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에 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인지언어학의 기본 핵심 이론

2.정신공간(mental space)의 개념

3.정신공간의 형상과 연결

본문내용


음식물 고르기
먹기
삼키기
소화하기
음식물을 고르는 것은 책을 고르는 것.
음식물은 씹기도 하고 삼키기도 한다.
음식물을 씹는 것은 문맥을 이해하는 것.
음식물을 삼키는 것은 먹는 과정의 끝.
먹는 과정의 끝은 책읽기를 끝내는 것.
소화되는 과정에서 영양분은 체내에 흡수됨.
흡수되는 과정은 책의 전체 내용을 이해하는 것.
책고르기
읽기
읽기를 끝냄
전체 내용 이해하기
「그림 5」
3.3. 합성어의 의미 해석
「그림 6」 'land yacht'의 혼합공간과 '집사람'의 혼합공간
4. 정신공간에서의 시제의 인식
4.1. 현재 시제의 인식
시제 요소들이 정신공간을 통해 어떻게 형상화되며, 그 공간에서 어떻게 이동하면서 인식되는지 다음의 짧은 담화를 통해 생각해 보자.
(5) 철수는 23살이다. 그는 지금 외국에 살고 있다. 1998년에 그는 로마에 살았다.
1999년에 베니스로 이사했다. 그래서 철수가 로마에 산 지는 1년밖에 안 된다.
<철수는 23살이다.> <철수는 외국에 살고 있다.>
-->
「그림 7」 「그림 8」
이러한 특징으로 일반적으로 현재시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시간적 양상을 표시할 수 있다.
(6) 가. 나는 지금 머리가 어지럽다.(단기 시간)
나. 나는 지금 공부를 한다.(장기 시간)
다. 우리 민족은 옛날부터 흰색을 좋아한다.(과거 및 미래에 걸친 상황)
라. 해는 언제나 동쪽에서 뜬다.(만고불변의 진리)
4.2. 과거시제의 인식
<1998년에 로마에 살았다.> <1999년 베니스로 이사했다.>
「그림 9」 「그림 10」
<철수는 로마에 1년 살았다.>
「그림 11」
4.3. 미래시제의 인식
미래의 인식은 현재나 과거를 나타내 주는 표지로 가능하다. 미래 시간은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러한 인식이 언어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를 밝혀야 한다.
(5) 가. 내일 우리는 소풍 간다. 나. 조금 있다가 너는 (이제) 죽었다.
다. 오늘 저녁 너 (이제) 혼났다. 라. 내일 우리 소풍은 (이제) 다 갔다.
마. 앞으로 너 (이제) 그 여자 다 만났다.
⊙ 관점의 변화
<우리는 내일 소풍 간다.>
「그림 12」
⊙ 반사실의 공간
<우리는 내일 소풍 다 갔다.>
「그림 13」
⊙ 정신공간을 통한 시제분석의 장점
① 시간의 인식이 현재시제를 토대로 공간형상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② 시간 인식에 대한 공간의 동적인 형상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③ 시제와 함께 나타나는 화자의 인식적 전환을 동시에 설명해 줄 수 있으므로 시제와 상의 구별이 비 교적 정확해 진다.
④ 시제의 문법 범주를 '전제'나 '가정'과 같은 다른 문법 장치와 함께 설명할 수 있다.
⑤ 언어가 공간 궤도를 위해 사용된다고 하는 정교한 원칙을 설명할 수 있다.
5. 맺음말
⊙ 언어의 궁극적인 의미는 정신공간의 상호연결관계를 언어로 투사한 것이다. 그리고 언어를 사 용할 때의 정신작용은 유추나 추론과 같은 인지적 조작 방법과 동일하다. 그러한 인지적 방법과 원리는 언제나 일방향적이거나 일회적인 것이 아니라 동적인 융통성을 지닌다.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07.26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93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