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아동의 vital sign 정상 범위
2. 예방접종
3.meningitis
4.요추천자 후 간호
5. 요로감염 UTI
6. PPD(purified protein derivative) skin test
7.Photo Therapy
8.소아성 당뇨
9.역류검사
10.wilms tumor
11.Infusion pump
12.Nebulizer
13 Pneumonia
2. 예방접종
3.meningitis
4.요추천자 후 간호
5. 요로감염 UTI
6. PPD(purified protein derivative) skin test
7.Photo Therapy
8.소아성 당뇨
9.역류검사
10.wilms tumor
11.Infusion pump
12.Nebulizer
13 Pneumonia
본문내용
하며 4 mL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7) 기관지확장제의 분무 시간은 약 10분 내외가 적당하다.
8) 네뷰라이저 사용시 잘 나오지 않거나 물방울이 튀는 경우는 약실을 살짝 손가락으로 몇번 두드린다.
9) 마스크나 마우스피스가 모두 효과적이지만 마스크를 사용하는 경우는 얼굴에 꼭 맞아서 빈틈이 없어야 한다.
10) 마스크를 사용하는 경우는 입을 벌리고 입으로 천천히 숨을 쉬도록 한다.
11) 스테로이드제를 분무하는 경우에는 아구창이나 드물게 백내장이 생길 수도 있다. 아구창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구강내를 물로 세척하고, 마스크를 사용한 경우는 얼굴도 함께 닦아야 한다.
12) 이프라트로피움 브로마이드의 경우는 녹내장의 위험 때문에 마우스피스의 사용이 추천되나 영유아에서는 사용이 어려우므로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다.
13) 네뷰라이저의 세척은 1-2회 사용 후에는 튜브와 약실을 컴프레서에서 분리하여, 물을 통과시켜 튜브를 세척하는 것이 좋다. 약실과 마우스피스, 마스크 및 튜브는 따뜻한 물로 세척하여(가능하면 약 10분간 소독수에 담가 소독한 후) 완전히 말려서 EO 가스로 소독한 후에 사용한다.
14) 튜브, 약실, 마스크 및 마우스피스는 한달에 한 번은 교체해야 하고, 내구성 재질을 사용한 경우는 여러 번 세척 및 소독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매년 교체하는 것이 원칙이다.
15) 자가 네뷰라이저 치료 환자에게는 반드시 네뷰라이저 처방을 해주어야 하며, 환자 임의로 사용하지 않도록 감독해야 한다. 처방에는 약제 종류 및 용량, 사용빈도, 증상이 약제에 반응하지 않을 때 취해야 하는 행동지침서를 주어야 한다.
16) 환자와 보호자를 교육하여야 하며, 가정에서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의사 앞에서 사용법을 연습해 보아야 한다.
13 Pneumonia
폐렴은 100명중 2~4명의 아동에게 발생하는 폐포의 염증이다. 폐렴은 생후 48시간 이하의 영아에 있어 주요한 사망원인이 된다. 늦은 겨울이나 초가을에 자주 발생한다. 양수막이 파열된 후 24시간 이후 태어난 신생아와 분만동안 양수를 흡입한 신생아는 출산 후 초기 몇일 동안 폐렴으로 발전되는 경향이 있다. 출생전 24시간 이상동안 양수막이 파열되었다는 것을 알았을 때 감염 예방을 위한 광범위 항생제 투여가 사용된다. pneumocystic carini 폐렴은 인간 항체 결핍성 증후군(human immunodeficiency syndrome)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7) 기관지확장제의 분무 시간은 약 10분 내외가 적당하다.
8) 네뷰라이저 사용시 잘 나오지 않거나 물방울이 튀는 경우는 약실을 살짝 손가락으로 몇번 두드린다.
9) 마스크나 마우스피스가 모두 효과적이지만 마스크를 사용하는 경우는 얼굴에 꼭 맞아서 빈틈이 없어야 한다.
10) 마스크를 사용하는 경우는 입을 벌리고 입으로 천천히 숨을 쉬도록 한다.
11) 스테로이드제를 분무하는 경우에는 아구창이나 드물게 백내장이 생길 수도 있다. 아구창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구강내를 물로 세척하고, 마스크를 사용한 경우는 얼굴도 함께 닦아야 한다.
12) 이프라트로피움 브로마이드의 경우는 녹내장의 위험 때문에 마우스피스의 사용이 추천되나 영유아에서는 사용이 어려우므로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다.
13) 네뷰라이저의 세척은 1-2회 사용 후에는 튜브와 약실을 컴프레서에서 분리하여, 물을 통과시켜 튜브를 세척하는 것이 좋다. 약실과 마우스피스, 마스크 및 튜브는 따뜻한 물로 세척하여(가능하면 약 10분간 소독수에 담가 소독한 후) 완전히 말려서 EO 가스로 소독한 후에 사용한다.
14) 튜브, 약실, 마스크 및 마우스피스는 한달에 한 번은 교체해야 하고, 내구성 재질을 사용한 경우는 여러 번 세척 및 소독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매년 교체하는 것이 원칙이다.
15) 자가 네뷰라이저 치료 환자에게는 반드시 네뷰라이저 처방을 해주어야 하며, 환자 임의로 사용하지 않도록 감독해야 한다. 처방에는 약제 종류 및 용량, 사용빈도, 증상이 약제에 반응하지 않을 때 취해야 하는 행동지침서를 주어야 한다.
16) 환자와 보호자를 교육하여야 하며, 가정에서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의사 앞에서 사용법을 연습해 보아야 한다.
13 Pneumonia
폐렴은 100명중 2~4명의 아동에게 발생하는 폐포의 염증이다. 폐렴은 생후 48시간 이하의 영아에 있어 주요한 사망원인이 된다. 늦은 겨울이나 초가을에 자주 발생한다. 양수막이 파열된 후 24시간 이후 태어난 신생아와 분만동안 양수를 흡입한 신생아는 출산 후 초기 몇일 동안 폐렴으로 발전되는 경향이 있다. 출생전 24시간 이상동안 양수막이 파열되었다는 것을 알았을 때 감염 예방을 위한 광범위 항생제 투여가 사용된다. pneumocystic carini 폐렴은 인간 항체 결핍성 증후군(human immunodeficiency syndrome)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추천자료
표준 예방접종 지침
신생아 ,미숙아 생리적 특성및 간호 , 예방접종표, 아기 트림시키는 법
신생아 예방접종
염증반응, 예방접종, 종양면역
해외여행시 필요한 예방접종 및 여행 후의 문제점
지역사회-보건소;예방접종
송아지 건강의 첫걸음 예방접종
보건소 예방접종실 컨퍼런스
[영유아기][지각발달][성장발달][신체운동기능][치아관리]영유아기의 지각발달, 영유아기의 ...
[질병(질환)]질병(질환)과 가축, 질병(질환)과 사회환경, 질병(질환)과 식중독, 질병(질환)과...
방문간호 (방문간호사업 & 예방접종 사업)
보건소-예방접종실
신생아의 발달단계별 건강관리 (신생아의 건강요인, 신생아의 건강증진, 수면과 휴식, 위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