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
2. 운동의 종류
3. 방법
4. 주의할 점
5. 근력
6. ROM 정상범위 및 측정방법
2. 운동의 종류
3. 방법
4. 주의할 점
5. 근력
6. ROM 정상범위 및 측정방법
본문내용
ip
굴곡
flexion
0-90
신체와 평행으로
대퇴골(대전자와 대퇴골외과의 중심)
고관절(대전자)
골반을 조정한다.
신전
extension
0-15
신체와 평행으로
고관절(대전자)
외전
abduction
0-45
좌우 상전장골극을 연결하는 선의 수직선
대퇴중앙선(상전장골극보다슬개골 중심)
싱전장골극
골반을 고정 외전하지 않도록 한다.
내척계측일때는 반대다리를 굴곡거상하고 그 아래를지나서 내전한다.
내전
adduction
0-30
상전장골극
외회전
external
rotation
0-45
무릎90도 굴곡위에서 슬개골보다 더 내린 수직선
하퇴장축
슬개골
슬관절을 90도 굴곡하고 계측한다.
내회전
internal rotation
0-40
하퇴장축
슬개골
고관절
관절명
운동방향
정상가동범위
각도계의 방향
주의
기본측
이동측
측중심
무릎
knee
굴곡
flexion
0-130
대퇴골
(대전자와 대퇴골외과의 중심)
하퇴골
(비골과)
슬관절
원칙적으로 복와외에서 행한다. 고관절의 굴곡 구축 등이 있어 복와위를 계속할 수 없을 경우 앙와위로 계측할 수 있다.
신전
extension
0
하퇴골
(비골과)
하퇴
lower leg
외회전
external rotation
0-20
무릎90도 굴곡위에서 장축이 자연스럽게 향하는 위치
이동한 다리 장축
발뒤꿈치부
걸터앉는 좌위, 무릎을 90도 굴곡위에서 계측된다.
내회전
internal rotation
0-10
이동한 다리 장축
발뒤꿈치부
슬관절
관절명
운동방향
정상가동범위
각도계의 방향
주의
기본측
이동측
축중심
발목
ankle
배굴
dorsi-flexion
0-20
하퇴골측으로의 수직선(족저부)
제5중족골
발바닥
걸터앉는 좌위, 앙와위도 가능하며 무릎을 굴곡하여 긴장을 없애고 계측한다.
저굴
plantar-flexion
0-45
제5중족골
발바닥
족부
foot
외번
eversion
0-20
하퇴골측으로의 수직선(족저부)
발바닥면
발바닥
걸터앉는 좌위, 앙와위도 가능하며 무릎을 굴곡하여 긴장을 없애고 계측한다.
내번
inversion
0-30
발바닥면
발바닥
외전
abduction
0-20
제1,2중족골 사이의 다리축
제1,2중족골 사이의 다리축
전족부관절
무릎을 신전시킨 상태에서 발외연 또는 내연에서 계측할 수 있다.
내전
adduction
0-10
전족부관절
엄지발가락
great toe
굴곡(MP)
0-35
제1중족골
제1기절골
MP
신전(MP)
0-60
굴곡(IP)
0-60
제1기절골
제1말절골
IP
신전(IP)
0
발가락
toes
굴곡(MP)
0-35
제2-5중족골
제2-5중족골
MP
신전(MP)
0-40
굴곡(PIP)
0-35
제2-5기절골
제2-5중절골
PIP
신전(PIP)
0
굴곡(DIP)
0-50
제2-5중절골
제2-5말절골
DIP
신전(DIP)
0
거퇴관절(ankle) 및 족부(foor)
<<참고문헌>>
이대목동병원 간호부 121병동,122병동(2002), 정형외과병동 매뉴얼 Ⅱ
변영순 외(2004). 기본간호학 제2판. 계축문화사
최명애 외(2003). 인체구조와 기능Ⅰ. 계축문화사
굴곡
flexion
0-90
신체와 평행으로
대퇴골(대전자와 대퇴골외과의 중심)
고관절(대전자)
골반을 조정한다.
신전
extension
0-15
신체와 평행으로
고관절(대전자)
외전
abduction
0-45
좌우 상전장골극을 연결하는 선의 수직선
대퇴중앙선(상전장골극보다슬개골 중심)
싱전장골극
골반을 고정 외전하지 않도록 한다.
