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참여정부의 개념
* 관광정책의 개념
* 참여정부 관광정책
- 참여정부 관광정책 18대 과제 (2003.12.19)
- 2003년 주요정책
- 2004년 주요정책
- 2005년 주요정책
- 2006년 주요정책
* 관광정책의 개념
* 참여정부 관광정책
- 참여정부 관광정책 18대 과제 (2003.12.19)
- 2003년 주요정책
- 2004년 주요정책
- 2005년 주요정책
- 2006년 주요정책
본문내용
개발
ㅇ 광주 『아시아 문화중심도시』조성('03∼'23)
- 아시아 문화전당 건립('03∼'10, 5,000억원) 등 아시아 문화예술 중심도시로 육성
ㅇ 제주 국제자유도시 관광개발('02∼'11, 12조7,000억원)
- 서귀포 관광미항 개발 등 7대 선도프로젝트 추진
ㅇ 부산 『동남권 해양관광 중심도시』육성
- 골프장, 워터파크 조성 등 동부산 그린시티 개발('00∼'09, 8,812억원)
- 부산국제영화제 등 활용 국제회의도시로 육성
ㅇ 경주 『신라고도역사문화 관광거점』육성
- 경주 야간관광 활성화 및 국악ㆍ공연시설 확충 등 체류형 관광지로 조성
ㅇ 안동 『전통유교문화 관광거점』육성
- 유교문화권 관광개발 중심 휴양 거점으로 육성
ㅇ 설악권 관광개발
- 설악동 집단시설지구 리모델링 계획수립('04, 6억원), 재개발 추진
16) 국민관광 활성화
ㅇ 관광펜션등 자연체험형 중저가 숙박시설의 확충
- 5都 2村 가족숙박형 관광펜션을 관광사업으로 지정, 건설개보수 자금 융자 지원
- 펜션 실태조사 및 난개발 대응책 수립('04)
ㅇ 다양한 관광 자원 및 프로그램 개발
- 공룡화석지고인돌갯벌등 생태녹색관광자원 개발(연간 20개, 국고 400억원)
- 소설, 역사, 드라마, 영화 등 배경, 장소를 관광상품화한 프로그램 개발(연간 10개, 기금 10억원)
- "체험, 가족여행단"등 가족단위 체험형 관광상품 확대
ㅇ 국내 우수 관광프로그램 포상지원
- 유치관광객수, 위생안전, 자연 친화정도 등을 고려, 프로그램 선정(연간 10개, 10억원)
ㅇ 국민 관광 인식 개선 및 친절문화 확산
- 호텔음식점 종사원, 관광지 지역주민의 친절질서청결 문화 확산
17) 소외계층의 관광기회 적극 확대
ㅇ 고령자, 장애인, 저소득층, 외국인 근로자 대상 복지관광 프로그램 확충(연간 5천만원?10억원)
ㅇ 관광지, 역사유적지 입장 요금 할인제도 도입('05∼ )
- 소년소녀가장, 기초생활수급대상자 등으로 확대
ㅇ 고령층 관광 모델지구 조성 및 자원 봉사자 프로그램 운영
ㅇ 기업의 근로자 휴양시설 건설시 인센티브 부여(세제, 자금 지원 등)
ㅇ 박물관, 전시관, 미술관 등 문화관광시설 종합 이용 촉진 유도
- 국공립 시설의 연간회원권 또는 종합이용권 지원 검토
18) 남북 연계 관광 활성화
ㅇ 북한 내 관광지역 확대 추진
- 개성공단 착공('03.6)을 계기로 개성, 평양, 묘향산 등 관광지역 확대
ㅇ 설악금강 연계 국제관광지구 기반 조성
- 민족통합평화환경을 주제로 통일전망대 인근에 남북관광교류타운 조성('04∼'07, 500억)
ㅇ DMZ 생태 관광상품화 추진
- 지구상 유일의 "생태 보고"를 세계적 관광지로 남북 공동 개발
ㅇ 남북공동 관광교류협력 추진위원회 구성운영 검토
- 남북관광교류협력, 공동관광자원 개발 및 투자 등의 활성화 추진
- 북한 국가관광총국과 세계관광기구(WTO) 등이 참여한 남북관광회의 정례화 추진
2. 2003년 주요정책
ㅇ대구하계 유니버시아드대회의 성공 개최
