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관계된다.
5.2. 학습목표 진술의 행위동사
5.3. 학습목표 진술의 기본 요건
반드시 네 가지의 요건이 있는 데 ABCD라 한다. A(Audience: 청중)는 학습자를, B(Behavior: 행동)는 수업을 통해 변화 또는 획득되기를 바라는 학습자의 행동을, C(Condition: 조건)는 학습자의 행동이 일어나는 상황을, D(Degree: 정도)는 학습의 결과로 변화된 행동의 양적 또는 질적 수준을 판단하는 준거나 표준을 의미한다.
여기에 학습자료나 학습 내용(content of learning)이 포함되어야 한다.
5.4. 학습목표의 진술 양식
Tyler의 진술형식
학습자(수강자)는 유머의 웃김수단의 명칭을 열거할 수 있다
② ① ③
Tyler에 의하면 학습목표에는 반드시 ① 수업내용 또는 자료와 함께 ② 학습자의 ③ 도달점 행동이 명세적으로 진술되어야 한다.
Gronlund 진술형식
이조시대의 주요한 역사적 사실을 알기 (일반적 목표)
① 역사적 사건과 관련인물을 확인하기 (명세적 목표)
② 특정 역사적 사건의 특징을 기술하기 (명세적 목표)
③ 중요 역사적 사건을 시대순으로 열거하기 (명세적 목표)
④ 역사적 사건과 그 원인을 관련짓기 (명세적 목표)
Gronlund는 학습목표를 진술할 때 일반적 학습목표와 명세적 학습목표로 나눈 다음, 일반적 학습목표 밑에 그것에 속하는 명세적 학습목표를 열거하고 있다. 먼저 일반적 학습목표를 설정한 다음, 다시 그것을 기초로 하여 명세적 학습목표를 기술해야 한다. 원칙상 일반적 학습목표와 명세적 교수목표에는 ① 학습내용과 함께 ② 학습자를 주어로 하여 ③ 학습결과로 변화 또는 획득되기를 바라는 행동이 빠짐없이 진술되어야 한다.
5.5. 학습목표의 진술 절차
목표진술의 하나는 과정 종료 후 성인 학습자가 달성하기를 기대하는 도착점 목표(terminal objectives)이며, 다른 하나는 이 도착점 목표를 달성해 가는데 필요한 수단적인 중간목표로써 도착점 목표의 하위목표라고 할 수 있는 수행목표(enabling objectives) 이다.
그리고 목표를 진술할 때 다음의 사항들을 고려하여야 한다.
첫째, 관찰 가능한 행동동사를 사용하여야 한다.
둘째, 학습자의 입장에서 진술되어야 한다.
셋째, 다른 목표와 조화를 유지하여야 한다.
넷째, 학습과정이나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진술하는 오류를 피하고, 학습이 끝났을 때 기대되는 행동으로 진술되어야 한다.
학습목표를 진술할 때 ① 목표진술 방식의 선정- 가장 적당한 진술방식 결정 ② 학습주체의 명시- 학습자가 반드시 주어가 되도록 한다. ③ 학습내용의 선정 ④ 동작동사의 선정- “00할 수 있다”라도, 정의적 영역의 목표는 ”00하려고 한다“ 또는 ”00하고 있다“로 표현 ⑤ 도달점 행동이 나타나는 조건을 명시 ⑥ 성취 수용 수준의 결정 등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프로그램 목적과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진술한 후 프로그램개발 전문가는 이러한 목적과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을 선정하여야할 것이다.
5.2. 학습목표 진술의 행위동사
5.3. 학습목표 진술의 기본 요건
반드시 네 가지의 요건이 있는 데 ABCD라 한다. A(Audience: 청중)는 학습자를, B(Behavior: 행동)는 수업을 통해 변화 또는 획득되기를 바라는 학습자의 행동을, C(Condition: 조건)는 학습자의 행동이 일어나는 상황을, D(Degree: 정도)는 학습의 결과로 변화된 행동의 양적 또는 질적 수준을 판단하는 준거나 표준을 의미한다.
여기에 학습자료나 학습 내용(content of learning)이 포함되어야 한다.
5.4. 학습목표의 진술 양식
Tyler의 진술형식
학습자(수강자)는 유머의 웃김수단의 명칭을 열거할 수 있다
② ① ③
Tyler에 의하면 학습목표에는 반드시 ① 수업내용 또는 자료와 함께 ② 학습자의 ③ 도달점 행동이 명세적으로 진술되어야 한다.
