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적하기
대상자의 장점을 찾아 대상자는 자신감이 약간 생겼다고 말한다.
(1) 일시 : 2006년 9월 19일 (2) 장소 : 병동 라운지
(3) 환자명 : 강○○ (여, 23세)
(4) 진단명 : conduct
(5) 치료적 목표: 대상자는 빨리 퇴원하고 싶어하는 입원에 대한 불안감을 줄인다.
환자의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
교류분석
학생의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교류분석
학생 반응의 이론적 근거
조력단계분석
대화과정에 대한 평가 및 분석
“언니.. 근데요 저 언제 퇴원해요?”
AC
"빨리 퇴원하고 싶어요?“
A
개방된 질문은 대상자와 의사소통의 시작, 계속성, 표현의 초점을 맞추는데 도움이 된다.
개방적인 질문
대상자가 고민이나 생각을 말하도록 유도한다.
“(눈물을 흘리며)네.. 여기에서 도저히 못있겠어요. 여기에 있다가 평생 있어야 될 것 같아서 무서워요”
AC
"빨리 퇴원하고 싶은데 그게 안되니까 불안하시군요..."
NP
느낌반영은 대상자와 감정이입이 이루어졌음을 대상자에게 확신시켜준다.
경청
느낌반영
대상자의 느낌을 반영함으로써 감정이입을 해서 깊은 대화를 나누도록 유도 한다.
"네.. 간호사 선생님하고 의사선생님한테 퇴원시켜 달라고 하는게 안시켜줘요.. 엄마가 저를 여기에 평생 쳐박아 둘꺼예요"
AC
“OO님이 그렇게 약한 모습을 보이니까 그런거예요. 잘 견디고 잘 지내면 퇴원시켜 주실거예요. 불안해 하지 말고 잘 지내는 모습을 보여주세요”
NP
대상자가 보인 태도에 적절한 반응을 보여주고 대상자에게도 정서적 지지를 해주어 불안을 감소시킨다.
지적하기
대상자의 현실을 직면하게 하여 퇴원하지 못할 것 같은 불안을 감소시킨다.
(1) 일시 : 2006년 9월 20일 (2) 장소 : 병실
(3) 환자명 : 최○○ (여, 50세)
(4) 진단명 : schizophrenia
(5) 치료적 목표: 대상자는 음식에 대한 망상으로 인한 금식 습관이 완화된다.
환자의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
교류분석
학생의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교류분석
학생 반응의 이론적 근거
조력단계분석
대화과정에 대한 평가 및 분석
“.......”
AC
“00님, 안녕하세요? 오늘 기분은 어떠세요? 어? 식사를 안하셨네요. 왜 안드셨는지 물어봐도 될까요? ”
A
개방된 질문은 대상자와 의사소통의 시작, 계속성, 표현의 초점을 맞추는데 도움이 된다.
개방적인 질문
대상자가 고민이나 생각을 말하도록 유도한다.
“밥에 독이 들었어.. 너희들이 지금 나를 죽이려고 독을 넣었잖아.”
CP
"지금 00님 말씀은 음식에 독이 들어서 안드신다는 말씀이시군요“
A
대화의 내용을 반영하는 것은 간호사가 그 행동에 대해 정확한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서이며, 또 적극적으로 경청하고 있음을 대상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이다.
내용반영
대상자의 말을 경청하고 있음을 보여주어 더욱 깊은 대화를 하도록 유도한다.
“이 밥을 먹으면 나는 죽어.”
CP
“00님은 그렇게 생각하셨군요. 그래도 00님, 식사를 하셔야 약먹고 빨리 퇴원하실 수 있어요”
NP
대상자 스스로 금식하는 것을 알도록 하고 이를 없애도록 유도하는 방법이다.
경청
지적하기
대상자의 음식에 대한 망상을 인정하지는 않되, 금식하는 습관이 없어지도록 격려한다.
"네. 학생간호사얘기를 듣고 보니 그것도 맞는 것 같네. 그래도 독이 든 것 같애서 먹기가 힘들어.”
FC
"네, 잘 생각하셨어요, 00님. 앞으로도 그렇게 생각하시고 노력해주세요. 병원에서는 00님병을 고치기 위해서 노력하지 해를 드리지는 않습니다.”
NP
격려와 칭찬은 대상자가 한 행동을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경청
격려하기
대상자를 격려함으로써 앞으로의 앞으로 식사를 잘 하도록 지지한다.