ㅇ2010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ㅇ용산 국립중앙박물관 부지내 미군 헬기장 이전
ㅇ문예진흥기금 대폭 확충 실현 문제
ㅇ월드컵 잉여금의 활용 및 배분
ㅇ방송 통신 융합에 대비한 방송영상산업 지원정책 강화
ㅇ『참여정부』문화행정의 혁신
ㅇ창조적 예술진흥을 통한 문화국가 건설
ㅇ문화산업을 국가경제의신(新)성장 동력으로 육성
ㅇ아시아 관광허브 건설을 위한 기반 구축
ㅇ생활체육의 선진화로 국민복지 실현
ㅇ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청소년 육성
3. 2004년 주요정책
ㅇ창의성 제고에 중점을 두는 문화예술정책
ㅇ지역문화를 살리는 원년
ㅇ문화산업의 국가경쟁력제고
ㅇ관광산업의 선진화 기반 강화
ㅇ주5일 근무제 대비 생산적 여가문화 활성화
ㅇ인간과 문화가 살아있는 생활공간환경 조성
ㅇ생활체육과 엘리트체육의 연계발전 추진
ㅇ청소년을 새로운 문화생산의 주체로 육성
ㅇ문화홍보 강화와 국제교류 활성화
ㅇ건강한 소통문화와 국민 참여 분위기 확산
ㅇ문화의 손길로 소외계층 지원
ㅇ창조 서비스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4. 2005년 주요정책
ㅇ국가발전을 이끄는 문화
ㅇ문화 관광으로 지역균형발전
ㅇ광복 60주년 계기 문화로 국민통합
ㅇ모두가 함께 누리는 문화
ㅇ아시아의 중심에서 세계로 뻗어가는 문화
ㅇ역점추진 혁신과제
5. 2006년 주요정책
ㅇ국민의 문화향유 확대
ㅇ기초예술의 진흥
ㅇ우리 문화의 세계화
ㅇ문화산업 핵심역량 강화
ㅇ한국관광의 도약
ㅇ레저스포츠 활성화
ㅇ 광주 『아시아 문화중심도시』조성('03∼'23)
- 아시아 문화전당 건립('03∼'10, 5,000억원) 등 아시아 문화예술 중심도시로 육성
ㅇ 제주 국제자유도시 관광개발('02∼'11, 12조7,000억원)
- 서귀포 관광미항 개발 등 7대 선도프로젝트 추진
ㅇ 부산 『동남권 해양관광 중심도시』육성
- 골프장, 워터파크 조성 등 동부산 그린시티 개발('00∼'09, 8,812억원)
- 부산국제영화제 등 활용 국제회의도시로 육성
ㅇ 경주 『신라고도역사문화 관광거점』육성
- 경주 야간관광 활성화 및 국악ㆍ공연시설 확충 등 체류형 관광지로 조성
ㅇ 안동 『전통유교문화 관광거점』육성
- 유교문화권 관광개발 중심 휴양 거점으로 육성
ㅇ 설악권 관광개발
- 설악동 집단시설지구 리모델링 계획수립('04, 6억원), 재개발 추진
16) 국민관광 활성화
ㅇ 관광펜션등 자연체험형 중저가 숙박시설의 확충
- 5都 2村 가족숙박형 관광펜션을 관광사업으로 지정, 건설개보수 자금 융자 지원
- 펜션 실태조사 및 난개발 대응책 수립('04)
ㅇ 다양한 관광 자원 및 프로그램 개발
- 공룡화석지고인돌갯벌등 생태녹색관광자원 개발(연간 20개, 국고 400억원)
- 소설, 역사, 드라마, 영화 등 배경, 장소를 관광상품화한 프로그램 개발(연간 10개, 기금 10억원)
- "체험, 가족여행단"등 가족단위 체험형 관광상품 확대
ㅇ 국내 우수 관광프로그램 포상지원
- 유치관광객수, 위생안전, 자연 친화정도 등을 고려, 프로그램 선정(연간 10개, 10억원)
ㅇ 국민 관광 인식 개선 및 친절문화 확산
- 호텔음식점 종사원, 관광지 지역주민의 친절질서청결 문화 확산
17) 소외계층의 관광기회 적극 확대
ㅇ 고령자, 장애인, 저소득층, 외국인 근로자 대상 복지관광 프로그램 확충(연간 5천만원?10억원)
ㅇ 관광지, 역사유적지 입장 요금 할인제도 도입('05∼ )
- 소년소녀가장, 기초생활수급대상자 등으로 확대
