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환자 보고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치매환자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GENERAL INFORMATION

2. LITERATURE REVIEW

3. CLINICAL APPROACH
1) DIAGNOSTIC PROCEDURE AND RESULTS
2) INTERVENTION
a) medication
b) physical therapy

4. NURSING PROCESS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작용 관찰되지 않음/. 계속적인 처방
b) physical therapy
종류
내용
대상자반응
추후계획
hot pack
효과
근육의 뭉침을 방지
혈액 순환 조절
대상자 적용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적용 전 20분 정도 수행함으로써 근육을 풀어주고, 혈액순환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적극적으로 참여함.
계속적인 물리치료 수행.
TENS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효과
통증치료, 경직을 풀어준다
대상자 적용
대상자는 왼쪽 팔 , 다리 부분의 감각은 있으나 운동마비가 있으므로 저주파 자극을 통한 물리치료를 받고 있다. 이것은 경직을 풀어주고 마비로 인해 한쪽을 많이 사용함으로써 올 수 있는 통증을 조절해주기 위함이다.
적극적으로 참여함
계속적인 물리치료 수행.
4. NURSING PROCESS
NURSING DIAGNOSIS
ASSESSMENT
PLAN
IMPLEMENTATION
EVALUATION
SUBJECTIVE
OBJECTIVE
인지적 손상과 관련된
사고과정장애
“내 물건을 누가 와서 가지고 간단 말이야”
“우리아들 왜 안와. 우리아들 왜 안와.”
“난 간식으로 두유를 먹어야해 꼭. 난 두유를 줘”
계속 우는 소리로 조르심.
자신의 소지품, 물 컵, 실내화를 감추는 모습 관찰됨.
계속적인 질문을 똑같이 반복하는 모습보임.
단기간의 주의력이 부족하시며 건망증 관찰됨.
목표
대상자의 인지적 능력이 향상된다.
1. 일정한 시간을 정하여 매일 규칙적으로 환자와 시간을 보냈다.
2. 산책, 간단한 스트레칭을 통하여 낮 시간동안의 활동을 함께하였다.
3-① 적절한 언어 속도, 용어를 선택해 의사소통 하였으며 대상자의 느낌의 표현에 주의하였다.
3-② 긍정적인 문장을 사용하였으며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함께 병용하였다.
4. 병실에 걸린 달력을 사용하여 현실에 대한 지남력을 높이도록 하였다.
환경적 중재를 이용한 지남력의 향상이 관찰되었으나, 대상자의 사고과정 장애로 인한 행동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므로 계속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계획
1. 대상자와 함께 많은 시간을 보낸다.
2. 낮 동안의 활동을 격려한다.
3. 치료적 의사소통을 적용한다
4. 환경적 중재를 사용하여 사고과정장애를 최소화한다.
NURSING DIAGNOSIS
ASSESSMENT
PLAN
IMPLEMENTATION
EVALUATION
SUBJECTIVE
OBJECTIVE
독립적 기능상실과 관련된 고립감
“이리와.”
“밖은 봄이야. 사쿠라 꽃도 폈네. 추워도 괜찮으니까 데리고 나가”
“왜 안와. 우리아들. 내가 갈수도 없고. 데리러 와야 갈텐데.”
“나 좀 데리고 나가죠”
“심심해”
“갑갑해”
.
침상에 앉아 있는 경우가 많으며 도움 없이는 자율적인 거동이 불편함.
계속적으로 학생들을 부르심.
방에 혼자 있는 경우가 많으며 식사도 방에서 혼자하심.
목표
대상자는 느끼는 고립감에 대해 효율적인 대처를 한다.
1. 대상자에 기능상실로 인한 외로움을 말로 표현하도록 하였다.
2. 대상자는 매일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스트레칭 프로그램에 적극적 참여를 격려하였다.
3-① 가능한 한 독립적으로 자기간호 활동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3-② 도움이 필요한 부분에 있어서 도움을 주고 피드백을 적용하였다.
3-③ 물리치료를 적용하여 환자의 독립적 기능을 향상시켰다.
4. 타인과 자발적으로 상호작용 하는 것을 인정해 주고 긍정적 강화를 주었다.
대상자는 집단활동과 독립적 기능 수준향상을 위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또한 타인과의 상호작용 또한 향상되어 더 이상의 고립감을 호소하지 않았다.
계획
1. 기능상실과
관련된 솔직한 감정을 표현하도록 한다.
2. 집단 활동을 격려한다.
3. 독립적 기능수준을 향상시킨다.
4. 타인과 대화하며 자발적인 상호작용을 하도록 한다.
NURSING DIAGNOSIS
ASSESSMENT
PLAN
IMPLEMENTATION
EVALUATION
SUBJECTIVE
OBJECTIVE
소외감 및 외로움과 관련된 수면장애
“ 밤에는 잠을 들려고 누워도 잠이 안와. 그런데 낮엔 항상 졸려. 잠이 웬수야”
“ 집에 언제 가는거야? 우리 아들이 온다구 했어? 나 집에 가야지 제대로 잘 것 같아”
“ 3층에 우리 손녀딸이 간호사인데 한번도 안와. 내가 여기 있는지를 모르나봐. 왜 이렇게 눈물이 나는지 모르겠어.”
낮 동안 지나치게 하품을 많이 하고 앉아서 자는 모습 관찰됨.
피곤해 보이는 얼굴임.
목표
대상자는 침대에 누운 후 30분 안에 잠이 든다.
1. 대상자에게 매일 아침 수면에 대한 질문을 통해 대상자의 수면양상을 사정하였다.
2. 대상자와의 친밀감 형성을 통해 외로운 마음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3. 대상자는 앉아서 잠을 자는 모습이 많이 관찰 되었으나 그 때마다 이야기를 나눔으로써 대상자가 낮잠을 자지 않도록 하였다.
4-① 수면시 불을 끄고 작은 실내등을 켜서 무섭고 외로운 마음을 최소화 하였다.
4-② 차가운 물 대신 따뜻한 물을 마시게 하였다.
대상자는 수면장애를 계속적으로 호소하므로 계속적인 중재 필요하다.
계획
1.수면패턴에 대해 정확히 사정한다.
2. 대상자와 신뢰관계를 형성하여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3. 낮 동안의 운동을 격려하고
낮잠을 금한다.
4. 평온한 수면을 취할 수 있는 환경과 방법을 제공한다.
참고문헌
개정판 정신간호학 下 현문사 - 이경순 외 [p 1019~1026, p 1088, 1098~1109, p 1245 ~1247]
개정판 최신약리학 현문사 - 은종영 외 [p 170 ,171 , 197, 335.]
병리학 현문사 - 김양호 외 편저 [P 176~178 , P 372 ]
노인간호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 송미순 외 [p 252~269, p 293~295]
개정판 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 - 송미순 외 [P 68,69 ]
장기요양 노인간호 군자출판사 - 김주희 외 [p 3~26, p355~370]
정신간호 총론 수문사 - 김윤희 외 [p 1611~ 1620]
정신건강간호학 상 신광풀판사 - 이평숙 외 [P 366~368]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10.30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91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