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방송 상황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의 방송 상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북한의 방송 상황

Ⅰ. 북한 방송의 종류
1. 조선중앙방송
2. 평양방송
3. 조선중앙TV방송
4. 평양FM 방송
5. 구국의 소리 방송

본문내용

을 바꾼 것인데 그 직후인 1985년 8월 8일 이 방송도 통일혁명당 목소리 방송에서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다. 당 통일선전부(대외연락부)의 지도 아래 한민전 산하의 칠보산 연락소(평양시 흉부동 소재)가 이 방송을 관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한은 이 방송이 한국 내에서 방송되는 것처럼 위장하기 위해 남한출신 입북자를 방송요원으로 활용해 왔는데, 82년 독일유학 중 입북한 이창균이 고문, 68년 통혁당 사건의 주범 김종태와 입북한 이진영이 소장, 부소장을 맡은 바 있다.
또한, 69년 12월 강릉에서 납북된 대한항공 여승무원인 성경희, 정경숙 등과 프랑스 유학중 85년경 입북한 허흥식 등 7~8명의 입북자들이 북한 사람들과 함께 방송요원으로 일하며, 특히 허흥식은 영어방송을 담당해 왔다.
  • 가격8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6.11.01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97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