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자헛 마케팅 전략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피자헛 마케팅 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기업현황

2. 외부 환경 분석

3. 내부 환경 분석

4. STP 전략

5. 5P +Service

6. 성공요인 및 앞으로의 발전방향

본문내용

마다 주요번화가에 위치, 가까운 거리, 넓은 매장으로 쉽게 찾을 수 있음.
2) 집으로 배달하는 경우
- 홈서비스(콜센터 바탕)
- 1588-5588의 단일번호 사용
- 콜센터 : 한 곳에서 모든 주문을 접수, 매장과 연계 배달 내역을 실시간 파악
3) 포장주문
-고객의 선택한 매장으로 직접 방문하거나 온라인 주문을 통해 포장예약을 하고 매장 방문하여 바로 찾아갈 수 있다.
=> 장소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구매접근성 증대를 꾀함
3. PEOPLE
1) 직원들의 팀워크 구축, 효율적 업무추진 위해 칭찬하는 문화를 정착
① 칭찬카드 나누기 : 전 직원이 항시 칭찬카드를 소지하며 칭찬해주고 싶은 상대방에게 칭찬내용을 적어 카드를 전달, 전달된 칭찬카드는 주초 부서별 회의에서 발표되며 이를 통해 칭찬내용을 함께 공유하고 격려
② 칭찬릴레이 : 매월 ‘피자헛 칭찬의 날’에 한 직원을 선정, ‘저 칭찬받았어요’라는 문구의 표식물을 수여하고 2달 후 칭찬하고픈 직원에게 표식물을 전달, 직원들에게 재미있고 긍정적인 조직문화를 제공
2) 챔스(champs) 챌린지
Cleanliness(매장의 청결), Hospitality(고객에 대한 환대), Accuracy(주문의 정확성), Maintenance(시설의 보수유지), Product Quality(제품의 품질), Speed(신속한 서비스)를 토대로 직원들의 사기를 북돋고 팀웍을 강화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이다. 피자헛은 또한 여기서 그치지 않고 CHAMPS 프로그램을 발전 시켜 고객이 레스토랑을 방문하여 주문하고 식사를 마친 후 레스토랑을 떠나는 일련의 과정을 그대로 옮겨놓고 직원의 서비스 기량을 겨루는 서비스경진 대회인 CHAMPS Challenge를 실시하고 있다.
3) '해외 인센티브 트립' 상
열심히 근무한 직원이라면 나이와 직위에 관계없이 개인과 팀의 성과에 대해 정당하게 포상하고 인정, 직원들에게 일상과 업무로부터 해방돼 새로운 문화를 경험함으로써 몸과 마음을 재충전하는 기회로 제공
4) 비정규직 직원들의 장학금제도
직원들의 사기진작, 일하고 싶은 일터를 만들기 위한 노력으로 점장 및 지역장 추천에 의해 선정된 직원에게 1인당 200만원의 장학금 지급
5) 직원 라이센스 제도
직원들의 근무만족도 향상을 위해 가맹점운영기회를 주는 제도로서 일터를 하나의 축제의 장으로 만들어 직원 간의 정을 느끼고 직장생활의 안정성, 가족적인 분위기 조성,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동력이 되도록 함.
4) product
매출 부진을 면하지 못하고 있는 타 외식 업체에 비해 피자헛은 전년 대비 30% 매출 신장이라는 결과를 나았는데 공로가 가장 큰 것은 바로 뛰어난 제품 때문이었다.
1) 1985년도 '슈퍼슈프림, 콤비네이션'피자
-소고기, 햄, 소시지, 야채 등 갖은 토핑이 올려진 이른바 수퍼 슈프림, 콤비네이션
피자의 인기가 높았다.
2) 1992년도 '불고기' 피자
-국내 불고기를 접목한 피자의 대표적 퓨전 메뉴라고 할 수 있는 불고기 피자는 한국인의 입맛에 적중, 출시 초반부터 폭발적인 인기를 모았으며 수많은 업체들의 미투 제품이 잇따라 출시되는 등 단시간 내에 피자 시장의 대표 메뉴 중 하나로 자리 잡게 됨으로서 비슷한 제품 군이 1위를 질주하던 피자 시장에서 차별화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3) 2000년도 '불갈비' 피자
- '제품이 그 업체를 상징하는 시대' 도래 됨에 따라 김치를 토핑으로 얹어 놓은 불갈비 피자를 선보였다.
4) 2003년도 '리치 골드' 피자
-리치 골드 피자는 출시 1년 만에 700만판이 팔렸고 액수로 따지자면 1700억원에 해당하는 것이다. 단일 피자 제품으로서는 최고 기록을 달성한 것이며 이 기록은 한동안 깨지기 힘들 것으로 보여 진다. 현재로는 피자헛의 리치 골드의 아성을 무너뜨릴 만한 타사의 제품이 없기 때문이다.
5) 2004년도 11월 현재 '비스트로' 피자
=> 시대가 변하면 소비자 입맛도 변한다. 퓨전, 건강, 유기농 등 시대 흐름에 따라 변하는 피자 종류에서도 알 수 있는 이는 결코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시대 흐름에 발맞춰 나가되 자사만의 독창성을 살린 메뉴개발만이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원동력이다.
5) price
=> 비싼 가격은 최고로 맛있는 피자를 만들겠다는 피자헛의 자부심
VI. 앞으로의 발전 방향
(1) '맛'에 대한 계속적인 투자
-신제품을 개발할 때마다 수 차례의 테스트를 거치고 일단 개발되어 출시된 제품에 대해서도 혹시 고객의 입맛이 변하지 않았는지 지속적으로 추적조사(Tracking Test)를 하고 있다. 이를 고객만족 추적조사(CEM:Customer Experience Monitor)라 하여 매달 실시하고 있다
-최고급 재료들만 사용 : 맛있는 피자란 최고의 재료를 찾아내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고 믿으며 피자헛은 재료를 신중의 신중을 기울여 선택하고 있다. 피자 소스로 쓰이는 최적의 토마토를 찾기 위해 지중해 해안가 마을을 구석구석 찾아다니기도 하고 맛있고 신선한 양송이를 구하기 위해 우리나라 일대를 샅샅이 뒤지기도 한다. 최고의 맛을 위해서는 많이 쓰이는 재료는 물론이고 아주 조금밖에 쓰이지 않는 재료라도 모두 소중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2) 브랜드 이미지 조사 (BIT: Brand Image Tracker)
‘함께 즐겨요 피자헛’ 이라는 슬로건을 중심으로 ‘함께 나눔(Sharing)’이란 컨셉을 지속적으로 유지함으로써 그 바탕 위에서 강력한 브랜드를 만들 수 있었다. 여기에서도 브랜드가 소비자 마음속에서 어떻게 유지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매달 정기적으로 브랜드 이미지 조사(BIT : Brand Image Tracker)를 실시해 오고 있다.
(3) 체계적인 브랜드 관리 시스템
-브랜드가 일관된 이미지를 갖도록 광고, 프로모션, PR 등 마케팅의 기본 요소 외에 레스토랑 비즈니스만이 갖는 독특한 고객 접점인 레스토랑, 종업원, 서비스 등에서 철저하게 관리해 옴
목차
1. 기업현황
2. 외부 환경 분석
3. 내부 환경 분석
4. STP 전략
5. 5P +Service
6. 성공요인 및 앞으로의 발전방향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6.09.20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46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