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평생교육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국의 평생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영국 UNISON의 개방대학 >>
1. 유니슨 개방대학
1) 개방대학의 체계

2) 프로그램 사례


2. 한국 평생교육에 주는 시사점

본문내용

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즉 직업세계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기초 기술이나 자격 취득 훈련에서 더 나아가, 새로운 시대에 새로운 삶을 개척할 수 있는 '전인적' 조합원개발 프로그램까지 이끌어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욕심이 생긴다.
누구나 지금 나타나고 있는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 경제와 정치의 불안정성, 사회의 비인간화와 문화적 타락 등의 심각성을 인정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발생시킨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한 교육적 노력의 하나인 홀리스틱 교육이론은 개인을 넘어서서 가족, 이웃, 사회, 동식물, 자연, 지구, 우주 등 모든 존재가 '연관'되어 있다는 시각에서 교육에 접근하는 이론이라고 한다. 이 교육운동에서는 참가자들이 학습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전체의 맥락 속에서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의미를 탐구하며, 창의적, 체계적 사고를 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교육했을 때 참가자들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세계를 총체적으로 인식하여 자신과의 관계를 이해하게 되고, 나아가 21세기 새로운 사회의 한 주체로서 소외되지 않은 삶을 살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유니슨 개방대학의 프로그램만이 아니라, 노동자와 농민, 노동자와 통일, 노동자와 도시, 노동자와 지구 생태계...등의 교육과정도 만들고, 이런 것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공감하게 하는 교육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우리 조합원들의 사고의 지평을 넓히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준비하는 노동자들을 육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
김도수, 「사회교육학」, 서울: 교육과학사, 1999.
정지웅김지자,「사회교육학개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사, 2000.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9.10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35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