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용수 분석 강의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용수 분석 강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수소이온농도(pH) 측정
2. 탁도(Turbidity) 측정
3. 경도(Hardness) 측정
4. 과망간산칼륨소비량(KMnO4)소비량 측정
5. 증발잔유물(Residues on evaporation) 측정
6. 암모니아성질소(NH3-N) 분석
* 흡광 광도법(Ultra-Visible Spectrophotometry)사용법
7. 질산성 질소(NO3-N) 분석
8. 철(Iron : Fe) 분석
9. 음이온 계면활성제(ABS) 분석
10. 비소(As) 분석
11. 페놀(Phenol) 분석
12. 구리(Cu) 분석
* 원자 흡광 광도법(Au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사용법
13. 카드뮴(Cd) 분석
14. 납(Pb) 분석
15. 수은(Hg) 분석

본문내용

섭취량 0.1㎎정도(1ppm의 식품 100g)에서는 발증이 없다.
나) 만성 독성 : 지각장애, 운동실조, 보행장애, 시야협소, 언어장애, 난청 등 Hunter-Russell증후군 이라 부르는 것이 주요 반응이다.
최소 발증 수준은 성인인 경우 혈증 0.2㎍/㎖, 두발중 50㎍/㎖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② 금속수은
가) 급성 독성 : 경구섭취하여도 체내에 흡수되지 않아 독성은 매우 약하다. 보통은 그대로 대변으로 배설된다. 그러나 금속수은은 휘발성이 높아 수은 증기의 흡입으로 성인의 경우 10㎎/㎥ 공기 중 수은농도에서 1~2일 이내에 치경염증, 구내염, 구토, 복통, 설사, 신경장해 등의 급성 내지 아급성 장해가 나타난다.
나) 만성 독성 : 흥분, 기질의 변화, 손가락의 떨림이 나타난다.
③ 수은염
급성 독성 : 수은염의 사람에 대한 경구치사령은 1~4g이다. 염화제2수은 1.5g을 섭취하면, 5분 후 구토증을 일으키고, 이어서 짧은 시간에 의식을 잃을 정도로 심한 복통이 있다.
2) 미나마타병
미나마타병은 메틸수은화합물에 의한 신경계 질환으로 질소비료를 제조하는 공장의 아세트알데하이드 생산공정의 증류배출수중에서 부생성물로서 생성된 메틸수은화합물이 모르는 사이에 바다로 배출되어, 이것이 어패류에 고농도로 축적되고, 오염된 어패류를 사람이 섭취하여 발병한 공해병이다.
이 미나마타병은 신경에 침범하여 감각이나 운동에 장해를 주는 질병이다. 발생초기인 1950년대에는 전신경련을 일으켜 사망에 이른 중증의 환자도 다수 보였고, 또한 선천성 지능장해나 운동장해를 가진 자녀도 태어나는 등의 비참한 피해가 일어났다.
1953년 이때부터 환자가 발생하였다.
1956년 5월 뇌증상을 주로 하는 환자 발생
1968년 9월 정부에 의한 수보병의 원인에 대한 견해 발표
공해병 환자로 판정된 사람은 1991년 3월말까지 2248명(그 중 사망자 1004명), 인정된 환자 이외에도 수보시 등에는 스스로가 수보병이 아닐까하고 생각하여, 환자로서의 보상을 받기 위해 소송을 제기하고 있는 사람이 약 200명 정도 이며,보상문제가 또한 전면적인 해결을 보이지 않고 있다.
3. 실험기구
① 수은분석기(Automated Mercury Analyzer)
② 마이크로피펫
③ mass-flaske
4. 실험시약
① 수은표준원액 1000ppm(Hg) - Mercury Standard Solution
② L-시스테인(C3H7NO2S) - L-cysteine. MW(121.16)
③ 염화제일주석 (SnCl22H2O) - Tin(Ⅱ) Chloride Dihydrate . MW(225.65)
④ 황산 (H2SO4) - Sulfuric Acid. MW(98.08)
⑤ 질산 (HNO3) Nitric Acid. MW(63.01)
⑥ 수산화나트륨 (NaOH) - Sodium Hydroxide Solution. MW(40.00)
6. 시약제조방법
① 수은표준용액 100ppb
수은표준원액 1000ppm을 1㎖를 취하여 100㎖ mass flask에 넣고 L-cysteine 희석액으로 표선 까지 채워 수은표준용액 10ppm을 만든다.
수은표준용액 10ppm을 1㎖를 취하여 100㎖ mass flask에 넣고 L-cysteine 희석액으로 표선 까지 채워 수은표준용액 100ppb를 만든다.
② L-cysteine 0.001% 희석액
L-cysteine 10㎎을 1ℓ에 넣고 증류수로 채우고 2㎖ HNO3을 넣고 표선을 채운다.
③ 염화제일주석용액
염화제일주석 10g을 물100㎖에 녹인후 H2SO4 6㎖을 넣는다.
④ 황산 (1+1)
물50㎖에 황산50㎖를 넣어 100㎖를 제조한다.
수은 (Hg) 분석기 측정방법
1. 실험장치 : 수은분석기 (Automated Mercury Analyzer)
2. 측정원리 : 시료에 염화제일주석을 넣어 금속수은으로 환원시킨다음, 이 용액에 통기하여 발생하는 수은증기를 원자흡광광도법에 따라 정량하는 방법
3. 기기구성 :
① 환원기화부 : 시료에 염화제일주석을 가하고 통기(버블링)하여 금속수은으로 환원된 수은을 기화시킨다.
② 세기,제습부 : 환원과 도시에 발생하는 산증기, 수증기를 중화, 제습한다.
③ 검출부 : 기화된 수은은 쾅수셀에 도입하여 253.7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내장되어 있는 검량선으로부터 수은의 양을 구하여 농도를 산 출하고 이를 표시기록
4. 측정과정
1) 측정 준비 과정
① Air-cleaning sol. 주입 : 0.1N NaOH 용액 주입 (약2㎝)
② Power Switch ON
START/STOP switch를 STOPside에 놓고
Power source switch를 ONside에 맞춘다. (안정시간 20분)
③ 유량 조절 : 20분 후 유량을 1ℓ/min 으로 조정
④ Auto sampler 작동
튜브를 H2SO4 와 SnCl2 용액에 구분하여 옮긴다.
START/STOP switch를 STOP에 놓고
MANU상태에서 CAP을 DOWN으로 설정
Syringe를 UP과 동시에 Feed를 눌러준다.
(약 5회 UP-DOWN 반복됨 )
2) Blank, Standard 및 Sample 측정 과정
① Blank Test ( 모든 시료는 20㎖ 측정 )
Auto상태에서 본체의 CALIB를BLANK에 설정
Auto sampler의START/STOP모드를START올려줌.
② Standard Test
Auto상태에서 본체의 CALIB를SPAN에 설정
Auto sampler의START/STOP모드를START에 놓고 측정
③ Sample Test
Auto상태에서 본체의 CALIB를 끄고
Auto sampler의START/STOP모드를START올려준다.
5. 마무리 과정
① 튜브를 증류수로 옮긴다.
② “START/STOP switch를 STOPside에 놓고
③ MANU상태에서 CAP을 DOWN으로 설정
④ Syringe를 UP과 동시에 Feed를 눌러준다. ( 2~3회 반복 )
⑤ Air-cleaning sol. (NaOH) 배출시킴.
6. 실험결과 및 계산
- 기준 : 0.001㎎/ℓ , 정량한계 : 0.001㎎/ℓ
  • 가격3,000
  • 페이지수35페이지
  • 등록일2006.09.13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37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