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을 다녀와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복궁을 다녀와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경복궁을 찾아서

2. 조상의 얼과 혼이 담긴 경복궁 (사적 제 117호)
■ 근정전(국보 제 223호)
■ 사정전
■ 강녕전
■ 교태전
■ 자경전 십장생 굴뚝(보물 제 810호)
■ 아미산
■ 경회루(국보 제 224호)
■ 자선당
■ 경복궁 풍기대(보물 제 847호)
■ 명성황후 조난지

3. 경복궁을 나서며

본문내용

등 여러 가지 관측 기술이 발달했다. 그러므로 언제부터 풍기로 풍향과 풍속을 측정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이때 생긴 소산물이라고 나는 혼자 추측하였다. 풍기를 자세히 살펴보았지만 어떻게 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알았을지 원리를 파악하기 힘들었다. 그리고 과연 당시의 기술로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이 되었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 명성황후 조난지
이곳은 조선 고종황제의 황비 명성황후가 일본인의 손에 의해 무참히 시해된 곳이다. 지금은 커다란 비석하나만 자리 잡고 있어 대충 짐작만 할 뿐이었다. 명성황후의 시해는 한나라의 국모로서 한때 조선의 운명을 좌지우지 했던 여성이 한낱 일본 야쿠자에 의하여 살해된 가슴 아픈 역사의 한 장면이다. 예전에 초등학교 때 경복궁에 왔을 때 명성황후 시해 그림을 보며 충격을 받았었던 일이 떠올랐다. 대학생이 된 지금 이 자리에 다시 와 그 그림을 다시 보니 아픈 역사의 한 페이지가 내 머릿속을 지나갔다.
3. 경복궁을 나서며
다행히 미술사 과제 덕택에 초등학교 시절 봄 소풍을 다녀온 이래 처음으로 경복궁을 찾았다. 그때는 김밥만 들고 뛰어다니다가 친구들과 둘러앉아 김밥을 먹는 재미였다. 하지만 오늘 찾은 경복궁은 역사 속에 잠시 기대게 하는데 충분했다. 조상들의 지혜와 혼을 되새겨 민족의 주체성과 정체성에 힘을 보태고 싶다는 생각까지 더했다.
경복궁은 그 자체가 한 폭의 그림이었다. 많은 건축물들이 어지럽게 놓여 있는 것 같지만 굴뚝 하나에도 과학적미적으로 어우러진 종합예술 작품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나의 통찰력을 깨닫게 해 주신 미술사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한 마음을 느낀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10.26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88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