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조전승과 예언자 전승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서 론 」

「 왕 조 전 승 」
Ⅰ. 고대근동의 왕권
Ⅱ . 이스라엘의 왕권발생의 요인
Ⅲ. 사울과 다윗으로 요약된 왕직의 두 가지 모형
Ⅳ. 솔로몬(970-931 or 965-926 B.C.E.)
Ⅴ. 왕과 예언자의 관계
Ⅵ. 왕정의 종말
Ⅶ. 왕제도에 대한 평가

「 예 언 자 전 승 」
Ⅰ. 예언자의 정의와 종류
Ⅱ. 예언 이전의 단계
Ⅲ. 예언자 말의 양식과 유형
Ⅳ. 예언자 말씀의 기본구조
Ⅴ. 예언자의 상징적 행동
Ⅵ. 대언자로서의 예언자
Ⅶ. 예언자를 뜻하는 용어들
Ⅷ. 예언자의 사회적 위치
Ⅸ. 예언자와 전승
Ⅹ. 예언자의 사례

「 결 론 」

본문내용

장에게 기름을 부어주는 관례가 있다. 다윗 왕조와 관련해서 미래에 오실 왕을 표현할 때 이 메시아라는 말을 썼다. 여기서 묘사되고 있는 새로운 왕 메시아는 본 강의 서두에서 말씀드렸던 신-왕사상의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9장 11장에서 묘사하고 있는 상태는 인간이 역사 안에서 이룰 수 있는 것의 한계를 벗어나고 있다. 그리고 미가서에 “한 통치자가 유다 베들레헴에서 나올 것인데 그의 근본은 태초에 있다” 미가서 5장 2절
라는 말이 있다. 이것은 곧 한 아기가 태어나게 될 것이지만 그 근본은 태초에 있다라고 하는 일종의 선재설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에 표현되고 있는 메시아는 “무력으로 통치하지 않고 입의 막대기로 세상을 치며 입의 기운으로 악인을 죽인다” 이사야 11장 4절
고 하였다. 이것은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는 평화의 왕을 묘사하고 있다. 메시야는 나귀를 타고 오는 스가랴서 9장
무력한 그리고 가난한 메시아로 묘사되고 있다. 이러한 메시아 왕을 많은 예언자들이 기다렸던 것이다.
이와 같이 기존에 존재하고 통치해 왔던 왕들에 대해서 부정적인 평가를 하면서 새로운 메시아상을 묘사한 것은 곧 하나님께서 직접 오셔서 통치해 주시기를 바라는 사상의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말하자면 예언자들 가운데 야훼가 왕이다. 야훼가 통치하신다고 하는 사상이 되살아나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가 있다. 이런 의미에서 예언자들은 농경문화에 그 뿌리를 두고 있는 왕조전승과는 달리 유목민전승에 그 뿌리를 두고 있으며 신정사상의 전통에 서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문서 이전의 예언자들과 문서 예언자들에 대해서 개괄적으로나마 살펴보았는데, 이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예언자들은 이미 시행되고 있는 왕제도를 현실적인 것으로서 인정하고 있었고, 가능하면 그것이 하나님의 뜻대로 실행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도움을 제공하기도 하였다.
ⅱ. 왕들이 신-왕사상에서 이상으로 하는 정도에 미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예언자들은 왕제도에 대해서 그리고 개별적인 왕들에 대해서 늘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이다.
ⅲ. 현실의 왕제도에 실망한 대부분의 예언자들은 미래에 오게 될 메시아에게 그 희망과 기대를 걸고 있었다. 그런데 그 메시아 사상은 이스라엘의 왕조전승에 대해서 연속성과 함께 불연속성을 가지고 있다. 연속적이라고 함은 이 메시아 사상이 신-왕사상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그러나 동시에 불연속적이라고 보는 것은 이것인 현존하고 있는 왕제도에 대해서 사실상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결 론
