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 미술의 평면 표현의 발달 과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로웬펠드의 발달 단계
(1) 난화기 - 자아표현의 시작(2∼4세)
(2) 전도식기 - 재현의 첫 시도 (4∼7세)
(3) 도식기 - 형태개념의 습득

2. 시릴 버트의 발달 단계
(1) 낙서기
(2) 선화기(4세)
(3) 서술적 상징기(5∼6세)
(4) 서술적 사실기(7∼8세)

3. 켈로그의 연구
(1) 난화(1∼2세)
(2) 도형의 출현(2∼3세)

본문내용

은 면에서 사방으로 선을 방사하듯 그려 넣는 형태로 그리스 십자의 콤바인이나 만다라도 같은 방사형이다. 이러한 표현들은 보이는 대상을 표현해 가려는 것이 아니라 손이나 팔에서 느껴지는 리듬감의 자연스러운 표현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어린이가 인물을 표현함에 있어서 팔과 다리를 어디에 어떻게 그리게 되는냐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⑥ 사람그림
어린이 미술에서 사람은 가장 즐겨 다루는 소재이다. 사람에 대한 최초의 그림은 타원형 도형들의 에그리게이트가 된다. 이어서 머리가 크고 팔이 없이 다리만 그려 넣는 인물을 그리 다리가 없는 인물 표현은 비교적 드물다.
만다라 모양의 인간형은 머리·팔·다리가 십자모양으로 균형있게 정렬된 형으로 전체적으로 원 또는 타원형에 부합된다. 방사형 사람은 태양을 시사하는 축 늘어진 팔을 갖고 있다. 인간형의 남녀 구별은 관습적으로 머리카락의 길이에 의해 구별된다.
막대 인간형은 5∼6세에 성인들로부터 배워진 작품들을 묘사함으로써 그린게 되는 것이라 생각된다.
(4) 초기 회화(4∼5세)
어린이 미술의 초기 그림은 그려지는 주제에 의하여 동물·건물·식물 및 탈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어린이가 처음 그려내는 동물은 동물과 사람의 특성을 모두 가진 혼합의 개념을 보인다. 건물 그림은 집을 관찰한 결과로서가 아니라 도형을 여러 가지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그려진다. 어린이들에 의해 그려진 통상적 식물그림은 나무와 꽃이다. 이 때 꽃과 나무는 원래의 크기 비례에 맞추어 그려지지 않는다. 어린이들은 배나 그 밖의 탈 것을 그릴 때 그들이 보았던지 못 보았던지 간에 공통된 방식으로 그린다.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10.11
  • 저작시기200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66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