ㅇ 고령층 관광 모델지구 조성 및 자원 봉사자 프로그램 운영
ㅇ 기업의 근로자 휴양시설 건설시 인센티브 부여(세제, 자금 지원 등)
ㅇ 박물관, 전시관, 미술관 등 문화관광시설 종합 이용 촉진 유도
- 국공립 시설의 연간회원권 또는 종합이용권 지원 검토
18) 남북 연계 관광 활성화
ㅇ 북한 내 관광지역 확대 추진
- 개성공단 착공('03.6)을 계기로 개성, 평양, 묘향산 등 관광지역 확대
ㅇ 설악금강 연계 국제관광지구 기반 조성
- 민족통합평화환경을 주제로 통일전망대 인근에 남북관광교류타운 조성('04∼'07, 500억)
ㅇ DMZ 생태 관광상품화 추진
- 지구상 유일의 "생태 보고"를 세계적 관광지로 남북 공동 개발
ㅇ 남북공동 관광교류협력 추진위원회 구성운영 검토
- 남북관광교류협력, 공동관광자원 개발 및 투자 등의 활성화 추진
- 북한 국가관광총국과 세계관광기구(WTO) 등이 참여한 남북관광회의 정례화 추진
2. 2003년 주요정책
ㅇ대구하계 유니버시아드대회의 성공 개최
ㅇ2010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ㅇ용산 국립중앙박물관 부지내 미군 헬기장 이전
ㅇ문예진흥기금 대폭 확충 실현 문제
ㅇ월드컵 잉여금의 활용 및 배분
ㅇ방송 통신 융합에 대비한 방송영상산업 지원정책 강화
ㅇ『참여정부』문화행정의 혁신
ㅇ창조적 예술진흥을 통한 문화국가 건설
ㅇ문화산업을 국가경제의신(新)성장 동력으로 육성
ㅇ아시아 관광허브 건설을 위한 기반 구축
ㅇ생활체육의 선진화로 국민복지 실현
ㅇ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청소년 육성
3. 2004년 주요정책
ㅇ창의성 제고에 중점을 두는 문화예술정책
ㅇ지역문화를 살리는 원년
ㅇ문화산업의 국가경쟁력제고
ㅇ관광산업의 선진화 기반 강화
ㅇ주5일 근무제 대비 생산적 여가문화 활성화
ㅇ인간과 문화가 살아있는 생활공간환경 조성
ㅇ생활체육과 엘리트체육의 연계발전 추진
ㅇ청소년을 새로운 문화생산의 주체로 육성
ㅇ문화홍보 강화와 국제교류 활성화
ㅇ건강한 소통문화와 국민 참여 분위기 확산
ㅇ문화의 손길로 소외계층 지원
ㅇ창조 서비스산업 육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
4. 2005년 주요정책
ㅇ국가발전을 이끄는 문화
ㅇ문화 관광으로 지역균형발전
ㅇ광복 60주년 계기 문화로 국민통합
ㅇ모두가 함께 누리는 문화
ㅇ아시아의 중심에서 세계로 뻗어가는 문화
ㅇ역점추진 혁신과제
5. 2006년 주요정책
ㅇ국민의 문화향유 확대
ㅇ기초예술의 진흥
ㅇ우리 문화의 세계화
ㅇ문화산업 핵심역량 강화
ㅇ한국관광의 도약
ㅇ레저스포츠 활성화
추천자료
국민정부와 참여정부의 관료제적 비교
참여정부의 분권과 자율에 의한 국가관리 비판
참여정부의 반부패대책
영국 행정과 관료제연구 우리나라 참여정부와 비교연구
참여정부에 대하여
일본과 미국의 복지관광정책
참여정부(노무현 대통령)와 실용정부(이명박 대통령)의 분석
주 5일 근무제 도입에 따른 관광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지방자치단체의 관광진흥정책 - 강원도
다시보는 노무현, 그리고 참여정부
노무현정부(참여정부)의 민주화, 국정운영시스템, 노무현정부(참여정부)의 국정원리, 정치적 ...
한국정부(대한민국정부)의 의미, 한국정부(대한민국정부)의 역사, 한국정부(대한민국정부) 역...
행정개혁 (문민정부, DJ정부, 참여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