Gronlund 진술형식
이조시대의 주요한 역사적 사실을 알기 (일반적 목표)
① 역사적 사건과 관련인물을 확인하기 (명세적 목표)
② 특정 역사적 사건의 특징을 기술하기 (명세적 목표)
③ 중요 역사적 사건을 시대순으로 열거하기 (명세적 목표)
④ 역사적 사건과 그 원인을 관련짓기 (명세적 목표)
Gronlund는 학습목표를 진술할 때 일반적 학습목표와 명세적 학습목표로 나눈 다음, 일반적 학습목표 밑에 그것에 속하는 명세적 학습목표를 열거하고 있다. 먼저 일반적 학습목표를 설정한 다음, 다시 그것을 기초로 하여 명세적 학습목표를 기술해야 한다. 원칙상 일반적 학습목표와 명세적 교수목표에는 ① 학습내용과 함께 ② 학습자를 주어로 하여 ③ 학습결과로 변화 또는 획득되기를 바라는 행동이 빠짐없이 진술되어야 한다.
5.5. 학습목표의 진술 절차
목표진술의 하나는 과정 종료 후 성인 학습자가 달성하기를 기대하는 도착점 목표(terminal objectives)이며, 다른 하나는 이 도착점 목표를 달성해 가는데 필요한 수단적인 중간목표로써 도착점 목표의 하위목표라고 할 수 있는 수행목표(enabling objectives) 이다.
그리고 목표를 진술할 때 다음의 사항들을 고려하여야 한다.
첫째, 관찰 가능한 행동동사를 사용하여야 한다.
둘째, 학습자의 입장에서 진술되어야 한다.
셋째, 다른 목표와 조화를 유지하여야 한다.
넷째, 학습과정이나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진술하는 오류를 피하고, 학습이 끝났을 때 기대되는 행동으로 진술되어야 한다.
학습목표를 진술할 때 ① 목표진술 방식의 선정- 가장 적당한 진술방식 결정 ② 학습주체의 명시- 학습자가 반드시 주어가 되도록 한다. ③ 학습내용의 선정 ④ 동작동사의 선정- “00할 수 있다”라도, 정의적 영역의 목표는 ”00하려고 한다“ 또는 ”00하고 있다“로 표현 ⑤ 도달점 행동이 나타나는 조건을 명시 ⑥ 성취 수용 수준의 결정 등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프로그램 목적과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진술한 후 프로그램개발 전문가는 이러한 목적과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을 선정하여야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자기효능감]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정의와 이론,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본질과 모델,...
특별활동의 의의와 성격, 특별활동의 기본원리, 특별활동의 목표설정, 특별활동의 현황, 특별...
인적자원관리 셈코 - 기업소개, 기업문화, 조직구조, 목표설정방법, 성과평가, 보상체계, 종...
스마트폰중독,청소년중독문제,청소년문제,사회문제,스마트폰중독사례,문제 정의 원인분석, 목...
아모레퍼시픽 기업 성공사례분석과 아모레퍼시픽 마케팅전략분석과 아모레퍼시픽 마케팅목표...
커리어 플랜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 직업세계에 대한 탐색, 목표설정 및 진로설계, 진로/직...
뚜레쥬르 마케팅전략 (제빵시장 환경분석, 파리바게트, 파리바게뜨, 뚜레쥬르, 뚜레주르, 파...
개인정보유출 원인분석과 개인정보유출 막기위한 대안제안 및 시사점 (개인정보유출 정의, 원...
건강증진론A)제4차 국민건강증진계획(Health Plan 2020)의 중점과제인 영유아건강의 지표별 ...
광고기획과정,광고규제 분석,광고 기본 전략,광고목표설정,제품수명주기,BCG매트릭스,FCB 그...
사회복지실천과정 중 자료수집 및 사정단계에서 사회복지사가 파악해야 할 내용이 수록된 사...
제4차 국민건강증진계획(Health Plan 2020)의 중점과제인 노인건강의 지표별 목표설정, ...
ct의 (예측 가능한)주요 문제를 사정하고, 개입목표설정, 개입, 종결에 이르는 과정을 정리한다
사회복지실천과정(접수단계, 자료수집단계, 사정단계, 목표설정단계, 개입단계, 평가 및 종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