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ck과 간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hock과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정의

유형

증상과 징후

shock의 종류별 응급간호

본문내용

한 경우 에는 0.5~1.0ml(1:10000)를 혈관수축 작용을 막기 위해 천천히 정맥주사 한다. 또한 벌 에 쏘이거나 주사가 원인일 때는 그 부위의 상부에 지혈대를 사용하기도 하여 0.1~0.3ml의 Epinephrine(1:1000)을 침윤시킨다.
Benadryl 25~50mg의 항히스타민제를 근육 혹은 정맥내로 주사한다.
Ringer's lactate(RT), 생리식염수, 5% D/W 등의 수액을 대상자 상태에 따라 정맥 주사 한다.
대상자가 장기 반응이 있으면 dexamethasone이나 Solumedrol(hydrocortisone)과 같은 스테로이드를 정맥주사하면 후기재발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심한 기관지경련과 천식증상이 있는 대상자에게는 Aminophylline 250~500mg을 생리식 염수 10~20ml에 희석하여 아주 천천히 20분 이상 걸려서 정맥주사 한다. 이때는 반드시 cardiac monitoring을 하면서 주사한다.
5분 간격으로 활력증후를 측정한다.
Isuprel이나 epinephrine 기타 기관지 확장제를 IPPB기에 투입하여 대상자에게 주입시킨 다.
clmetidine을 IV한다.
음식섭취로 인해 shock이 일어났을 때는 위세척(gastric lavage)을 실시한다.
간호요원들은 대상자가 무의식 상태에서도 주위 사람들의 말소리를 들을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여 항상 주의한다.
중환자실로 옮긴다.
대상자 및 가족의 교육 - 생활 주변에서 항상 항원을 피하도록 하며 벌에 쏘이거나 기타 항원에 노출됐을 때는 반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근육 연화제를 사용토록 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9.22
  • 저작시기2004.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47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