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절의 종류와 인사 예절의 방식과 변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전통예절 - 관혼상제
★관혼상제의 오늘날과 비교
1)관례
cf)현대성년식
2)혼례
3)상례
4)제례

2.일상예절
1)가정예절
① 어른을 모시는 예절
② 부모님에 대한 예절
③ 부부간의 예절
④ 고부(시어머니-며느리)간의 예절
2)이웃예절
3)학교예절
① 선생님에 대한 예절
② 친구간의 예절
③ 이성친구간의 예절
④ 수업시간의 예절
⑤ 학교 공공시설 예절
4)인사 예절의 방식과 변천
① 인사 예절의 방식
② 인사 예절의 변천
(1) 옛날의 인사 예절
(2) 개화기 시대의 인사 예절(1890년대부터)
(3) 일제강점기때
(4) 광복 이후 우리 사회의 인사예절
(5) 오늘날의 인사
cf) 신종어.

< 참 고 자 료 >

본문내용

사용하며, 사용 후 반드시 물을 내린다.
- 학교 내에서 실내화와 실외화를 구분해서 신는다.
- 학교 내에서는 되도록 껌을 씹지 않으며, 버릴 때에는 휴지에 싸서 버린다.
- 교실안은 물론 학교내에서 침을 뱉지 않는다
4)인사 예절의 방식과 변천
①. 인사 예절의 방식
인사는 무엇보다도 인사의 기쁨을 느낄 수 있도록 칭찬을 해주고,생활 속에서 익숙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우리가 아침에 집을 나설 때에는 "어머니, 학교에 다녀오겠습니다."라는 인사를 하고, 등교 길에 친구들과 마주치면 손을 흔들기도 합니다. 또 전학간 친구를 오래간만에 만난다면 손을 마주잡고,"우리, 이렇게 만나니 반갑다."는 등의 인사를 합니다.
이와 같이 인사는 환경, 곧 때와 장소, 시간이나 대상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우리와 환경이나 생활 방식이 다른 외국에는 상대편의 뺨을 가볍게 때리거나 두 귀를 잡아당기는 등 재미있는 여러 가지 인사법도 많이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우리 나라의 인사법에는 선 채로 허리를 굽혀서 하는 보통의 경례, 가볍게 고개를 숙이는 목례, 손을 바닥에 대고 손등 가까이에 이마를 닿게 하여 허리를 굽히는 앉은 절, 손을 잡고 가볍게 흔드는 악수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②. 인사 예절의 변천
개화기 이후, 우리 나라의 전통적인 인사법은 서구문물의 유입과 더불어 새로운 양식으로 변질, 변형되어가기 시작하였습니다.까다로운 격식이나 치레는 많이 생략, 간소화 되어가는 한편,종래에는 없었던 새로운 인사양식이 등장하기도 하였습니다.
(1) 옛날의 인사 예절
- 갓을 벗고 두루마기나 도포를 입지 않고 절하는 것은 무례한 행동으로 간주되어, 절을 할 때에는 반드시 의관정제 하는 것이
바른 인사 예절이었습니다.
- 서당에 다니는 학동(學童=학생)들은 아침에 서당에 가서 개별적으로 선생에게 큰절을 하여 인사를 올리고,저녁에 돌아갈 때에는 개별적으로 서서 인사하는 것으로써 물러가는 인사를 하였습니다.
* 의관정제란 (남자가) 격식을 갖추어 두루마기(또는 도포)를 입고 갓을 쓰거나 사모관대를 차려 입고 옷 매무시를 바르게 하는 것.
(2) 개화기 시대의 인사 예절(1890년대부터)
- 1890년대부터는 우리 나라에는 개화(開化)라는 사회적 변혁이 일어나서 남자는 상투를 자르고 단발을 하고 모자를 쓰는 풍습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 모자를 쓰게 된 후에는 서서 목례를 하거나 반절을 하고, 큰절을 할 때에는 반드시 모자를 벗고 절을 하게 되었고,모자를 벗지 않고 쓴 채로 절을 하는 것은 큰 실례가 되었습니다.
- 외투 등 겉옷을 입거나 걸쳤을 때에도 실내에서 절을 할 경우에는 겉옷을 벗고서 절하는 것이 바른 예절이 되고,겉옷을 걸친 채 절하는 것은 실례가 되는 것으로 되었습니다.
(3) 일제강점기때
- 그러던 것이 학교교육의 실시 이후 선생님이 교실에 들어와 교단에 서면 학급회장의 '차렷. 경례. 바로'라는 호령에 맞추어
