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의 산하기구와 전문기구, 각 기구의 하는일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UN 의 전문기구 의의

UN 전문기구 종류

UN 의 산하기구

UN 산하기구의 종류

본문내용

일정 지역을 대상으로 공동사업도 행한다.
U.N.E.P 국제연합환경계획 [國際聯合環境計畵,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
1972년 UNCHE(United Nations Conference on Human Envioronment:국제연합인간환경회의)의 '인간환경선언' 결의에 따라, 제27차 국제연합총회에서 환경문제에 대한 국제협력 추진기구로서 설립되었다. 환경분야에 있어서 국제적 협력촉진, 국제적 지식증진, 지구환경상태의 점검을 목적으로 한다. 프로그램은 환경보전·생태계·환경과 개발·자연재해·에너지·지구관찰·환경관리 등의 분야를 포함하고 있으며 주로 환경감시, 환경평가, 환경과 관련한 기술적·과학적 업무에 치중한다.
인구증가, 도시화, 환경과 자원에 관한 영향분석 및 환경생태에 대한 연례보고서를 작성하고, 국제적으로 중요한 환경문제에 대한 각국 정부의 주의를 환기시키며, 5년마다 지구 전체의 환경추세에 대한 종합보고서를 발간한다. 1987년 9월에는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에 대한 '몬트리올 의정서'를 채택하고 오존층 보호를 위한 국제협력을 촉구했다. 또한 지구환경감시시스템(Global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을 설치하고 세계자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으며, 국제환경정보조회시스템을 운영하여 수질·대기·화학물질 등 환경 및 자원에 관한 정보를 필요한 단체 또는 개인에게 서비스한다. 그 외에 국제유해화학물등록제도를 운영하여 유해화학물질의 국제적 사용 및 교역에 관한 정보를 수집·분석한다.
U.N.D.C 국제연합군축위원회 [國際聯合軍縮委員會, Untied Nations Disarmament Commission]
핵확산금지를 포함한 군비축소에 관한 다자간협상기구로서 1978년에 국제연합총회 산하에 설치되었다. 국제연합총회는 핵무기의 생산, 발사제도의 개량 등의 중단을 촉구하고 국제연합의 모든 회원국이 참여하는 군축위원회 설치에 합의했다. 총회가 다룰 수 있는 한도 내의 문제만을 다루도록 위임받은 심의기구로 발족했으며, 국제연합총회에서 승인한 많은 안건에 대해 원칙과 가이드라인·권고 등을 공식화하는 작업을 해왔다.
U.N.U 국제연합대학 [國際聯合大學, United Nations University]
세계적인 중요문제에 대한 공통적인 이해의 촉진과 국제적 협력체제의 조직화를 목적으로 1973년 국제연합총회가 설립한 연구기관이다. 주요 기능은 국제연합과 국제적 학문공동체 사이의 교량역할, 국제연합 조직을 위한 두뇌집단 양성, 개발도상국의 지도자의 역할 등이다. 연구 주제는 ① 평화:국제관계, 국제연합조직, 안전, 무장충돌 ② 관리:인권, 윤리, 민주주의, 시민사회, 지도력 ③ 발전:세계화와 발전, 성장과 고용 ④ 과학 및 공업:사회개혁, 정보와 바이오테크놀러지, 소프트웨어 공학, 식량과 영양 ⑤ 환경:자원관리, 지속적인 산업화, 도시, 물, 기후 등의 5개 분야이다.
I.T.L.O.S 국제해양법재판소 [國際海洋法裁判所, International Tribunal for the Law of the Sea]
해양법에 관한 국제연합협약을 기초로 하여 1995년 8월 설립되었다. 재판소는 독일의 함부르크에 있다. 재판소장의 책임하에 운영되는 기구이기 때문에 독립적인 성격이 강하다. 분쟁당사국들이 서로 합의한 상태에서 제소를 하여 재판이 이루어는 경우도 있고, 한 국가가 일방적으로 제소했을 때 제소당한 국가가 응하여 이루어지기도 한다.
U.N.C.T.D 유엔무역개발회의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
국제연합(UN)의 여러 직속기구 가운데 하나로, 선진국과 후진국 사이의 무역 불균형을 시정하고 남북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960년대에 들어서 UN의 저개발국가들은 당시 세계무역을 지배하고 있던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 즉 GATT체제가 경제선진국들의 이해에만 초점이 맞춰 있다고 주장하였다. 1962년 7월에는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의 국가대표가 모여 새로운 무역기구의 설립을 요구하는 카이로선언을 발표. 이의 결과로 1964년 3월부터 6월까지 제네바에서 UN 주최하에 사상 최대의 국제경제회의가 개최되었는데 이것이 제1회 유엔무역개발회의이다. 여기에는 121개국이 참가하여 선진국시장에 대한 후진국의 접근문제, 저개발국 수출품에 대한 특혜관세 부여문제, 교역조건의 개선문제 등이 논의되었다.
이 성과를 바탕으로 1964년 12월 UN총회는 UNCTAD를 UN 직속기구로 설치할 것을 결정하였다. 한국은 1964년에 가입했으며, 2004년 현재 회원국은 192개국이다. 본부는 스위스 제네바에 있다.
U.N.F.C.C 유엔기후변화협약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해 온실가스의 인위적 방출을 규제하기 위한 협약. 정식명칭은 '기후변화에 관한 기본협약'으로 흔히 '유엔기후변화협약'이라 불린다.
기후변화협약은 생물다양성협약과 함께 1992년 6월 리우회의(유엔환경개발회의:UNCED)에서 채택되었고, 94년 3월 21일 발효되었다. 2001년 현재 가입국은 186개국이며 우리나라는 93년 12월에 47번째로 이 협약에 가입, 94년 3월부터 적용받기 시작했다.
기후변화협약은 각국의 온실가스 배출, 흡수 현황에 대한 국가통계 및 정책이행에 관한 국가보고서 작성,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국내 정책 수립 및 시행,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권고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U.N.V 국제연합봉사단 [國際聯合奉仕團, United Nations Volunteers]
1968년 국제연합총회의 결의로 1970년 12월 7일 UNDP(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국제연합개발계획) 산하에 발족된, 국제연합 내의 유일한 국제봉사기구이다. 개발도상국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 청년들의 교환을 통한 다양한 문화체험, 국제연합 회원국들의 이해증진 등을 목적으로 하며, 전세계의 UNDP사무소를 통해 일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10.23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83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