이제까지 우리는 이스라엘의 왕조전승을 중심으로 하여, 왕정발생의 요인과 결과, 이스라엘의 왕들과 그들에 대한 성경에서의 평가 등에 대해 살펴 보아왔습니다. 또, 예언자들의 의미와 상징체계에 대해서도 살펴보았습니다. 전체적인 입장에서 종합해보면 구약에는 왕조를 찬성하는 사상과 반대하는 사상이 공존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구약에서 그 어떤 쪽도 제거되지 않고 두 사상이 함께 들어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 이유는 이스라엘에서도 주변의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왕제도를 구원의 한도구로 여긴다는 것에 있습니다. 즉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스라엘을 구원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왕제도를 요청하였던 것이고 하나님께서는 그것을 별로 원하지 않았지만 시행해 보라는 허락을 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이 왕정제도에 있어서 신-왕의 이념에 충분히 도달하지 못하였고 그로 인해서 그 이스라엘의 왕정제도는 비판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이스라엘이 이러한 왕정제도에 대해서 비판할 수 있었던 것은 그들 자신이 주변나라들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백성이다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었습니다. 본질적으로 다름이라 함은 그들이 야훼를 구원의 주(主 )요, 왕으로 고백하고 있었다는 말인 것입니다. 따라서 이것은 어떠한 인간 그리고 왕도 용납될 수 없다는 사상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인간과 왕이 하나님의 아들로서 통치의 권한을 부여받았다고는 하지만, 후에 그 권력이 절대화될 소지가 얼마든지 있었다고 합니다. 가령, 다윗이 처음에는 하나님께 모든 것을 의지하다가 자기 권력이 어느 정도 영향력을 갖추게 되자 자신의 능력을 과시하기 위해서 인구 조사를 시행했던 것처럼, 인간들은 한번 권력을 맛보게 되면 자기 자신을 마치 신처럼 우대되어지길 바라면서 신격화하려는 경향 때문에, 야훼를 유일신으로 받아들이는 사상이 지탱되지 못했었다는 것이 주장되었습니다.
그러나 이 왕조에 대한 사상이 메시아사상의 형성에 도움을 주었기 때문에, 이 왕조 사상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구약에 보존하고 있는 것이다. 이스라엘의 왕조 역사를 전체적으로 볼 때, 이스라엘의 왕조는 본래의 의도와는 달리 실패로 끝다. 그러나 이 왕조전승은 예언자들에 의해서 메시아사상으로 이어졌던 것이다. 이와 같이 오아과 예언자들 간의 긴장관계가 구약성서에는 보이고 있다. 말하자면 인간-왕이 갖고 있는 한계를 구약성서는 보여주고 있으며, 예언자들은 인간-왕이 통치 할 수 없는 차원의 것을 메시아 사상에 담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참 고 문 헌
1. J. 코흐.. 예언자들 1, 13-64
2. 왕대일, 구약성서이해, 129-142
3. J. 블렌킨소프, 이스라엘 예언사, 19-70
4. 민중신학 연구소
5. 영락교회 목사님
6. http://home,nownuri.net/~tigery.church
7. http://notes.cainchon.or.kr/note
8.
왕조전승과 예언자 전승
서 론
왕 조 전 승
Ⅰ. 고대근동의 왕권
Ⅱ . 이스라엘의 왕권발생의 요인
Ⅲ. 사울과 다윗으로 요약된 왕직의 두 가지 모형
Ⅳ. 솔로몬(970-931 or 965-926 B.C.E.)
Ⅴ. 왕과 예언자의 관계
Ⅵ. 왕정의 종말
Ⅶ. 왕제도에 대한 평가
예 언 자 전 승
Ⅰ. 예언자의 정의와 종류
Ⅱ. 예언 이전의 단계
Ⅲ. 예언자 말의 양식과 유형
Ⅳ. 예언자 말씀의 기본구조
Ⅴ. 예언자의 상징적 행동
Ⅵ. 대언자로서의 예언자
Ⅶ. 예언자를 뜻하는 용어들
Ⅷ. 예언자의 사회적 위치
Ⅸ. 예언자와 전승
Ⅹ. 예언자의 사례
결 론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6.10.26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87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