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연구 배경
1. 연구 목적
2. 연구 가설
3. 연구 방법
II. 측정 결과
1. 가설 검증
III. 연구 결과
1. 연구 가설 평가
2. 설문지 오류로 인한 결과들
3. 향후 BC카드 캠페인이 나아가야 할 방향
1. 연구 목적
2. 연구 가설
3. 연구 방법
II. 측정 결과
1. 가설 검증
III. 연구 결과
1. 연구 가설 평가
2. 설문지 오류로 인한 결과들
3. 향후 BC카드 캠페인이 나아가야 할 방향
본문내용
태에서 질문해야 정확한 값이 나올 수 있는 문항들이어서 문항의 배열에 무척 신경을 썼고, 꼭 질문하고 싶지만 제외시킨 경우도 있었다. 이렇게 많이 신경을 썼음에도 불구하고 앞질문이 뒷질문에 영향을 주는 문항이 몇 개 있어서 값을 객관적이라고 보기 어려운 결과들이 있었다. 처음 김정은의 회상브랜드를 질문에 ‘BC카드’라고 대답한 대상자들은 아무래도 다음 송혜교의 회상브랜드를 묻는 질문에도 BC카드라고 대답하는 경우가 많았고, 소비자들에게 현재집행광고에 대한 혼란을 막기 위해 제시한 ‘아빠 힘내세요’의 경우 다음에 나오는 문항인 ‘카피인지여부’에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3. 향후 BC카드 캠페인이 나아가야 할 방향
1) 모델 송혜교의 지속적인 기용
- 아직 과거 김정은의 이미지가 많이 남아있고, 광고 이후 ‘파리의 연인’이라는 드라마의 히트로 인해 김정은의 이미지가 급상승해 BC카드와의 조화 정도에서 송혜교가 김정은에 비해 조금 뒤쳐지지만 모델 교체 인지정도가 높고, 송혜교 모델의 신뢰도, 호감도는 성공적이므로 앞으로 지속적인 캠페인 모델로 선정해야 한다.
2) 캠페인 메시지인지 부정확
- 김정은 모델 당시의 ‘부자되세요’와 현재의 ‘아빠 힘내세요’같은 사회적으로 이슈화된 메시지들이 주로 부각 되고 소비자들에게 인지되어 왔다. 이는 BC카드 브랜드 컨셉의 주변적 요소들로, 단순 브랜드 호감도는 높힐 수 있으나 올바른 브랜드 컨셉을 올바로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현재 진행 중인 캠페인인 ‘BC카드가 무엇을 도와 드릴까요’, ‘무엇이든지 BC카드가 도와 드리겠습니다’는 소비자들에게 광고주의 의도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있다. 광고 자체가 이슈화 되는 것도 좋지만 자칫 모델이나 주변 메시지들만 알려지는 사례가 될 수 있다.
3) 캠페인 메시지의 명확하고 효과적인 전달
- 기존의 사회적 이슈 메시지들을 버리기 보다는 BC카드가 단점을 장점으로 이슈화 할 수 있는 메시지를 선정하여 Card Care의 브랜드 아이텐티티를 살릴 수 있는 캠페인을 전달해야 하겠다. 주변적 요소들을 더 효과적으로 브랜드 컨셉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중요하다. 얼마나 잘 알려졌나도 중요하지만 얼마나 정확히 알려졌느냐의 문제에 집중해야 하겠다.
4) 지속적인 통일성 있는 광고전략
- 현재 BC카드의 분위기나 컬러 등은 오랜 시간 꾸준히 통일성 있게 진행해온 결과 소비자들에게 잘 전달되어지고 있다. 물론 큰 광고 전략 중에 작은 전술적인 변화를 소비자가 놓치고 있는 경우가 종종 있었으나(이번 광고의 카피나 메시지에 대한 인지도가 낮았던 것처럼.) 큰 틀만큼은 변하지 않고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지속적인 통일성 있는 광고로 BC카드광고의 특성을 소비자가 인지하게 만든 것은 무척 중요하고 큰 재산이며 차후 광고전략에 있어서도 이 큰 틀에서 벗어나는 일이 없어야 하겠다.
