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쇼몽 , 아쿠다가와 류노스케 형식주의 비평하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라쇼몽 , 아쿠다가와 류노스케 형식주의 비평하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기

2, 하나의 사건이 플롯으로

3. 모티프와 모티베이션

4. 시점

5. 아이러니

6. 덧붙이기

본문내용

있다. 이 작품에서도 이러한 놀라운 맺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바로 위의 아이러니한 상황이 그것이다. 하인이 도둑이 되어 평면적 인물이 입체적 인물로 성격이 바뀌는 것도 이 놀라운 맺음에 몫을 더한다. 인물의 성격발전이 일관성 없다고 여겨질 수 있으나 입체적 인물로 거듭나기 이전에 화자는 그가 변하는 과정과 원인을 일자리를 잃은 상황이라든가 사회적 상황이 모두가 가난에 찌들어 있다는 것과 함께 비 오는 밤의 시체가 뒹구는 라쇼몽의 공간적 배경으로 그의 성격 발전을 암시하여 놓는 등 섬세하게 작품 속에 모티베이션을 심어 놓음으로써 인물의 성격발전이 독자에게 받아들여질 수 있게 구성하여 놓고 있다.
이러한 놀라움 맺음은 이 작품 속에서 독자가 감상에 빠져드는 것을 방지한다. 만약 하인이 도둑이 되지 않고 끝까지 윤리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여 작품이 끝나고 있다면, 다시 말하면 하인이 들고 있는 칼로 노파의 행위를 저지하고 윤리적 접근을 하였다면 이 작품은 계몽적인 소설이 되었을 것이며 혹은 하인이 노파의 행위를 저지하고 끝내 칼로써(양심과 윤리 및 도덕) 그를 처단하여 죽였다면 이는 감상적 슬픔에 빠진 소설이 되고 말았을 것이다.
5. 덧붙이기
이 작품의 소재는 헤이안 시대 최대의 설화집인「곤자쿠 모노가타리(옛날 이야기 모음집)」에서 가져왔는데 「라쇼몽」은 29권에 있는 이야기라고 한다. 미루어 짐작하건데 이 작품의 원형이 있다는 점에서 다이쇼 시대의 작가 아쿠타가와가 헤이안 시대의 소재를 차용한 것은 그 나름의 시대적 상황이나 작가의 창작 욕구와 결부되는 무언가가 있었음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노드롭 프라이가 말한 원형의 내려앉기라고 볼 수도 있지 않나 하는 나름의 추측을 하여본다.
이 작품의 중심 사건은 하인이 도둑이 되는 것인데, 이것이 어떠한 주제를 도출하여 내는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나의 결론은 선과 악이 공존하는 인간의 내면 탐구라고 말하고 싶다. 인간과 인간들 사이의 에고이즘의 대비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이 소설은 선과 악이 공존하는 본성을 인간 내면의 심리의 미묘함과 모순으로 이끌어 내며 독자로 하여금 감상으로 젖는 것을 방지하여 적절한 거리감을 유지하게 하고 있는 뛰어난 구성력의 작품이었다.
[ 참고 문헌 ]
1.「 소설을 어떻게 볼 것인가 」, 권택영(2004), 문예출판사
2.「芥川龍之介의 소설에 나타난 열성적 가치>에 대하여」, 라승철(2001), 목포대 교육대학원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9.22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47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