내척계측일때는 반대다리를 굴곡거상하고 그 아래를지나서 내전한다.
내전
adduction
0-30
상전장골극
외회전
external
rotation
0-45
무릎90도 굴곡위에서 슬개골보다 더 내린 수직선
하퇴장축
슬개골
슬관절을 90도 굴곡하고 계측한다.
내회전
internal rotation
0-40
하퇴장축
슬개골
고관절
관절명
운동방향
정상가동범위
각도계의 방향
주의
기본측
이동측
측중심
무릎
knee
굴곡
flexion
0-130
대퇴골
(대전자와 대퇴골외과의 중심)
하퇴골
(비골과)
슬관절
원칙적으로 복와외에서 행한다. 고관절의 굴곡 구축 등이 있어 복와위를 계속할 수 없을 경우 앙와위로 계측할 수 있다.
신전
extension
0
하퇴골
(비골과)
하퇴
lower leg
외회전
external rotation
0-20
무릎90도 굴곡위에서 장축이 자연스럽게 향하는 위치
이동한 다리 장축
발뒤꿈치부
걸터앉는 좌위, 무릎을 90도 굴곡위에서 계측된다.
내회전
internal rotation
0-10
이동한 다리 장축
발뒤꿈치부
슬관절
관절명
운동방향
정상가동범위
각도계의 방향
주의
기본측
이동측
축중심
발목
ankle
배굴
dorsi-flexion
0-20
하퇴골측으로의 수직선(족저부)
제5중족골
발바닥
걸터앉는 좌위, 앙와위도 가능하며 무릎을 굴곡하여 긴장을 없애고 계측한다.
저굴
plantar-flexion
0-45
제5중족골
발바닥
족부
foot
외번
eversion
0-20
하퇴골측으로의 수직선(족저부)
발바닥면
발바닥
걸터앉는 좌위, 앙와위도 가능하며 무릎을 굴곡하여 긴장을 없애고 계측한다.
내번
inversion
0-30
발바닥면
발바닥
외전
abduction
0-20
제1,2중족골 사이의 다리축
제1,2중족골 사이의 다리축
전족부관절
무릎을 신전시킨 상태에서 발외연 또는 내연에서 계측할 수 있다.
내전
adduction
0-10
전족부관절
엄지발가락
great toe
굴곡(MP)
0-35
제1중족골
제1기절골
MP
신전(MP)
0-60
굴곡(IP)
0-60
제1기절골
제1말절골
IP
신전(IP)
0
발가락
toes
굴곡(MP)
0-35
제2-5중족골
제2-5중족골
MP
신전(MP)
0-40
굴곡(PIP)
0-35
제2-5기절골
제2-5중절골
PIP
신전(PIP)
0
굴곡(DIP)
0-50
제2-5중절골
제2-5말절골
DIP
신전(DIP)
0
거퇴관절(ankle) 및 족부(foor)
<<참고문헌>>
이대목동병원 간호부 121병동,122병동(2002), 정형외과병동 매뉴얼 Ⅱ
변영순 외(2004). 기본간호학 제2판. 계축문화사
최명애 외(2003). 인체구조와 기능Ⅰ. 계축문화사
추천자료
사회복지조사의 측정 및 자료 수집방법
설계실습 7. RC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 설계 - 결과레포트
설계실습 7. RC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 설계 - 예비레포트
[작업기억용량][용량처리능력][버스사용량][용량측정기구][용량]작업기억용량과 부화, 용량처...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는 평가방법에 대해 설명
분석. 실험2. 식품의 일반 성분 분석 - 수분과 총 고형분의 측정, 회분 함량의 측정, 속스렛 ...
측정 및 자료수집방법
대기, 보일러용수, 폐수 측정 방법 및 분석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실험보고서 - RC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설계
[국제무역론] 경제구조의 보완성 측정 방법
[일반물리학 실험] 구심력 실험 : 2차원 운동의 특별한 경우인 원운동에 대해 이해하고, 일정...
경쟁력관리론 (국가경쟁력의 의의, 경쟁력의 이론모형과 측정 방법, 우리나라의 국가 경쟁력,...
영아기 지각 발달에 대하여 인지란 무엇이고 지각의 측정 방법과 지각의 특성에 대하여 자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