모든 학생이 일제히 선생에게 목례를 합니다. 수업이 끝나고 선생님이 나갈 때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서당에서 선생에게 하는 절은 하루 두 번이지만, 학교교육에서는 수업시간마다 인사를 합니다. 이러한 인사방법은 일제강점기에 정착되어 오늘날에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 서구식의 악수하는 인사법이 우리 나라 사람들 사이에서도 널리 행해졌습니다. 처음에는 주로 도시 사람들을 중심으로 유행되었으나 광복 후에는 급격히 전국적으로 퍼져나갔습니다.악수인사는 처음에는 남자들 사이에서만 행하여졌으나 지금은 여자들 사이에서도 이루어지며, 남녀간의 악수,노소간의 악수도 자연스럽게 행하여지고 있습니다.
(4) 광복 이후 우리 사회의 인사예절
- 6,25이후 서양 사회의 인사법이 들어와서 우리 사회에 널리 퍼지게 되었는데, 예를 들어 헤어질 때 한 손을 어깨 위로 들어올려 흔들면서 '바이 바이' 하는 인사말은 성인남녀뿐 아니라 말 못하는 어린아이들까지도 몸에 배게 되었습니다.그러나 이 인사법은 정중한 예는 되지 못하며 매우 친근한 사이일 경우에만 주로 행하여지는 것입니다.
(5) 오늘날의 인사
- 전화인사, 서신인사, 전보인사, 연하장, 인터넷 메일이나 카드로 보내는 인사 등 다양해 졌습니다.선물로 인사를 할 경우에도 그 안에 정성이 담긴 인사말을 함께 전하기도 합니다.
cf) 신종어.
⑴Motiquette이란
모바일세상(Mobil))과 에티켓(etiquette)이 결합된 용어로써 모바일 세상에 사는 사람들이 모바일 네트워크를 포함한 온라인 오프라인 네트워크를 사용하면서 서로간에 지켜야 할 기본예절을 뜻합니다.
즉, 현대사회의 모든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사용하는 기본 에티켓이라 합니다.
모티켓은 규범으로서 존재하기 보다는 모바일 세상에서 누려야 할 자유와 여유" 를 찾는 행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⑵뉴비뉴비(Newbie)
인터넷을 처음 접하여 여러 기능에 익숙하지 않거나 통신 예절을 알지 못하여 다른 사람을 불편하게 하는 사람들을 낮추어 부르는 말.
⑶네티켓
네티켓(netiquette) 통신망(network)과 예의범절(etiquette)의 합성어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사용자(네티즌)들이 네트워크상에서 지키고 갖추어야 하는 예의범절. 핵심은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타인을 비방하거나 중상모략하는 행위는 마땅히 중지되어야 하지만 가끔 물의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개인용 컴퓨터(PC) 특유의 문자(예약어)를 사용하면 컴퓨터상에서 고장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또 의미가 없는 메시지는 쓰지 말아야 하고 동일 문장을 여러 뉴스그룹에 투고(multi post)하지 말아야 하며, 영문에서는 특히 강조하고자 하는 사항이 없으면 대문자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규칙이 있다.
⑷무뇌티즌(無腦+tizen)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익명성을 이용하여 상식 이하의 행동을 하는 네티즌들을 비하하는 말.
< 참 고 자 료 >
한국인의 가정교육, 손인수(1988). 문음사.
현대생활과 예절, 남성희. 학문사. 1998
한국여성교양학회편(1991), 생활예절. 양서원.
어린이 예절백과, 조관일(1994). 바른사.
예절학, 남상민. 박영사. 1999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10.27
  • 저작시기200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89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