4. 참고 문헌
1, Georges Peninou, 『광고기호 읽기』(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8)
2, 김영찬 편저, 『광고비평의 이해』(한울 아카데미, 2004)
3, 신강균, 『성공하는 광고의 숨은 심리』(comon press, 2002)
4, 권정남 외, 『이 광고의 성공전략』(한국방송광고공사, 2002)
5, 강준만 박주하 한은경 편역, 『광고의 사회학』(한울, 1994)
6, 백승국, 『문화기호학과 문화콘텐츠』(다미디어, 2004)
7, 김영순, 『신체언어 커뮤니케이션의 기호학』(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8, 박정순, 『대중매체의 기호학』(나남, 1995)
9, John Storey, 『문화연구와 문화이론』(현실문화연구, 1994)
10, Richard J. Gerrig, Philip G. Zimbardo, 『심리학과 삶』(시그마프레스, 2004)
11, 최창호, 『마음을 움직이는 77가지 키워드』(가서원, 1997)
12, 남기심 고영근, 『표준 국어문법론』(탑출판사, 1993)
13, 안종배 김성봉, 『인터넷광고의 마케팅 크리에이티브』(두남, 2003)
1, 김찬희, 『패스트푸드점 공통점은 ‘붉은색’』(국민일보, 2004. 05. 05)
2, 신윤동욱, 『아빠, 외로워도 슬퍼도 울지마』(한겨레 21, 2004. 10. 26)
3, 김수현, 『아버지 왜 나오셨습니까』(한겨레, 2003. 07. 12)
4, 양정록, 『“색깔로 구매욕구 자극하라”』(서울경제, 2005. 01. 10)
5, 박대한, 『카드사 이젠 色을 판다... 기업이미지 표현』(파이낸셜뉴스, 2004. 12. 03)
3. 향후 BC카드 캠페인이 나아가야 할 방향
1) 모델 송혜교의 지속적인 기용
- 아직 과거 김정은의 이미지가 많이 남아있고, 광고 이후 ‘파리의 연인’이라는 드라마의 히트로 인해 김정은의 이미지가 급상승해 BC카드와의 조화 정도에서 송혜교가 김정은에 비해 조금 뒤쳐지지만 모델 교체 인지정도가 높고, 송혜교 모델의 신뢰도, 호감도는 성공적이므로 앞으로 지속적인 캠페인 모델로 선정해야 한다.
2) 캠페인 메시지인지 부정확
- 김정은 모델 당시의 ‘부자되세요’와 현재의 ‘아빠 힘내세요’같은 사회적으로 이슈화된 메시지들이 주로 부각 되고 소비자들에게 인지되어 왔다. 이는 BC카드 브랜드 컨셉의 주변적 요소들로, 단순 브랜드 호감도는 높힐 수 있으나 올바른 브랜드 컨셉을 올바로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현재 진행 중인 캠페인인 ‘BC카드가 무엇을 도와 드릴까요’, ‘무엇이든지 BC카드가 도와 드리겠습니다’는 소비자들에게 광고주의 의도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있다. 광고 자체가 이슈화 되는 것도 좋지만 자칫 모델이나 주변 메시지들만 알려지는 사례가 될 수 있다.
3) 캠페인 메시지의 명확하고 효과적인 전달
- 기존의 사회적 이슈 메시지들을 버리기 보다는 BC카드가 단점을 장점으로 이슈화 할 수 있는 메시지를 선정하여 Card Care의 브랜드 아이텐티티를 살릴 수 있는 캠페인을 전달해야 하겠다. 주변적 요소들을 더 효과적으로 브랜드 컨셉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중요하다. 얼마나 잘 알려졌나도 중요하지만 얼마나 정확히 알려졌느냐의 문제에 집중해야 하겠다.
