정된 전략을 실천하는 것과 직접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기능별 수준의 전략들은 앞에서 설명한 사업부 수준에서의 전략들과 일관성을 가져야 한다.
기능별 수준에서의 전략적 의사결정은 전사적 또는 사업부 전략에 비하여 단기적이며 보다 구체적이다. 즉, 이 의사결정은 주로 생산시스템의 효율성 제고, 적정재고 수준의 결정, 고객서비스의 질적 향상, 연구 개발의 방법결정 등과 같은 실천적 문제를 다룬다.
참고자료
경제기획원, 『공기업 경영개혁 추진방안』, 1993
경제정의연구소, 『경제정의 기업평가 보고서』, 경제정의 실천 시민연합, 1993
곽상경 외, 『포항제철과 국민경제』, 포항제철, 1992
곽수근, 『기업의 사회적 성과평가제도의 도입에 관한 소고』, 공인회계사, 1994
김성희, 『리엔지니어링과 벤치마킹 어떻게 성공시킬 것인가』, 인사관리, 1994
김승일, 『경영혁신의 주체와 프로세스』, 국제기업전략연구소, 1995
김용국 역, 『P. Drucker, 「새로운 현실」』, 한국경제신문사, 1990
김일섭, 『민영화 공기업의 경영체제에 대한 제안』, 공기업논총 제6권, 1994
김정석, 『무한경쟁시대의 경영혁명 패러다임 전환』, 명진출판사, 1994
류한주, 『TQM에 의한 경영혁신』, 한국생산성본부, 1994
박기찬, 『조직정치론』, 경문사, 1993
박내회 역, 『BCG 「리엔지니어링」』, 김영사, 1993
라. 전략경영의 세 수준 (Three Levels)
전략경영은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기업 내부의 수준에 따라 몇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사업들을 동시에 수행하는 다중사업(multibusiness) 기업의 경우 일반적으로 다음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사적 사업부 기능별 수준에서 각각 전략경영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1) 전사적 수준 (Corporate Level)
전사적 수준에서의 전략경영은 전략본부의 책임을 맡고 있는 최고 경영층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것은 주로 기업의 전체목표를 정의하고, 무슨 사업에 참여하며 어떻게 사업2부들 간에 자원을 2배분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따라서 전사적 수준의 전략경영은 새로운 사업영역의 선택, 기존 사업의 포기, 성장의 우선순위 결정, 장기적 자본조달 방안, 배당 정책 등과 관련돈 문제들을 다룬다. 이와 같은 문제들은 기업전체적 관점과 장기적 시야를 필요로 하며, 잠재적 수익성이 높은 반면 위험부담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전사적 수준의 의사결정은 보통 최고경영자가 전략스탭의 도움을 받아 결정하거나 이사회의 결의를 통해 결정한다.
(2) 사업부 수준 (Business Level)
여러 사업들을 동시에 영위하는 기업의 경우 여러 개의 독자적인 사업부들이 존재한다. 각 사업부는 각기 독자적인 사업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생산, 마케팅, 재무, 인사 등 독자적인 경영기능들을 소유하고 있다. 사업부 수준의 전략경영이란 이러한 개별 사업부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전사적 전략경영이 기업 전체의 관점에서 사업의 균형을 이루는 데 주안점을 두는 것에 반해, 사업부 수준의 전략경영은 특정 사업에 국한된 전략적 의사결정들을 주내용으로 한다. 즉 이것은 전사적 수준에서 결정된 전략적 방향과 목표에 입각하여 개별사업의 영위에 필요한 구체적 전략들을 결정한다. 따라서 사업부 수준의 전략경영은 미리 정해진 사업영역 안에서 어떻게 경쟁자들과 효과적으로 경쟁해 나갈 것인가의 문제를 주로 다룬다. 사업부 수준에서의 전략적 의사결정은 시장 세분화, 유통채널, 원가구조, 공장입지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구체적이고 경쟁우위의 확보와 관련된 것이 대부분이다.
(3) 기능별 수준 (Functional Level)
기능별 전략경영은 궁극적으로 각 경영기능별 경영자들이 담당한다.
이것은 생산, 마케팅, 재무, 인사, 연구개발 등 각 경영기능에서의 단기적 목표와 전략방안들을 강구함을 주내용으로 한다. 기능별 수준에서의 의사결정은 사업부 수준에서 결정된 전략을 실천하는 것과 직접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기능별 수준의 전략들은 앞에서 설명한 사업부 수준에서의 전략들과 일관성을 가져야 한다.
기능별 수준에서의 전략적 의사결정은 전사적 또는 사업부 전략에 비하여 단기적이며 보다 구체적이다. 즉, 이 의사결정은 주로 생산시스템의 효율성 제고, 적정재고 수준의 결정, 고객서비스의 질적 향상, 연구 개발의 방법결정 등과 같은 실천적 문제를 다룬다.
참고자료
경제기획원, 『공기업 경영개혁 추진방안』, 1993
경제정의연구소, 『경제정의 기업평가 보고서』, 경제정의 실천 시민연합, 1993
곽상경 외, 『포항제철과 국민경제』, 포항제철, 1992
곽수근, 『기업의 사회적 성과평가제도의 도입에 관한 소고』, 공인회계사, 1994
김성희, 『리엔지니어링과 벤치마킹 어떻게 성공시킬 것인가』, 인사관리, 1994
김승일, 『경영혁신의 주체와 프로세스』, 국제기업전략연구소, 1995
김용국 역, 『P. Drucker, 「새로운 현실」』, 한국경제신문사, 1990
김일섭, 『민영화 공기업의 경영체제에 대한 제안』, 공기업논총 제6권, 1994
김정석, 『무한경쟁시대의 경영혁명 패러다임 전환』, 명진출판사, 1994
류한주, 『TQM에 의한 경영혁신』, 한국생산성본부, 1994
박기찬, 『조직정치론』, 경문사, 1993
박내회 역, 『BCG 「리엔지니어링」』, 김영사, 1993
추천자료
강원랜드의 구조와 경영전략 분석
종합상사의 새로운 경영전략에 대해
디지털시대의 경영전략
SK텔레콤 경영전략 사례연구
리조트 호텔의 경영전략
사우스웨스트 항공사 경영전략
2등 기업의 경영전략과사례연구 분석
애플사 다각화 경영전략 분석
국내제약기업의 글로벌 경영전략(중국시장 진출을 중심으로)
글로벌시대의 종합상사의 신경영전략 (해외자원개발을 중심으로)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기술경영전략
현대자동차 경영전략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PPT자료
[국제경영전략론]애플(Apple) 기업조사
방통대 경영전략론 관련다각화 비관련다각화에 비해 성과가 높다 - 견해에 대한 의견, 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