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곳에 와 있고 오늘날의 인터네트워킹 문제에 해답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교과서 안에는 여전히 OSI모델이 더 우수하고 풍부한 서비스 기능을 갖고 있으나 대개의 경우 그러한 기능은 필요치 않은 경우가 많고, 더구나 TCP/IP도 계속적인 기능강화가 이루어지고 있어 OSI 목표치에 접근해 가고 있다. 그러면 OSI는쓸모 없는 물건에 불과한가 ? 아니다. OSI의 개념은 여전히 이상적이며, GOSIP에 의해 미국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고 모든 네트워크 학습자들에게 계층구조 개념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있을 뿐 아니라 앞에 예를 든 대로 MHS, 디렉토리, CMIP등이 각 분야에서 큰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좀 더 긴 시간에서 본다면 TCP/IP 베이스의 제품이 보다 빠른 속도로 성장하게 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TCP와 UDP
전기통신기술사 54회 문제
언어학에 관하여
정보시스템의 전략적 역할
인지발달 - 정보처리 접근
스포츠 스타의 광고효과 (설문지 별첨)
홈네트워크의 유선기술과 무선기술에관하여
GPL을 중심으로 한 자유 소프트웨어 운동 (Free Software Movement)
[네트웍] 네트웍 TCP, UDP, IP
[라우터][브릿지][게이트웨이]라우터(라우터의 개념과 라우터특징)와 브릿지(브릿지의 개념과...
TCP 정리와 OPNET 논문 분석및 실습
데이터베이스 설계
데이터베이스_1
[LAN][랜]LAN(랜, 근거리통신망)의 개요, 분류, LAN(랜, 근거리통신망)의 역사, LAN(랜, 근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