4) 지속적인 통일성 있는 광고전략
- 현재 BC카드의 분위기나 컬러 등은 오랜 시간 꾸준히 통일성 있게 진행해온 결과 소비자들에게 잘 전달되어지고 있다. 물론 큰 광고 전략 중에 작은 전술적인 변화를 소비자가 놓치고 있는 경우가 종종 있었으나(이번 광고의 카피나 메시지에 대한 인지도가 낮았던 것처럼.) 큰 틀만큼은 변하지 않고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지속적인 통일성 있는 광고로 BC카드광고의 특성을 소비자가 인지하게 만든 것은 무척 중요하고 큰 재산이며 차후 광고전략에 있어서도 이 큰 틀에서 벗어나는 일이 없어야 하겠다.
4. 참고 문헌
1, Georges Peninou, 『광고기호 읽기』(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8)
2, 김영찬 편저, 『광고비평의 이해』(한울 아카데미, 2004)
3, 신강균, 『성공하는 광고의 숨은 심리』(comon press, 2002)
4, 권정남 외, 『이 광고의 성공전략』(한국방송광고공사, 2002)
5, 강준만 박주하 한은경 편역, 『광고의 사회학』(한울, 1994)
6, 백승국, 『문화기호학과 문화콘텐츠』(다미디어, 2004)
7, 김영순, 『신체언어 커뮤니케이션의 기호학』(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8, 박정순, 『대중매체의 기호학』(나남, 1995)
9, John Storey, 『문화연구와 문화이론』(현실문화연구, 1994)
10, Richard J. Gerrig, Philip G. Zimbardo, 『심리학과 삶』(시그마프레스, 2004)
11, 최창호, 『마음을 움직이는 77가지 키워드』(가서원, 1997)
12, 남기심 고영근, 『표준 국어문법론』(탑출판사, 1993)
13, 안종배 김성봉, 『인터넷광고의 마케팅 크리에이티브』(두남, 2003)
1, 김찬희, 『패스트푸드점 공통점은 ‘붉은색’』(국민일보, 2004. 05. 05)
2, 신윤동욱, 『아빠, 외로워도 슬퍼도 울지마』(한겨레 21, 2004. 10. 26)
3, 김수현, 『아버지 왜 나오셨습니까』(한겨레, 2003. 07. 12)
4, 양정록, 『“색깔로 구매욕구 자극하라”』(서울경제, 2005. 01. 10)
5, 박대한, 『카드사 이젠 色을 판다... 기업이미지 표현』(파이낸셜뉴스, 2004. 12. 03)
추천자료
광고와 마케팅
박카스 대 비타500의 광고 마케팅 비교를 통한 박카스의 광고전략연구
소비자 마케팅과 광고 전략
현대광고론 핵심정리 (제7장 마케팅과 광고계획의 수립: 하향식, 상향식 및 통합적 마케팅커...
[마케팅관리]광고전략-스타브랜드화 마케팅분석
베스킨라빈스의 마케팅 광고 경영전략 분석
[엔터테인먼트마케팅][엔터테인먼트산업]엔터테인먼트마케팅 PPL(제품간접광고), 엔터테인먼...
광고와 마케팅
[아파트][아파트 마케팅][아파트 마케팅 광고 속 미술][아파트 마케팅 전략]아파트의 기원, ...
도미노피자 단점공개 광고 마케팅 성공 사례
[광고학]인터넷 광고는 배너광고, 검색광고, 문맥광고로 나뉩니다. 문맥광고를 포함한 이색광...
레모나 광고 마케팅분석및 레모아 광고기획안 제안
비너스(VENUS) 마케팅 광고전략 분석과 비너스 새로운 광고전략 기획제언 및 비너스 시사점과...
[기업광고][기업광고 모델][기업광고 스포츠마케팅][기업광고 전략]기업광고의 분류, 기업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