대상자의 장점을 찾아 대상자는 자신감이 약간 생겼다고 말한다.
(1) 일시 : 2006년 9월 19일 (2) 장소 : 병동 라운지
(3) 환자명 : 강○○ (여, 23세)
(4) 진단명 : conduct
(5) 치료적 목표: 대상자는 빨리 퇴원하고 싶어하는 입원에 대한 불안감을 줄인다.
환자의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
교류분석
학생의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교류분석
학생 반응의 이론적 근거
조력단계분석
대화과정에 대한 평가 및 분석
“언니.. 근데요 저 언제 퇴원해요?”
AC
"빨리 퇴원하고 싶어요?“
A
개방된 질문은 대상자와 의사소통의 시작, 계속성, 표현의 초점을 맞추는데 도움이 된다.
개방적인 질문
대상자가 고민이나 생각을 말하도록 유도한다.
“(눈물을 흘리며)네.. 여기에서 도저히 못있겠어요. 여기에 있다가 평생 있어야 될 것 같아서 무서워요”
AC
"빨리 퇴원하고 싶은데 그게 안되니까 불안하시군요..."
NP
느낌반영은 대상자와 감정이입이 이루어졌음을 대상자에게 확신시켜준다.
경청
느낌반영
대상자의 느낌을 반영함으로써 감정이입을 해서 깊은 대화를 나누도록 유도 한다.
"네.. 간호사 선생님하고 의사선생님한테 퇴원시켜 달라고 하는게 안시켜줘요.. 엄마가 저를 여기에 평생 쳐박아 둘꺼예요"
AC
“OO님이 그렇게 약한 모습을 보이니까 그런거예요. 잘 견디고 잘 지내면 퇴원시켜 주실거예요. 불안해 하지 말고 잘 지내는 모습을 보여주세요”
NP
대상자가 보인 태도에 적절한 반응을 보여주고 대상자에게도 정서적 지지를 해주어 불안을 감소시킨다.
지적하기
대상자의 현실을 직면하게 하여 퇴원하지 못할 것 같은 불안을 감소시킨다.
(1) 일시 : 2006년 9월 20일 (2) 장소 : 병실
(3) 환자명 : 최○○ (여, 50세)
(4) 진단명 : schizophrenia
(5) 치료적 목표: 대상자는 음식에 대한 망상으로 인한 금식 습관이 완화된다.
환자의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
교류분석
학생의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교류분석
학생 반응의 이론적 근거
조력단계분석
대화과정에 대한 평가 및 분석
“.......”
AC
“00님, 안녕하세요? 오늘 기분은 어떠세요? 어? 식사를 안하셨네요. 왜 안드셨는지 물어봐도 될까요? ”
A
개방된 질문은 대상자와 의사소통의 시작, 계속성, 표현의 초점을 맞추는데 도움이 된다.
개방적인 질문
대상자가 고민이나 생각을 말하도록 유도한다.
“밥에 독이 들었어.. 너희들이 지금 나를 죽이려고 독을 넣었잖아.”
CP
"지금 00님 말씀은 음식에 독이 들어서 안드신다는 말씀이시군요“
A
대화의 내용을 반영하는 것은 간호사가 그 행동에 대해 정확한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서이며, 또 적극적으로 경청하고 있음을 대상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이다.
내용반영
대상자의 말을 경청하고 있음을 보여주어 더욱 깊은 대화를 하도록 유도한다.
“이 밥을 먹으면 나는 죽어.”
CP
“00님은 그렇게 생각하셨군요. 그래도 00님, 식사를 하셔야 약먹고 빨리 퇴원하실 수 있어요”
NP
대상자 스스로 금식하는 것을 알도록 하고 이를 없애도록 유도하는 방법이다.
경청
지적하기
대상자의 음식에 대한 망상을 인정하지는 않되, 금식하는 습관이 없어지도록 격려한다.
"네. 학생간호사얘기를 듣고 보니 그것도 맞는 것 같네. 그래도 독이 든 것 같애서 먹기가 힘들어.”
FC
"네, 잘 생각하셨어요, 00님. 앞으로도 그렇게 생각하시고 노력해주세요. 병원에서는 00님병을 고치기 위해서 노력하지 해를 드리지는 않습니다.”
NP
격려와 칭찬은 대상자가 한 행동을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경청
격려하기
대상자를 격려함으로써 앞으로의 앞으로 식사를 잘 하도록 지지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