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제목
2.실험목적
3.실험도구
4.실험원리
5.실험방법
6.실험결과
7.고찰
- 이론적 고찰
- 주의사항
- 내 생각
2.실험목적
3.실험도구
4.실험원리
5.실험방법
6.실험결과
7.고찰
- 이론적 고찰
- 주의사항
- 내 생각
본문내용
열전달은 보통 복사, 전도, 대류의 3가지로 전달되는데 여기서는 유리를 통한 전도와 내부 기체에 의한 대류가 주가 됩니다. 반만 잠근다면 유리의 열전도가 담근 부분만 되어 결국에는 대류에도 영향을 받게 됩니다.
그리고, 이실험에는 오류가 조금 있다고 생각됩니다.
상기 실험은 표준상태여야 합니다. 대기압이야 1기압이라고 치더라도 온도는 화학표준 25도, 기체표준상태 0도에 맞지 않아서 오차가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플라스크는 되도록 큰것으로 사용해야지 실험 오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실험실서 제일 큰것으로 사용하세요.
시료는 기화성이 좋은 것, 100도에서 완전기화 될것, 단일물질, 분자구조가 간단한 것으로 해야지요.
헥산은 탄소수 6개로 기화성이 아주 좋고 단일물질이며 분자구조가 간단하여 상기 실험의 시료로 이용하기 좋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표준상태를 생각한다면 좀 그렇지요. 그렇다고 표준상태에서 기체인 메탄, 에탄, 프로판, 부탄을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기체상이라 다루기가 힘들고 상기의 실험법에는 적용할 수가 없지요.
상온에서 액체인 것으로 헥산보다 좋은 것이 펜탄인데 시중에서 구할 수가 없지요.
그리고 정말 중요한 것 하나.
헥산 등 화학제품 다룰 때는 마스크 써야 합니다. 보온 마스크 말고 가스마스크를 써야한다. 이거 아주 위험한 물질입니다. 인체에 흡입되면 생리기능 장애, 시력장애, 감각장애 등 무서운 결과를 일으킵니다.
주의사항
① hot plate에 물을 미리 끓여둔다.
② 주사 바늘로 아주 살짝 구멍을 낸다.
③ 구멍으로 기체가 새어 나오는 것을 확인하고, 모두 기화되어 더 이 상 새어 나오지 않을 때(대략 6분 후) 물에서 꺼내 바로 나머지 호일 로 구멍을 막아준다. (다시 무게를 잴 때는 두번째 호일을 뗀다. 삼 각 플라스크와 호일에 묻은 물을 완전히 제거한 후 무게를 재야한 다.)
④ 플라스크를 끓인 후에는 뜨거우니 조심해서 꺼낸다.
내 생각
- 액체시료가 휘발성이 있을지 모르기 때문에, 그리고 온도축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물중탕을 사용하는 실험이군요. 이 때 최대한 속으로 넣어야만 기화된 액체시료가 밖으로 잘 빠져나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액체시료의 성질은 어떤 것이 좋을까요?
끓는점이 373K, 즉 물의 끓는점은 넘지 않아야겠죠. 또한 냄새와 독성이 너무 강하지 않은 것이 좋습니다. 어차피 기화시켜야 하기 때문에 자칫 그 독성을 직접 접하게 될지도 모르거든요.
그리고, 이실험에는 오류가 조금 있다고 생각됩니다.
상기 실험은 표준상태여야 합니다. 대기압이야 1기압이라고 치더라도 온도는 화학표준 25도, 기체표준상태 0도에 맞지 않아서 오차가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플라스크는 되도록 큰것으로 사용해야지 실험 오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실험실서 제일 큰것으로 사용하세요.
시료는 기화성이 좋은 것, 100도에서 완전기화 될것, 단일물질, 분자구조가 간단한 것으로 해야지요.
헥산은 탄소수 6개로 기화성이 아주 좋고 단일물질이며 분자구조가 간단하여 상기 실험의 시료로 이용하기 좋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표준상태를 생각한다면 좀 그렇지요. 그렇다고 표준상태에서 기체인 메탄, 에탄, 프로판, 부탄을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기체상이라 다루기가 힘들고 상기의 실험법에는 적용할 수가 없지요.
상온에서 액체인 것으로 헥산보다 좋은 것이 펜탄인데 시중에서 구할 수가 없지요.
그리고 정말 중요한 것 하나.
헥산 등 화학제품 다룰 때는 마스크 써야 합니다. 보온 마스크 말고 가스마스크를 써야한다. 이거 아주 위험한 물질입니다. 인체에 흡입되면 생리기능 장애, 시력장애, 감각장애 등 무서운 결과를 일으킵니다.
주의사항
① hot plate에 물을 미리 끓여둔다.
② 주사 바늘로 아주 살짝 구멍을 낸다.
③ 구멍으로 기체가 새어 나오는 것을 확인하고, 모두 기화되어 더 이 상 새어 나오지 않을 때(대략 6분 후) 물에서 꺼내 바로 나머지 호일 로 구멍을 막아준다. (다시 무게를 잴 때는 두번째 호일을 뗀다. 삼 각 플라스크와 호일에 묻은 물을 완전히 제거한 후 무게를 재야한 다.)
④ 플라스크를 끓인 후에는 뜨거우니 조심해서 꺼낸다.
내 생각
- 액체시료가 휘발성이 있을지 모르기 때문에, 그리고 온도축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물중탕을 사용하는 실험이군요. 이 때 최대한 속으로 넣어야만 기화된 액체시료가 밖으로 잘 빠져나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액체시료의 성질은 어떤 것이 좋을까요?
끓는점이 373K, 즉 물의 끓는점은 넘지 않아야겠죠. 또한 냄새와 독성이 너무 강하지 않은 것이 좋습니다. 어차피 기화시켜야 하기 때문에 자칫 그 독성을 직접 접하게 될지도 모르거든요.
추천자료
다자유도 시스템의 운동방정식
[화학실험] 기체의 유출 분자량 및 분자지름 측정 실험 (예비+결과레포트)
온실가스(온실기체)에 관한 고찰
용해열과 과냉각 상태
제05장 기체4
[증기압, 증기압 정의, 증기압 측정, 헨리상수, 에탄올실험, 비활성 기체]증기압의 정의, 증...
유체역학실험 - 수소기체를 통한 유동가시화 실험
일반화학 - 용해열과 과냉각 상태[고체가 액체에 녹을 때 발생하는 용해열을 측정하는 실험과...
(아동수과학) 물질의 상태 및 상태변화 개념 이론요약정리 (물질의 상태 변화, 물질의 상태 ...
(아동수과학) 물질의 상태 및 상태변화 개념 (물질의 상태변화, 물질의 생태변화 특징).ppt
(A+ 레포트) 베르누이 방정식(Bernoulli`s equation) 유체의 운동,벤츄리(Venturi effect) 효...
일반화학 10판 솔루션 레이먼드 창 교재정리 및 문제 5-8장 - 기체 & 열화학 & 양자...
성인간호학_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관찰할 항...
[서울대학교 화학실험] 여러가지 기체의 법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